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적 사회주의 Sacramental Socialism
성공회 전통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아쉬운 흐름이 있다면, 이른바 “성사적 사회주의”(Sacramental Socialism)라 이름지어 부를만한 성공회의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전통이라 하겠다. 이것이 프레데릭 모리스(F.D. Maurice)와 같은 광교회 전통에서 시작되어, 이후 성공회 가톨릭주의(Anglo-Catholicism)의 일군에게로 이어졌을 때, 말그대로 “성사적 사회주의”라는 말이 성립된다. 그 연장 선에 윌리암 템플(William Temple)이나 마이클 램지(Michael Ramsey)와 같은 캔터베리 대주교들이 있었다는 것이 작은 위안이고, 희미하게나마 로완 윌리암스(Rowan Williams) 현 대주교에게도 이어지는 것은 다행이다. 이런 흐름이 희미해지고 주목을 끌지 못하는 처지에 콘라드 노엘(Conrad Noel)과 이 운동을 미국으로 옮겨준 헤이스팅스 스마이스(F.Hastings Smyth)까지를 되돌아 보자고 하는 것은 참으로 가상한 일이 되고 만다. 케네스 리치(Kenneth Reech)가 여전히 분투하고 있나?
지난 관구장 회의에서 주교들이 잔지바르(Zanzibar) 주교좌성당에 방문한 것은 큰 의미가 있었을 것이다. 그곳 성당은 노예 시장터에 위에 노예제 폐지를 기념하고, 노예로 팔려간 아프리카인들을 기억하기 위해 세워졌다. 제대는 바로 노예들이 사슬에 묶인 채 경매되었던 바로 그 자리에 자리잡았다. 교회 건축과 공간 배치에서 전통적으로 제대는 순교자들의 무덤 위에, 십자가를 제대 위에 매달아 배치한 것을 되새겨 보면, 잔지바르 성당 자체는 근대사 속에서 새롭게 이해되는 고난과 구원의 역사를 웅변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그런데도 그곳에 드린 성찬례에서 성찬을 나누지 않은 주교들은 몰신학과 몰역사 이해의 증인들로 뼈아프게 기억될 것이다.)
이 잔지바르 교구에 프랭크 웨스턴 주교(Bishop Frank Weston:1871-1924)가 있었으니, 그는 이 “성사적 사회주의”의 전망과 실천의 단면을 분명하게 표현한 적이 있다. 1923년 런던에서 열린 “성공회 가톨릭 대회”의 폐회 설교의 한 부분이다. 제목은 “오늘 우리의 사명”이다.
여러분이 교회를 위하여 싸울 때,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이며, 그리스도의 현존 안에서 싸우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이것을 잊지 마십시오. 성체를 모신 성막을 지켜내려는 것은 여러분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먼저 진리를 위한 것입니다. 그런 다음 재일치를 위한 것입니다. [우리가] 알아야 할 위대한 진리가 있으니, 그것은 그리스도는 물질 안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령을 물질을 통해서, 하느님을 육체 안에서, 하느님을 성체 안에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거룩한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을 예배하기 위하여 여러분이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면, 여러분은 이제 여러분의 성막을 나와, 여러분 안에 신비하게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와 더불어, 이 세상의 거리로 걸어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도시와 마을 사람들 안에서 같은 예수님을 찾아야 합니다. 빈민촌에 머무시는 예수님에 대한 측은지심이 없이는 여러분은 성막에 있는 예수님을 예배하노라 할 수 없습니다.
…
그러므로 오늘 여러분의 사명은 이것입니다… 나가서 누더기를 걸친 사람들 사이에서, 헐벗은 이들 사이에서, 억압받는 이들과 저임금에 찌든 이들 안에서, 희망을 잃은 사람들 속에서, 그리고 옳은 일을 위하여 싸우는 이들 안에서 예수님을 찾으십시오. 예수님을 찾으십시오. 그리고 그분을 만나거든, 그분의 수건을 여러분의 허리에 메고 그들의 발을 씻겨 주십시오.Frank Weston, “Our Present Duty” Concluding Address, Anglo-Catholic Congress, 1923, with a foreword by Sidney Dark (London: Society of Ss. Peter and Paul, nd.)
via http://anglicanhistory.org/weston/weston2.html
May 4th, 2008 at 4:24 pm
[…] G. Lohfink)의 전망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연결하여 천명한 바 있다. 성공회의 성사적 사회주의 전통과도 맥을 […]
May 6th, 2008 at 12:04 pm
[…] 사회주의(Christian Socialism), 그리고 이후 전례 운동을 통해서 깊어진 성사적 사회주의(Sacramental Socialism)으로 발전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근대 성공회 전통과 […]
February 16th, 2012 at 1:43 pm
[…] 전통, 특히 성사적 사회주의(Sacramental Socialism) 전통에 깊이 자리 잡은 저자이기에, 성공회 신학과 전통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