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성직 서품: “무엇”과 “어떻게”의 사고방식

이미 세계 성공회(the Anglican Communion) 회원 관구 절반 이상은 여성 성직을 찬성하고 여성 성직 서품을 시행하고 있다. 1944년 홍콩 성공회에서 처음으로 여성 사제 서품이 있은 후, 세계 성공회의 여러 관구는 여성 주교도 성품하여 활동하고 있다(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성공회). 한편, 영국 성공회는 1992년 이후 여성 사제 서품의 길이 열렸지만, 여성 주교직은 그 이후 내내 논란이 되었다. 결국, 올해 7월 영국 성공회 관구 의회는 그간의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여성 주교직의 법적 걸림돌을 모두 제거했으며, 이르면 2014년에 여성 주교가 성품될 수 있도록 했다.

여성 사제 서품 논란 때와 마찬가지로, 영국 성공회 내 여성 성직 반대파들은 여성 주교가 교구장으로 있는 교구 안에 이를 반대하는 교회나 사제가 특별히 지명된 남성 주교의 치리를 받도록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캔터베리와 요크의 대주교 두 분도 이런 반대파의 편의를 배려한 의안 수정안을 냈다. 그러나 관구 의회는 표결로 이를 기각하고, 원안대로 여성 주교안을 통과시켰다. 한편, 천주교는 여성 성직 서품이 천주교와 성공회의 교회 일치 대화에 심각한 걸림돌이라고 주장하며, 실제로 천주교 내의 여성 성직 운동을 ‘성사에 대한 범죄’라고 규정하여 이 시도를 철저히 막고 있다.

여성 주교 성품 논란이 영국 성공회 내부만이 아니라 다른 교단, 특히 천주교와 교회 일치 대화에 문제가 된다는 주장에 대해서, 전례학자이며 영국 성공회 솔즈베리 교구장인 데이비드 스탠클리프 주교가 영국 천주교의 언론 매체인 타블렛 지에 자신의 생각을 기고했다. 이 글에서 스탠클리프 주교는 이 문제를 접근하는 방법이 교회론에 대한 이해의 차이뿐만 아니라, 신학적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연유한다고 밝힌다.

한편, 스탠클리프 주교의 이 글은,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세계 성공회 안에서 여전히 논쟁 중인 “성공회 계약 문서”에 대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Women_Bishops_LC_2008.jpg
(ACNS/Scott Gunn, 2008)

여성 성직 서품: 무엇을 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

데이비드 스탠클리프 주교 The Rt Revd Dr David Stancliffe
영국 성공회 솔즈베리 교구 Salisbury Diocese, The Church of England

한 사람의 성별이 사제직이나 주교직 서품의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어야 하는가? 세례를 받은 그리스도인지 아닌지가 그 결정의 근거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영국 성공회는 이 문제에 대한 진리에 다가서려고 씨름하고 있다.

천주교는 여성을 성직에 서품하는 일이 결국 “성사를 위반하는 죄”라고 말했다(게다가 이를 약자에 대한 성추행과 관련된 성직 파직을 언급한 문서에 나란히 배치하는 기이함을 보이기도 했다). 영국 천주교 도미니꼬회 사제인 티머시 래드클리프 신부는 2010년 7월 16일치 타임즈 지에 기고한 글에서, 이에 대해 이런 억지 해석을 적었다. “사제는 성찬례를 집전한다. 성찬례는 교회 안에서 우리를 일치시키는 성사이다. 이때 어떤 성직 서품때문에 교회의 분열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그 의미 자체에 모순될 것이다.”

래드클리프 신부는 계속해서 이렇게 말한다. “많은 천주교 신자는 여성은 성직 서품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여성 성직 서품은 전체 교회의 합의가 있을 때만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이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모두 서로가 합의할 때까지 기다리면 되는가?

