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

Saturday, March 31st, 2018

DB_MLK.png

교회력의 낯선 인물 – 본회퍼와 킹 목사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2004년 <성공회 기도서>는 1965년 <공도문> 이후에 나온 첫 개정 기도서이다. 되도록 예전 기도서의 관습을 여러모로 존중하려고 애썼다. 성인 축일에 관한 부분이 대표 사례이다. 그래서 “16세기 종교개혁 이전에도 성공회가 지켜왔던 축일로 1965년 공도문에 수록한 성인들의 기념일을” 대체로 수용했다(기도서 28쪽). 큰 변화도 있다. ‘기념일’ 항목에서는 “근현대사에서 그리스도교파를 초월하여 그리스도교 신앙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을 교회력에 넣어 기억하게 했다.

4월의 교회력에는 낯선 ‘기념일’의 주인공 두 분이 눈에 띈다. 디트리히 본회퍼(4월 9일)와 마틴 루터 킹(4월 5일)이다. 두 분은 지난 20세기, 무기력했던 그리스도교와 위태롭던 세계에 신앙의 가르침과 실천으로 깊은 발자국을 남겼다. 본회퍼(1906-1945)는 독일 나치 치하에서 순교한 루터교 목사였고, 킹(1929-1968)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다 총탄에 쓰러진 침례교 목사였다. 두 분 다 서른아홉 해의 생을 불태우고 하느님께로 돌아갔다. 현대 성공회는 신학과 교회의 실천에서 두 분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본회퍼는 탁월한 신학자였다. 당대 독일 신학계의 석학이었던 하르낙의 수제자였으며, 변화하는 현대 사회 안에서 설득력을 잃던 그리스도교에 날카로운 반성의 칼을 들이댔다. 특히, 그리스도교가 여느 종교와 다름없이 개인의 행복과 사회의 안전만을 빌어주는 ‘값싼 은혜’의 수단이 되었다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참된 제자는 십자가에서 부활을 이루신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 ‘값비싼 은총’을 구한다. 신앙인은 세상의 고통을 나누고 세상이 던지는 위험의 대가를 치르며 살아야 한다. 자신의 고백처럼 그는 독일의 독재자이자 유대인 학살자였던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했다. 사전에 발각돼 옥살이하던 그는 히틀러가 자살하기 3개월 전에 교수형으로 순교했다.

킹 역시 촉망받던 신학자였다. 하느님의 사랑을 신학의 가장 깊은 차원으로 이해한 그는 일찍부터 신학과 사목의 길을 결합하여 현장 사목자로 일했다. 킹은 교회뿐만 아니라 거리에서도 인간을 향한 온갖 차별과 불평등을 비판하며 하느님의 사랑과 복음을 선포했다. 그는 예수의 선교 방법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해하고 1960년대 미국 사회의 인종차별에 저항하며 인권운동의 선봉에 섰다. 그는 모든 사람이 차별과 증오를 넘어서서 인종과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서로 존중하고 함께 어울려 만드는 사회를 향한 꿈을 노래하며 행진했다. 출애굽의 모세처럼 마침내 다다른 가나안 땅을 건너보듯이 자신의 운명을 말했던 다음 날, 킹은 백인우월주의자의 총탄에 숨을 거두었다.

본회퍼와 킹은 서로 만난 적이 없다. 그러나 본회퍼는 뉴욕 흑인 동네 할렘가의 경험에서 인종차별과 가난의 문제에서 큰 깨달음을 얻었다. 킹 역시 본회퍼처럼 앞선 신학자들이 마련한 고민에 크게 기댔다. 신학과 신앙은 역사와 사회의 변화 안에서 새롭게 드러나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정직하게 응답해야 한다. 신학의 성찰과 현장의 경험은 서로 뗄 수 없으며,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신앙의 언어로 세상과 대화하며 관여해야 한다. 이렇게 역사가 만난다.

본회퍼와 킹은 어둠이 짙었던 20세기를 용기 있게 살았다. 하느님 앞에 솔직했고, 역사 앞에서 고통받는 이들과 더불어 사는 삶을 선택했다. 그 선택이 전례 안에서 우리 신앙과 실천에도 새겨져 있다. 이렇게 우리는 성인들을 다시 만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3월 31일 치 []

개혁 – 오직 사랑만이

Sunday, October 29th, 2017

universal-priesthood.jpg

개혁 – 오직 사랑만이 (마태 22:34-46)

올해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았습니다. 여러 개신교에서는 특히, 오늘을 종교개혁 주일로 성대히 지킵니다. 독일의 수사 신부 루터가 중세 서방 교회의 부패와 잘못된 신앙 행태를 비판하며 개혁의 깃발을 올린 날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기념하는 여러 행사가 줄을 잇습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사회와 교회를 둘러싼 크고 작은 정치적 변화를 겪느라 너무 바빴는지 모릅니다. 마련된 행사들은 많아도 개혁의 뜻과 가치에 비추어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데는 소홀하지 않았나 반성합니다. 어디 시대, 어느 사회든, 인간을 향한 하느님의 극진한 사랑이 가로막히거나, 인간의 자유롭고 정직한 감사의 찬양이 왜곡되고 억압당한다면, 개혁은 다시 일어나야 합니다.

