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삼일에 듣는 “톰 조드의 유령”

성삼일(Triduum Sacrum)에 듣는 고전적인 성가가 숱하겠으나, 나는 오늘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톰 조드의 유령”(The Ghost of Tom Joad)을 들으며, 이 거룩하고 전복적인 시간을 준비한다.

미국 현대 소설가 존 스타인벡(1902~1968)은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명하고 널리 읽혔지만, 그 자신의 사회주의와 소설이 보여주었던 미국 노동자 계급의 비참한 생활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소설에 담긴 참혹한 현실은 세계화한 자본주의의 패권 아래 곳곳에서 이주 노동자와 같이 여전히 주변부를 떠도는 이들 안에서 확장될 뿐 나아질 기미가 없다. 왜 세상은 쉽게 변하지 않을까?

스타인벡은 노벨 수상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작가는 인간의 증명된 능력을 선언하고 축하하는 일에 헌신해야 하는 존재입니다. 그 능력은 인간의 마음과 정신의 위대함을 위한, 패배 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용맹과 용기를 위한, 그리고 측은지심과 사랑을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나약함과 절망에 대항하는 끊임 없는 싸움에서 이것들은 희망과 저항의 연대를 위한 빛나는 깃발입니다. 인간이 완전하게 되리라는 가능성을 믿지 않는 작가는 문학에 헌신하는 사람도 아니며 문학의 일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평생 성공회 신자(Episcopalian)였던 스타인벡은 역사 속의 교회에 비판적이면서도 복음의 가치인 측은지심과 사랑을 그의 소설에 되살려 놓았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나는 위에 인용한 그의 말에 절반은 동의한다. 측은지심과 사랑을 끝까지 밀고가야 한다는 그의 말을 나는 믿는다. 그리고 그것이 희망과 저항의 연대를 위한 근거여야 한다고 나 스스로 해석할 때 그에게 동의한다.

그러나 그가 피력한 인간의 완전성에 대한 낙관주의에는 쉽게 동의하지 않는다. 적어도 나는, 그가 생각했던 이상이 실제로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펼쳐졌고 펼쳐지는지를 목격했던 후대 사람이니까. 세상이 변하지 않는 여러 까닭 가운데 하나는 그런 낙관주의가 인생 곳곳에 놓인 탐욕과 권력 앞에서 너무도 쉽게 무너진 탓이라 보기 때문이다.

예수의 삶과 고난과 죽음은 바로 이같은 낙관주의의 균열과 그 깨어진 틈에 존재한다. 신앙인은 본질적으로 허튼 낙관주의를 의심하는 비관주의자이며, 억압의 비관주의에 저항하는 낙관주의자이다. 이 균열과 깨진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 부활이 그 빛이다.

스타인벡의 소설 <<분노의 포도>>(1939)가 출간된 지 반세기가 넘은 마당에, 브루스 스프링스틴은 사람이 아닌 <<톰 조드의 유령>>(1995)을 우리 안에 되살려 놓는다. 이 노래를 성삼일 성가로 들으며 나는 톰 조드의 유령, 아니 예수의 유령을 찾는 성삼일을 시작한다.

톰 조드의 유령
브루스 스프링스틴

철길을 따라 걸어가는 사람들
다시 돌아오지 못할 곳으로 가느니
고속도로 순찰 헬기가 산등 위를 날아오고
다리 밑 모닥불 위에선 뜨거운 국물이 끓고 있네
피신처를 지나는 철조망의 끝은
새로운 세계의 질서로 온 것을 환영하고
남서부 어디 차 안에는 가족들이 잠을 자고
집도 없고, 일자리도 없고, 평화도 없고, 휴식도 없는 곳
고속도로는 이 밤에도 생기가 돌지만
누구도 서로 어디로 가느냐고 웃으며 묻지 않느니
나는 이곳 모닥불빛 아래 앉아서
톰 조드의 유령을 찾고 있느니

그는 침낭에서 기도서를 꺼내고
사제는 담배에 불을 붙이고 한 모금 깊이 빨아들이니
꼴찌가 첫째가 되고, 첫째가 꼴찌가 되는 때를 기다리고
지하도 아래 종이상자 안에서
약속된 땅을 향한 편도 차표를 꺼내느니
배에는 구멍이 들고, 손에는 총을 든 땅
돌베개를 베고 잠들며
도시를 흐르는 수로에서 몸을 씻는 땅

고속도로는 이 밤에도 생기가 돌고
모두가 어디로 향하는 지 알고 있지만
나는 모닥불빛 아래 앉아
톰 조드의 유령을 기다리느니

이제 톰이 말하네. “엄마, 경찰이 어떤 사람을 때리고 있을 곳에선 어디든
갓난아기가 배고파 우는 곳에선 어디든
피와 증오를 반대하는 싸움이 있는 곳에선 어디든
저를 보세요, 엄마. 제가 거기 있을 거에요.
누군가 설 자리, 직장과 도움의 손길을 위해 싸움을 벌이는 곳에선 어디든
누군가 자유를 위해 싸우는 곳에선 어디든
그들 눈에서, 엄마, 나를 만날 거에요.”

흠, 고속도로는 이 밤에도 생기가 돌지만
누구도 서로 어디로 가느냐고 웃으며 묻지 않느니
나는 이곳 모닥불빛 아래 앉아서
톰 조드의 유령을 찾고 있느니

(가사 번역: 주낙현 신부)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