내 견해는 이렇다. 우리는 여성을 성직에 서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해야 한다. 내가 이해하기로 이 문제에서 창조 교리가 그 근간이다. 창조에 대한 교리는 남성과 여성이 하느님을 닮아 그 모상대로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가르침이다. 사제직은 새로운 창조에 대한 표지이자 성사이다. 여기에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참여할 수도 있다는 정도가 아니라, 참여해야 한다. 그 사제직이 단지 ‘주님의 만찬에 있었던 예수’만이 아니라, 그리스도 전체를 진실하게 대표하는 것이라면 말이다.

점차 이런 확신이 든다. 우리는 좀 더 발전된 신학적 인간학이 필요하고, 동시에 성사에 대한 기계적이고 집행 위주의 신학을 누그러뜨려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다고 말할 때, 정말 우리는 어떤 뜻으로 말하고 있는가? 우리는 모두 어떻게 ‘하느님을 품은 사람'(theotokoi)일 수 있는가? 그리고 우리가 서품하는 사람에 대한 성사적 이해에 어떤 의미를 가져다주는가?

이제 서방 교회 전통에 있는 두 교회(성공회와 천주교)는 어떻게 서로 전혀 다른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가? 내 생각에, 우리를 구분하는 것은 우리가 믿는 어떤 실체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신학을 어떻게 하고 있느냐는 방법에 있다. 우리가 믿는 부분에서는 우리는 그렇게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우리가 믿는 어떤 방법에 대해서는 서로 생각이 다르다.

이 차이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시작해 보겠다. 닻이 있는 큰 배가 있다. 닻을 내렸을 때 그 배를 지탱해 주는 것은 큰 쇠사슬이다. 연결에 틈새가 없이 잘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한 연결 고리만 녹이 슬어 부식되면 쇠사슬 전체는 끊어지고 닻은 영영 잃어버리고 만다. 한편, 바다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부두에 배를 묶어두는 굵은 밧줄과는 비교된다. 이 밧줄은 셀 수 없이 많은 끈을 꼬아 만든 것이다. 그렇게 길지 않은 작은 끈을 엉겨 꼬여서 두껍고 긴 줄을 만드는데, 그 끈 몇 개가 닳아져서 끊어지더라도 밧줄은 지탱력이 있다. 그렇게 깔끔하게 보이지는 않을지라도, 여전히 힘을 지탱할 수 있다. 여기서 윤곽을 그린 이미지를 통해서 볼 때, 우리는 두 가지 사고방식의 후예들이다. 그 하나는, 통째로 매끈하고 직선적이며 기계적 형태의 언어인데, 원인과 결과를 연결(이 단어에 주목하라)을 강조한다. 중세 라틴어는 그 시제가 매우 분명해서 법률 언어가 되었다. 그것은 머리를 쥐어짜는 탐정 이야기 같은 즐거움을 준다. 그러나 또 다른 방식도 있다. 이것은 좀 더 동방 교회의 사고방식과 그리스어와 러시아어에 좀 더 기대는 것인데, 이 언어들에선 시제가 그리 분명하지 않다. 아주 생생한 기억이라면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라도 굳이 현재형을 쓸 수 있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생동감 넘치는 시적인 언어로 쓰기에 좋고, 과거 완료가 된 사안에 대해서 설명할 때도 다양한 형태의 과거형을 쓸 수도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어떻게” 일어났는가 – 사건의 질적인 면 – 하는 점이 그 일이 일어난 시간이나 그 원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생각하면, 모든 부사들(adverbs)이 아주 중요한 것이 된다.

이 점을 상술한 이유는 영국 성공회가 이러한 두 가지 사고방식을 함께 이어받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각자의 개성에 따라서 본능적으로 어떤 사고방식 하나에 기대는 경향이 있다. 어떤 이들은 좀 더 치밀한 조건 논리의 연결 방식의 신학과 그 사목적 행태를 선호한다. 이때 각각의 전개는 분명하고 논리적으로 이미 이뤄진 것들과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어떤 이들은 좀 더 비스듬한 방식을 선호하여, 흐르듯 유기적인 교회 모델을 받아들이고, 그 교회의 지속적인 정체성에 더 가치를 둔다. 알다시피, 인간의 몸에 있는 모든 세포은 7년 만에 교체되지만, 그 유전자 정보는 살아남고, 우리도 우리 자신을 유지하게 된다. 이것이 좀 더 통전적이고 유기적인 모델이다.