‘종교개혁’이라는 번역어를 수정해야 합니다. 원래 말이 ‘개혁’(Reformation)이듯, 개혁을 종교에만 한정할 수 없습니다. 실제 역사가 그랬듯이, 개혁은 하느님의 창조세계에 새겨진 뜻과 질서를 기준으로 삼아 우리가 사는 세상과 사회, 교회와 공동체를 바꾸어 나가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성서의 말씀은 개혁의 기준을 한목소리로 증언합니다. ‘하느님이 거룩하시니, 인간도 거룩하여라’(레위 19:2). 우리는 거룩하게 창조되었으니 거룩하게 살 책임이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 자신의 욕심과 영광을 따라 살지 않고, 그리스도처럼 다른 이들의 ‘어머니가 되어 보살피는 사람’(1데살 2:7)이 되어야 합니다. 이제 예수님은 성서의 모든 가르침을 요약합니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자기 몸처럼 사랑하여라”(37-38절). 하느님의 거룩한 존재를 서로 보살피며 사랑하는 일이 개혁의 기준입니다. 이 일을 실천하는 사람이 모두 하느님의 사제입니다. ‘만인 사제’ 혹은 ‘신자의 보편 사제직’이라는 교회의 가르침은 여기에 근거를 둡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사람이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려 만든 논리를 개혁합니다. 고정관념처럼 되뇌는 교리와 신앙생활의 경력은 오히려 예수님의 가르침을 막는 걸림돌이기 쉽습니다. 혈연과 지위는 더욱 그렇습니다. 신앙의 정통성을 ‘다윗의 자손’이라는 족보로 판가름하지 않겠다는 선언이 선명합니다. 그리스도는 족보를 넘고 인맥을 넘습니다. 하느님의 가치인 사랑 앞에서 누구든 무엇이든 굴복해야 합니다.

오직 사랑만이 개혁을 이끌고 완수합니다.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꿈과 미래에 식별의 기준을 둡니다.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숨결이 깃든 인간 존재 자체에 판단의 기준을 둡니다. 이 사랑의 희망 속에서, 얼마 전 우리 성당에서 울려 퍼진 종교개혁기념 음악회의 외침과 찬미가 우리 삶에 이어져야 합니다.

“또 다시 미래를 / 통계를 넘어 미래를 / 정치를 넘어 미래를 / 은하수보다 더 큰 미래를 / 그래, 또 다시 미래를 / 숨쉬는 모든 것들아, 하느님을 찬미하여라. 할렐루야!”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Sunday, July 2nd, 2017

a_cup_of_water.png

배척의 율법 vs. 환대의 은총 (마태 10:40-42)

우리 삶에는 온갖 배척과 환대가 뒤엉켜 있습니다. 조직을 지키려면 바깥에서 온 낯선 이들보다는 안쪽에 있는 인맥에 기대는 편이 더 지혜롭다고들 합니다. 반면, 고인 물이 쉽게 썩는 일을 염려하여, 새로운 물갈이 말고는 공동체의 쇄신과 성장이 어렵다는 주장도 꽤 설득력을 얻습니다. 일상에서는 서로 가까운 사람들도 어떤 이익 분기점이나 감정의 경계 막바지에서는 등을 돌리기 일쑤입니다. 사람이 만든 배척과 환대의 기준은 정갈하지 않고 변덕스럽기만 합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신앙인에게 주시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감추고 덮으려는 거짓 세상을 향하여 진실을 외치고, 힘의 대결로 약속하는 거짓 평화에 저항하여 하느님의 평화를 세우는 일입니다. 이것이 ‘가르치고, 선포하고, 고쳐주라’는 예수님의 명령에 깃든 우리 교회의 선교 사명이자 기준입니다. 녹록지 않습니다. 세상 가치에 물든 종교가 약속하는 성공과 안위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대와는 달리 모진 고생과 박해, 상처와 손해가 뒤따르는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나 진실과 평화의 행동 안에서 제자와 예수님, 그리고 하느님이 서로 안에 머물며 일치하는 신비가 펼쳐집니다(40절). 이 신비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며 확장합니다. 교회가 성장하는 방식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은 이 신비의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식별하여 경계합니다(로마 6:12-23). 그것은 ‘신앙 기득권’과 ‘제멋대로 신앙’입니다. 율법은 애초에 인간의 이기심과 경쟁심을 조절하고 제어하여 공동체를 이루고 살라고 하느님께서 주신 규칙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소수의 종교권력자가 자신은 쏙 빼고 다른 사람들만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율법은 선물이 아니라 지배와 배척의 도구입니다. 이에 대한 반발심으로, 규칙과 제어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는 자칫 공동체를 또 다른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사도 성인은 우리에게 익숙한 지배와 예속, 자유와 정의에 관한 생각을 사뭇 다르게 풀어갑니다. 그 분명한 대조와 역설적인 표현은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 사람은 율법이든 은총이든 지배 아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에 지배받고 사로잡히겠느냐는 선택입니다. ‘죄’는 남을 배척하며 힘을 휘두르는 행동입니다. 그러나 ‘정의’는 다른 사람을 환대하여 섬기는 일입니다. ‘죄’는 제멋대로 개인적인 자기감정과 주장에 골몰하게 합니다. 그러나 ‘정의’는 하느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성찰하여 대화와 배움의 고된 행동에 예속하도록 이끕니다. 제멋대로 세운 배척의 기준과 자유의 환상은 교회를 죽음으로 몰아갑니다. 그러나 밖이든 안이든 새롭게 다가오는 낯선 도전의 은총을 환대하고 견디는 일은 교회와 세상을 풍요롭게 합니다.

자신의 보호막으로 사용하려는 율법과, 고된 도전으로 낯설게 배우려는 은총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선택하고 있나요? 자리를 지키려고 웅크린 배척의 감정과, 초대하며 부딪쳐 나누려는 환대의 마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에 사로잡혀 있나요? 예언자들과 옳은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이들은 오늘 우리 사회와 교회에서 누구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