갓 댐 어게인? – 라이트 목사와 오바마 의원

라이트 목사(the Rev. Jeremiah Wright)와 오바마가 다시 뉴스에 떠오르며, 그 둘의 관계는 다른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 설교 시간에 “갓 댐 어메리카!”를 외치는 목사를 “영적 멘토로 두고 있다”는 오바마를 향한 파상공세가 계속 이어진 탓이다.

문제의 발단은 몇몇 흰 여우들의 짓이었다. 미국 대선에서 미국 정치의 “백인” 정통성이 흔들릴 것이라 우려하는 이 못된 것들이 오바마의 상승세를 꺽어보려고 2003년에 행한 라이트 목사의 설교 한 토막을 갖고 쉬지 않고 TV에 틀어댔고, 오바마는 그와 조금의 거리를 두었다. (관련글)

그러다 며칠 전 라이트 목사는 미국 기자 클럽 회견을 통해서 이 모든 것들이 라이트 목사 자신이나, 오바마를 향한 것이 아니라, 흑인 교회와 흑인 전통에 대한 공격이라고 맞받아쳤다. 언론이 다시 뉴스로 가공하는 것은 라이트 목사가 미국 정부가 AIDS를 흑인에게 퍼뜨렸다는 음모이론을 설교에서 언급했으며, 20여년 전 반유대주의를 선동했던 미국 이슬람 지도자 파라칸(Louis Farrakhan)과 친하게 지낸다는 것이다.

오바마 진영의 반응은 민첩했고 지난 번처럼 얼버무리지 않았다. 언론에서 이런 선정적인 이미지들이 확산되고 적대감들고 일어서는 판에, 자신의 얼굴과 겹쳐지는 라이트 목사를 단호히 잘라내겠다는 눈치다. 이를 발표하는 오바마의 얼굴을 굳어 있었다. 자신은 정치인으로서가 아니라 자기 DNA 자체가 분열에 다리를 놓는 사람이라면서, 라이트 목사가 자신을 모르고 있었으며, 자신도 라이트 목사가 그런 사람인 줄 몰랐다고까지 했다.

이게 오바마를 위기에서 구해줄까? 오히려 그는 라이트 목사가 말한대로 스스로 “정치인”임을 드러내고 말았다는 느낌이다. 되레 그에게 “희망”을 품을 사람들의 기대를 접게 만들 것 같다.

오바마는 덫에 걸렸다. 미국의 안방 뉴스를 점령한 흰둥이 언론들이 짐짓 고상한 매너를 들먹이며 라이트 목사를 공격하지만, 이들의 내면을 움직이는 건 그저 ‘깜둥이'(니그로)들이 나서는 게 꼴보기 싫은 거다. 오바마는 정치 공학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의 증오를 용인한 것이다.

오바마가 틀렸다. 라이트 목사는 오바마를 알고, 오바마는 라이트 목사를 모른다.

라이트 목사는 종교인으로서 권력을 대하는 자신과, 정치인으로서 권력을 대하는 오바마를 구별할 줄 안다. 그리고 정치인 자체를 폄하하지는 않았다. 또 라이트 목사는 오바마가 당선되면 그에게도 도전을 할 것이라고 비쳤다. 그의 비판과 실천은 일관성이 있다.

언론은 다시 라이트 목사의 기자 클럽 질의응답을 반복적으로 비추고, 오바마의 굳은 얼굴을 포개 놓는다. 그리고 “오바마의 해명이 백인 유권자들을 달랠 수 있을까?” 하는 말로 보도를 마친다. 백인들을 달래는 게 오바마 정치의 목표인가?

최소한 라이트 목사는 현실의 정치 공학에 순진한 척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실 정치를 너머(beyond)를 지향하고 있다. 그는 흑인 교회와 그 해방신학의 전통과 영성에 대한 공격에 대해서는 정치적으로 생각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를 포기하고 나가면 오바마가 아니라, 오바마 할아버지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고질적인 미국의 백인 우월주의, 백인 헤게모니, 그리고 두려움에 근거한 정치(이게 바로 라이트 목사가 미국을 테러리즘의 국가로 지칭하는 이유다)를 이겨내지 못하리라는 판단이다.

라이트 목사는 질문에 대해서 “그 설교 전체를 다 들어봤냐?” “너 그 책 읽어봤냐?” “너 흑인 해방 신학에 대해서 아느냐?”고 오히려 묻는다. 맥락을 애써 무시고 멋대로 골라내서 읽어서 꼬투리잡아 공격하려는 수작이 허튼 소리라고 맞받아친다. 물론 “나, 신학교에서 라틴어도 공부했어”하고 대답하는 닭대가리도 있지만.

라이트 목사의 일관된 신학과 실천, 그리고 백인 헤게모니에 대한 그 비판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려면 빌 모이어스(Bill Moyers)와 행한 최근 인터뷰를 보면 된다. 그 인터뷰는 균형 잡혀 있고, 그리스도교 전통에 대한 재발견과 그에 따른 그의 일관적인 신학과 사목 활동을 잘 드러낸다. 미국의 (흑인) 해방신학의 전통에 대한 탁월하게 정리된 강의 한편을 생생하게 듣는 것 같다. 그러나 거기에는 강의 이상의 힘이 있다. 중간에 섞인 그의 설교는 내내 나를 눈물 짓게 했다.