성령강림 사건을 생각해 보자. 사도행전 2장에 나오는 여러 언어 현상은 창세기 2장에 나오는 바벨탑 이야기에 묘사된 것과 같은 현상이다. 이 때, 하나는 다양한 여러 언어가 하나의 단일체제적인 일치가 깨졌다는 증거로 드러나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똑같은 현상이면서도 교회 일치를 드러내는 표지가 된다. 바벨탑 사건에서는 획일성의 결핍이 위협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성령강림 사건에서는 그 다양성이야말로 좀 더 풍요롭고 깊고 포용적인 일치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교회론에 대한 논의에서, 일치(혹은 획일성)의 구조적인 표지를 바라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이와는 다른 형태의 교회 일치(혹은 친교와 코뮤니언)를 바라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구조적인 연결의 확실성에 기대기보다는 좀 더 풍요롭고 다채로운 색깔의 무늬를 드러내는 모델에 기댄다. 다양성이 바르고 포용적인 일치의 모델이라고 보는 것이다. 하늘나라의 모델은 평평하게 획일화된 모양이 아니라, 풍요로운 조화의 모델이 아닐까?

바로 이 때문에, 지난 영국 성공회 관구 의회는 매우 바른 결정을 내렸다고 생각한다. 여러 논란이 있었는데, 여성 성직을 찬성하는 이들과 이를 반대하는 이들이 여성을 주교직으로 서품하는 하나의 교회 안에서 살아갈 수 있는 완벽한 구조적인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다. 영국 성공회 대주교 두 분은 이런 방식을 최선으로 여겨서 이를 설득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여성 성직 의안 개정 위원회는 이러한 방식을 따르지 않았기로 했다. 대신에 부분과 전체, 남성과 여성, 성직자와 세례받은 모든 신자의 다양한 관계를 살피고 이를 경험해 보는 일에 더 중점을 두기로 한 것이다. 이 방식이 새로운 창조에 대한 좀 더 성서에 따른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여성 주교를 반대하는 어떤 교구 소속 교회들에 남성 주교를 지정하여 성사와 사목적인 지도를 하도록 하는 의안에 내가 반대하는 깊은 이유가 있다. 이 의안이 내세운 조처는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중요성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사목적인 보살핌을 (부분적으로나마) 포기하는 것은 주교의(혹은 사제와 부제의) 사목직을 포기한다는 말이다. 사목직은 마음을 다하여 다른 사람을 위해 온 힘을 기울여서 행동하는 것이다. 여기가 바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넘어서는 지점이요, 주교란 무엇인가를 드러내는 지점이다.

사법적 치리는 늘 ‘무엇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법적인 장치들은 늘 우리를 분열시킨다. 이는 통제의 언어요, 분열의 언어요, 절대적인 확실성을 옹호하는 언어이다. 그러나 사목적인 보살핌은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관계하는가, 어떻게 서로에게 속해 있는가, 어떻게 하느님만이 주실 수 있는 소통을 함께 즐길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때로 우리는 코뮤니언(친교의 공동체인 교회)을 우리의 소유인 양 다루면서 누구는 제외하고 누구는 받아들인다는 식으로 이해한다. 절대 그렇지 않다. 내가 그대와 코뮤니언을 나누는 유일한 이유는 하느님께서 나와 그대를, 그리고 수단의 가난하디 가난한 사람과 로마의 주교를 같은 천상의 식탁에 초대했기 때문이다. 코뮤니언은 우리가 주거나 말거나 할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나는 영국 성공회 관구 의회가 한 일에 박수를 보낸다. 이는 우리가 어떤 도전을 받아들임으로써 어떤 강박관념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며, 구조에서 벗어나 관계로 나아가는 발걸음이기 때문이다. 정말 좋은 일은 이런 노력은 우리에게 신뢰를 요구한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가며 행동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모습이 결정될 것이라는 점, 그리고 그에 따라 우리가 신뢰할 만한 이들로 드러나리라는 점이다. 이는 우리가 좀더 다양한 행동을 펼치는데 달렸다.

