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환대와 6.10 민주 항쟁
2014년 6월 10일 화요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오전 7시 아침 성찬례 – 주낙현 신부
1열왕 17:7~16 / 시편 4 / 마태 5:13~16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하나이다. 아멘.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
오늘은 6월 10일입니다. 27년 전 오늘 6월 10일은 종교인이든 아니든 우리 한국 사람들이 “세상의 소금”과 “세상의 빛”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경험하고 깨닫는 날이었습니다. 시간이 한참 흘러서야 “6.10 민주 항쟁” 혹은 “6.10 민주화 운동”이라 불리게 된 사건입니다.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약 20일 동안 한국 사회 전역에서 진행된 민주화 시위를 일컫습니다. 27년 전 6월 10일은 수많은 사람의 고통과 아픔, 그리고 희생을 위에 세워진 역사였습니다. 1980년 광주 이후에도 우리 사회에는 통제와 압제가 계속되었고 그에 따른 희생이 잇따랐습니다.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 씨가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다가 숨졌습니다. 당시 정부는 한 생명의 죽음을 “책상을 ‘탁’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말 아닌 말로 덮으려 했습니다. 사실을 은폐하고 조작하려 했으나 진실은 드러나기 마련이었습니다. 박종철 씨가 고문으로 구타와 물고문을 당하다가 죽은 것이 의로운 몇 사람의 용기 있는 증언으로 드러났고, 이 사건은 한국 사회의 민주화 열망에 불을 댕겼습니다.
그럼에도 당시 대통령 전두환은 군사 정권이 만든 헌법을 그대로 유지하겠다고 선언을 했고, 이에 향한 반대 시위가 <호헌철폐, 독재타도>라는 구호와 함께 전국적으로 퍼졌습니다. 그리고 6월 10일 <박종철 군 고문치사 조작, 은폐 규탄 및 호헌철폐 국민대회>로 민주화의 외침을 쏟아내려던 참이었습니다. 그 바로 전날 6월 9일 연세대학교 정문에서 시위하던 연세대생 이한열 씨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경을 헤매게 되었습니다. 이에 격분한 수많은 학생과 시민이 6월 10일 명동 성당을 점거하고 독재 정치를 막을 내리는 싸움이 불길이 되어 올랐습니다. 이를 저지하고 억압하던 당시 정권은 결국 6월 29일 여당의 대표 노태우의 입으로 헌법 개정을 받아들여야 했습니다. 70년대와 80년대를 다 써서 얻은 민주화 운동의 열매였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로부터 며칠 후인 7월 5일 이한열 씨는 숨을 거두었습니다.
서울 주교좌 성당 뜰 한쪽, 사제관 앞 나무 그늘에는 “유월 민주 항쟁 진원지”를 기리는 기념비가 수줍게 앉아 있습니다. 자기 업적을 내세우지 않는 이 수줍음과 27년 전 일어난 역사의 거대한 사건은 큰 대조를 이룹니다.
1987년 6월 10일, “민주 헌법 쟁취 국민운동 본부”는 당시 경찰의 통제로 “국민대회’ 장소인 천주교 명동 성당에 들어가지 못합니다. 이 사정을 알게 된, 서울 주교좌 성당의 주임사제 고 박종기 신부님은 밖에서 서성이며 발을 동동 굴러야 했던 ‘국민운동 본부’ 집행부를 사제관으로 안내합니다. 그리하여 서울주교좌성당과 사제관은 한국 민주화에 획을 긋는 유월 민주 항쟁의 진원지가 되었습니다. 그 두렵도록 암울한 시대에 정의와 자유의 숨통이 트인 작은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이 대조에서 우리는 신앙의 사건을 발견합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의 역사 속에서 우연히 일어났던 작은 환대의 사건을 떠오르게 합니다. 작고 수줍은 처녀 마리아는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자기 배 안에 아기를 품게 되리라는 소식을 듣습니다. 마리아는 이 생명을 그 작은 몸에 받아들입니다. 수줍고 작은 마리아가 천사 가브리엘이 전한 소식을 그 마음에 품어 환대의 공간을 열어주었을 때, 하느님께서 역사에 참여하시는 구원의 역사인 성육신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읽은 구약성서의 엘리야 예언자는 악한 왕 아합을 호되게 비판하고, 그와 그의 왕국에 저주를 내렸습니다. 그 때문에 엘리야는 아합 왕의 탄압을 피해 이리저리 도망 다니며 살아야 했습니다. 결국, 그는 주린 배를 움켜쥐고 사렙다라는 작은 마을에도 숨어들었습니다. 그는 가난한 여인에게 음식을 청합니다. 그 가난한 여인은 아들 하나를 홀로 키우던 과부였고 겨우 한 끼가 될까 하는 식사를 아들과 나눈 뒤에 죽음을 기다릴 작정이었습니다. 여인은 그날 먹을 것 전부를 낯선 손님인 엘리야에게 내어 줍니다, 엘리야는 그 적은 음식을 다시 여인과 나누어 먹으며, 과부의 환대에 하느님의 축복을 전합니다.
마리아의 환대와 사렙다 과부의 환대는 결코 손익계산을 따진 접대가 아니었습니다. 세상의 평판과 효율성과도 한참 거리가 먼일이었습니다. 그저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수줍고 겸손한 환대였습니다. 그래서 그 환대는 더욱 넉넉했고 더 큰 역사가 움텄습니다. 그래서 하느님의 구원이 역사에 관여하는 성육신 사건이 일어났고, 엘리야 예언자는 선포와 사명 활동을 지속했습니다.
소금과 빛이 되는 일은 그리 거창한 일이 아닙니다. 누군가를 받아들이는 일에서 시작됩니다. 자신의 처지 그대로 낯선 이들과 나누는 일에서 시작됩니다.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낯선 일과 낯선 이들에게 마음을 여는 일을 통해서 그저 그만그만한 우리 교회는 뜻밖에도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됩니다.
이 환대를 주저하는 이유와 핑계와 염려가 우리 교회에는 많습니다. 낯선 사람과 주장을 불온하게 여기고 불편해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그 염려와 자신의 편안함에 머문다면 우리는 하느님께서 낯선 이를 통해 주시는 뜻밖의 은총과 축복에서도 제외되고 맙니다. 작은 환대의 용기가 없이는 ‘세상의 소금과 빛이 되라’는 주님의 말씀도 그저 공허해질 뿐입니다. 우리 교회는 이 세상에서 쓸모없이 밟히는 무리가 되고 말 것입니다.
다시 돌아봅니다. 27년 전 6월 10일 그 작은 환대의 자리가 없었다면, 우리 사회의 민주화는 더 많은 희생을 감수했을 수도 있습니다. 더 오랫동안 수많은 사람이 긴 고통을 당했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 주교좌 성당이 이 고통을 줄이는 일에 쓰임 받았으니 하느님께 참으로 감사한 일입니다. 이 수줍은 환대의 신앙과 실천이야말로 우리 신앙인이 세상을 향해 보여야 할 선교입니다.
이제 다시 물어야 합니다. 27년 전 우리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난 세월에 자기 생각과 행동을 맡겨 변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니까요. 지금 우리가 어떤 생각과 어떤 행동을 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그러니 이렇게 물어야 합니다. 우리는 여전히 세상을 향하여 수줍은 환대의 공간을 마련해 주고 있나요? 우리는 사렙다 과부가 엘리야에게 마지막으로 대접한 작은 밀떡을 이 성찬의 식탁에서 나눌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