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의 개념과 전례학 입문하기
전례 (Liturgy)
“백성들의 행동”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레이투르기아”(λειτουργια)에서 유래했으며, 구약성서 칠십인역에서 예배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전례는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그 구성원들이 이루는 신비한 몸으로 드리는 하느님에 대한 공식적인 예식이다 (비오 12세의 전례에 관한 회칙 “하느님의 중재자” Mediator Dei, 1947; “기도의 법, 신앙의 법” lex orandi, lex credendi 참조). 히브리서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대제사장으로서 “레이투르고스”이다 (물론 이 말은 거룩한 전례의 의미에 따른 것은 아니다). 요한 묵시록에는 장엄한 예식을 통해서 하느님과 어린 양에게 돌리는 경배에 관한 묘사가 나온다. 신약성서 서신서들은 예식에서 불렸으리라 추정되는 찬양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것이 예식을 위한 지침은 발견되지 않는다. 초기 첫 세기 동안에 종교적 예식들과 그 안에서 사용되던 기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억하기 위한 식사, 성서 독서와 기도, 그리고 설교와 신앙 고백이라는 기본적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므로 초기의 전통적인 예식문들은 다만 다양한 사례들 가운데 몇몇 본보기일 뿐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예식들이 600년경 로마에서 의무적인 것으로 고착되었다. 신학적인 성찰의 진행에 따라이 공식적인 예문들이 고정된 형식을 갖게 되었으므로, 그 안에 있는 수많은 요소들을 잊어서는 않된다: 즉 중재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지위, 극적인 상징주의 (예수의 삶에 대한 그리고 천상의 전례에 대한), 주님의 죽음에 대한 기억(아남네시스 anamnesis), 그리고 이와 관련된 성인들에 대한 추모 축일 등이다. 이러한 진행 과정의 마지막 단계는 지극히 교회적인 언어 (즉 “죽은” 언어들)를 보전하는 것이었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 헌장”이라는 기간 문서를 통하여 교회는 매우 넓은 원칙을 내놓게 되었다. 그 원칙의 사목적 적용은 우리 세대의 중요한 임무가 되어야 하며, 그 원칙이 가톨릭 신앙 생활의 회복, 즉 예배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에 대한 생각을 회복하는 일에 효과는 실로 엄청난 것이다.”
Karl Rahner and Herbert Vorgrimler ed. Dictionary of Theology, New Revised Version (New York: 1985, Original in German 1961). 280.
칼 라너(Karl Rahner)와 헤브베르트 포그림러(Hebert Vorgrimler)는 로마 가톨릭 교회 자체의 개혁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계 전체에 전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져단 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가 현재진행형인 시점에서 작은 신학 사전을 편집해서 출간했다. 편집자는 이 짧은 사전 표제어에서 전례에 관한 많은 이야기를 담아낸다. 낱말의 유래, 성서적 근거, 전례를 둘러싸고 진행된 역사, 그 내용, 그리고 현대의 흐름과 그 가치 등이 매우 함축적으로 담겨있으므로, 이에 따라 글을 풀어가는 나가면 전례학의 입문서가 되겠고, 여기에 살을 붙여나가며 그 내용들을 추적하는 것이 전례의 연구가 되겠다. 사전 표제어들의 작업은 이런 것이리라. 아쉬운 대로 한국어로 된 좀더 확장된 표제 설명은 주비언 피터 랑, [전례 사전] 박영식 역(서울:가톨릭출판사, 2005) 386-388과 그 위에 이어지는 전례에 관한 다른 표제어를 참조할 수 있겠다. (원제: Jovian P. Lang OFM, Dictionary of the Liturgy, New York: Catholic Book Publishing Co., 1989).
이왕 말이 나온 김에, 영어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몇권의 전례 사전을 추천하라면, 영어권 에큐메니칼 전례학의 산물이라 할 Paul F. Bradshaw ed.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Liturgy and Worship (Lousville;Lond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과 미국 가톨릭 전례학계에서 나온 Peter E. Fink, The New Dictionary of Sacramental Worship (Collegeville: The Liturgical Press, 1990). 전례 혹은 전례학에 대한 이해를 깊이하려면 우선 이런 사전들로 개념을 분명히 하고, 역사와 논점들을 익힌 후에, 뒤에 따르는 참고도서 사항을 통해서 독서를 확장시키는 일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