I have a friend who every time you greet him, every time you ask him how you doing, he answers, just trying to make it man, just trying to make it.

인터뷰 내용을 거칠게 듣고 읽히는 대로 요약하면 이렇다.

  • 목사가 될 마음이 없었다. 그러나 시민 인권 운동을 통해서 그동안 접한 것과는 다른 그리스도교 전통이 있는 걸 알았다.
  • 성직 소명에 대한 식별을 하다가 공부를 그만두고 입대해서 6년 간 군대 생활을 했다.
  • 시카고 신학교에서 “백인” 교수인 마틴 마티 (Martin Marty, 주: 루터교 목사이자 미국 종교 사회학자)로부터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다.
  • 마티 교수는 내가 부임한 교회 교인들에 깊이 내재한 어떤 “수치심”을 이겨나가도록 이끌라고 격려했다. 그것은 흑인 역사를 통해 각인된 수치심이었다. 흑인은 아무 것도 아닌 그저 “니그로”라는 수치심.
  • 서구의 우월주의에 입각한 선교의 역사를 비판한다. 그 백인 우월주의를 당연한 것으로 알고 짓눌려 살았다.
  • 하느님께서 흑인 공동체만을 선택한 것은 아니다. 하느님은 세상 전체를 사랑하신다. 우리 교회는 그런 하느님을 따른다.
  • 흑인 공동체로 모인 우리는 성서의 말씀대로 세상을 변화시키며 살려 한다. 억압과 가난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사람들을 변화시키는 것이 교회의 목적이며, 정의와 평화를 위한 싸움은 계속되어야 한다.
  • 흑인 해방신학은 성서 전체에 걸쳐 나와 있는 주제이다. 그것은 억압받는 자의 시선에서 읽는 성서에서 비롯된다. 하느님은 이스라엘을 사랑하시지만 그들이 잘못할 때조차 축복하시는 분은 아니다.
  • ‘갓 댐 어메리카!”를 두고 꼬투리를 잡고 있는데, 이는 설교 전체를 보지 않고, 맥락에서 떼어내어 계속 방영하는 언론의 잘못된 행태이다. 잘못된 정부의 행동과 정책에 대한 비판이라는 면에서, 미국 정부에 대한 비판적 표현이다.
  • 이 점에서 언론이 나를 포함한 비판적인 사람들을 십자가에 못박고 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도 그렇게 당했다.
  • 미국인들이 잘못된 정보를 제공받고 교육 받는 것이 문제이다. 역사에 대해서, 성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해석학이라는 어떤 사물을 보는 창이 있다. 사람을 프레임을 갖고 세상을 보고 성서를 읽는 것이다. 흑인 해방 신학은 노예선 갑판이 아니라, 갑판 아래 있는 흑인 노예의 시선으로 보는 것이다.
  • 하느님은 승리자를 위한 분이 아니다. 그렇게 읽으면 하느님은 노예제와 살인과 폭력과 보복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된다. 실제로 성서는 다분히 그렇게 읽힐 만한 내용이 많다. 시편 137편만 보아도 ‘갓난 아기를 죽이라’는 보복이 담겨 있다.
  • 2001년 9/11 직후 설교를 두고 미국 정부를 테러리즘의 나라라고 말한 것도 바로, 이러한 보복의 원리에 입각한 정치는 무엇이든 테러리즘이라고 이해하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테러리즘에 대한 보복으로 무차별을 폭격하여 선량한 시민을 죽이는 테러리즘을 실천하고 있지 않는가? 이것에 대해 지적한 것이다.
  • 전체 설교 가운데 몇 마디를 뽑아내 공격하는 것은 공정한 것이 아니다. 이건 어떤 두려움과 공포를 만들어 내려는 행동이다.
  • 언론에서 설교가 문제시되면서 그를 비롯한 우리 교회가 협박을 받았다. 폭탄으로 날려버리겠다는…
  • 흑인 전통은 음악과 함께 한다. 블루스는 상처를 희망으로 바꾸어주는 흑인의 영적 전통이다. 고통과 가난은 계속되지 않으리라는 희망을 우리는 성스러운 블루스에 담아낸다.
  • 사람은 악을 선택해도, 하느님은 선을 선택한다. 구약성서 요셉 이야기이다. 그는 자신을 노예로 팔아넘긴 형제들에게 복수하지 않았다. 오히려 깨진 관계를 회복시켰다.
  • 바락 오바마는 정치가이고, 나는 목사이다. 우리의 청중은 전혀 다르다. 그가 나에 대해서 반응한 것은 언론이 꼬투리 잡은 꼭지에 대한 것이었다. 그것은 그가 정치인이기 때문이다.
  • 사람들은 여전히 오바마를 ‘모슬림’으로 이해한다. 언론때문이다. 언론은 바락 “후세인” 오바마로 부르고, 종종 “오사마”라고도 불러 사람들을 현혹한다.

흑인 해방 신학에 관한 추천 도서 2권

  • 제임스 H. 콘 [억눌린 자의 하느님] (이화여대 출판부)
  • 제임스 H. 콘 [흑인 영가와 블루스] (한국신학연구소)

Update: NYTimes 최근 논란과 관련한 흑인 해방신학 개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