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황소, 코끼리, 여우 – 아빌라의 성 데레사

st_teresa_avila.png

황소, 코끼리, 여우 – 아빌라의 성 데레사 축일 (10월 15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기도서 2004>는 교회력의 성인 축일을 선정할 때, 종교개혁 이전의 성인들을 대체로 인정하여 ‘성’(聖: Saint)를 붙이고, 이후의 성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적용했다. 그런데 1965년 <공도문>은 종교개혁으로 서방교회가 갈라진 이후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한 세 분의 성인을 포함했다. 동양 선교의 상징인 ‘성 사베리오 프란시스’(1552년, 축일 12월 3일), 그리고 16세기 수도원 개혁과 영성의 쇄신을 이루어냈던 ‘아빌라의 성 테레사’(1582년, 축일 10월 15일)와 ‘십자가의 성 요한’(1591년, 축일 11월 24일)이다. <공도문 1965>는 왜 예외를 두어 ‘로마 가톨릭 성인들’을 축일로 기념했을까? 그들이 교회에 남긴 족적과 유산이 크고 깊다면, 교파의 구분을 두지 않겠다는 너른 의지였겠다.

스페인 아빌라 지역 출신인 성 데레사(1515년~1582년)는 ‘십자가의 성 요한’(1542년~1591년)과 더불어 그리스도교 영성의 거인으로 불린다. 16세기 서양 정치와 종교의 격동기 속에서 교회의 신앙과 영성을 새롭게 비추었다. 성인은 생명력 없는 교리와 부패하는 교회 개혁에 앞장섰다. 스스로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수도자의 길에 들어서서, 갖은 반대를 뚫고 기도와 영성 생활의 쇄신으로 수도원 개혁을 이뤄냈다.

데레사 성인이 남긴 자서전과 영성 저술, 편지 조각들은 세월을 넘어 더 깊은 기도 생활을 원하는 이들의 큰 사랑을 받으며 읽혔다. 현대에 들어 유행처럼 밀려드는 영성 운동, 혹은 ‘영성주의’는 성인을 십자가의 성 요한과 함께 가장 주목할 영성의 교과서처럼 평가하기도 한다.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완전함’을 향해 내달았던 내면의 영적 여정은 혼란한 시대의 신앙에 확신의 길을 마련해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데레사 성인의 영성이 그 시대와 종교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씨름했던 결과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는 스페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했지만, 유대인이라는 차별의 딱지가 그 가족을 내내 괴롭혔다. 열네 살에 어머니를 여읜 성인은 ‘성모 마리아’에게 어머니를 비춰 자신의 슬픔을 이겨냈다. 탁월한 수도자이긴 했지만, 사회와 종교 전체에서 여성에게 들씌우는 차별을 견뎌야 했다. 게다가 중세 시대에 사람들에게 큰 두려움을 주었던 ‘악마’ 문제에 집착했다. 평생 병고에 시달렸던 그의 삶도 성인의 영성을 이해할 때 헤아려야 할 지점이다.

성인은 당시 교리 중심의 교회와 신학을 ‘신앙 경험이 부족한 상태’라고 비판했지만, ‘성서와 신학을 배우려 하지 않고 체험에만 머물려는 영성가들’에게도 경고했다. 견고한 신앙인은 지적인 연구와 영적인 훈련으로만 탄생한다고 생각했다. 당시 교회는 종교개혁의 격동기 속에서 전통 진영과 개혁 진영이 서로 비난하고, 공동체와 개인이 서로 힘을 겨루면서 정작 그리스도는 놓치고 있다는 판단이었다. 현대 영성가들이 성인을 ‘내면의 영성가’로 축소하는 일은 큰 염려를 불러 일으킨다.

데레사 성인의 전문가인 로완 윌리엄스(전직 캔터베리 대주교)는 성인의 영성이 ‘복음’과 ‘성찬례’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분석한다. 복음에 등장하는 여성의 이야기 속에서 성인은 ‘사회 중심부에 멀어진 이들’ 안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모험과 도전을 새롭게 읽어낸다. 성찬례는 ‘주변부 사람들’과 만나려고 ‘성육신하신 하느님’ 예수를 오늘 우리가 만나는 길이다. 성찬례는 정신적인 회상이나 단순한 상징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에게 오시어 우리의 몸과 영에 깃들어 만나는 실제 경험’으로 받아들일 때만, 신앙인은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길에 들어설 수 있다. 복음과 성찬례 없이는 교회는 물론, 영성도 설 수 없다는 말이다.

그 탓일 테다. 1970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그를 ‘교회 박사’로 선포했다. 여성으로서는 처음이다. 교회와 신앙의 개혁에 단호했던 성인을 일컬어 현대의 어느 작가는 ‘황소처럼 완강하고, 코끼리 피부처럼 두껍고, 여우처럼 지혜로운 성인’이라고 불렀다. 교회의 개혁과 신앙의 쇄신을 향한 그 용기와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성인은 이런 말을 남겼다.

‘흔들리지 마라.
어느 것도 너를 두렵게 하지 못하리니,
모든 것은 지나가리라.
인내하라.
부족함 없이 충분하신 하느님이 늘 곁에 계시리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13일 치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