관구 의회의 제안은 교회의 보편적 전통에 근거한(catholic) 것이며 성공회적인 입장이다. 우리의 공동생활은 조건명제적이라기 보다는 관계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어떤 이들은 일시적으로 다른 방식을 선호하리라 생각하지만, 나는 이 결정이 좀 더 훌륭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고 믿는다.

번역: 주낙현 신부
원문: http://www.thetablet.co.uk/ & http://goo.gl/z9oj via Thinking Anlicans

6 Responses to “여성 성직 서품: “무엇”과 “어떻게”의 사고방식”

  1. 민노씨 Says:

    “우리는 여성을 성직에 서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해야 한다. 내가 이해하기로 이 문제에서 창조 교리가 그 근간이다. 창조에 대한 교리는 남성과 여성이 하느님을 닮아 그 모상대로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가르침이다. 사제직은 새로운 창조에 대한 표지이자 성사이다. 여기에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참여할 수도 있다는 정도가 아니라, 참여해야 한다. ”

    이 구절이 인상적이네요.

    추.
    “한 사람의 성별이 사제직이나 주교직 서품의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어야 하는가? {세례를 받을 수 있는지의 결정이 근거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 { }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Reply]

    fr. joo Reply:

    분야를 불문하고 늘 성실한 독자요 비평가가 되어 주시는 민노씨, 고맙습니다. 그 성실함은 늘 제 작은 실수와 혼동을 금방 잡아내시는군요. 원문을 상하게 하지 않겠다고 욕심을 내면 곧 못 알아먹을 소리가 되고 말지요. 좀 더 쉽게 이해하도록 고쳤습니다.

    “한 사람의 성별이 사제직이나 주교직 서품의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되어야 하는가? 세례를 받은 그리스도인지 아닌지가 그 결정의 근거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Reply]

  2. Gabino Evans Kim Says:

    I totally agree, but we need to wait till Roman Catholic accept this position, stimutaneously Anglican Church accept why roman catholic has to keep their position as well. Presumably it takes long time, but I’m sure it’ll be soon, hopely.

    [Reply]

    fr. joo Reply: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하셨으나 계속 읽어보니, 이 글을 쓰신 주교님이 반대하는 바로 그 논리를 되풀이하는 의견으로 주셨네요. 주교님은 천주교와 그 문제에 대한 합의를 굳이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하시고, 그 두 교회 혹은 ‘영국’ 성공회 안에 서로 다른 사고방식이 있다고 하시니까요.

    [Reply]

  3. 차요한 Says:

    “사제직은 새로운 창조에 대한 표식이자 성사이다.” 여성성직서품에 대한 신학적 근거를 이만큼 분명하게 표현한 구절을 보지 못했습니다.

    천주교가 ‘법적 언어로 구조를 조직하는 교회’라면, 성공회는 ‘시적 언어로 관계를 창조하는 교회’라고 이해해도 좋을까요? 그렇다면 계약문서는 (이미 용어가 함축하듯이) 전자를 향한 퇴행이겠지요.

    사진이 너무 멋있네요. 백색옷(장백의?) 위에 적색옷(???)을 입고 흑색영대를 두르시고 녹색땅을 걷는 주교님들^^

    [Reply]

  4. via media 주낙현 신부의 성공회 이야기 » Blog Archive » 한국 성공회 여성 성직 10주년 생각 Says:

    […] 역사가들은 묻혀 있던 교회 여성의 역할을 추적하고 그 자리를 되살려 내고 있다. 여성 성직은 늘 성공회와 천주교 간 교회 일치 대화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천주교 안에서도 새로운 도전이 계속되고 있지만, 그 미래는 요원하다. 여성 성직에 대한 성공회의 태도를 간결하면서도 잘 드러낸 글은 이것이다. 여성 성직: “무엇”과 “어떻게”의 사고 방식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