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직자’ 잡감 2

1.
“영혼을 팔아 먹는 짓”은 무슨 파우스트적인 거창한 일이 아니다. 아니, 그것이라면 오히려 파우스트적인 도전과 고뇌를 칭찬해야 할는지 모른다, 그 불행한 운명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이런 의지도 열망도 없이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 자신이 마주한 어떤 처지에서 자신의 본 생각을 숨기거나 타협하여 그것에 굴복하는 건 오히려 인지상정이겠다. 사람은 생존본능의 노예니까. 그러나 이게 습관이 되어, 다른 사람들의 타협과 잘못을 비난하는데서라야 자신의 본 생각을 드러내어 짐짓 옳은 체하고, 또다시 다른 처지에서 다른 식으로 타협하는 행태는 “영혼을 팔아 먹는 짓”이다. 이 짓은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 일이 성직 사회에서도 넘쳐 나는 지 모르겠다. 이것이 바로 음란한 짓이다.

2.
누군가를 비판하거나 훈계할 때, 자신이 별로 신뢰하지 않는 이들의 말에 근거를 두고 한다면 참으로 한심한 일이다. 어떤 객관적인 사실과 사태에 대한 이야기라 하더라도 그것은 그 사태의 정황에서 늘 해석되고, 그 이해 당사자에 의해서 사실이 조작되는 것이 상식이다. 그런 말에 기대는 순간 그 자신의 신뢰를 깎아 먹게 된다. 이 역시 영혼을 팔아먹는 일의 일종인데, 이런 자기 모순이 그 자신의 비참에서 그치면 다행이련만, 대체로 다른 사람에게 큰 상처를 남긴다. 공공의 적이다.

3.
성서의 기드온은 오합지졸 병사들을 골라내서 집으로 돌려 보냈다. 그 식별 기준은 병사가 전쟁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무의식에서마저 견지하고 있느냐는 것이었다. 여기서 다시 지도자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을 생각한다. 지도자는 바른 식별을 해서 이끄는 사람이다. 골라내거나 쳐내는 일은 그 어감과는 달리 식별을 도와주는 일이다. 그래서 기드온은 겁많은 병사들이 목숨을 잃지 않고 집으로 돌아가게 했고, 삼백명의 정예 군사로 효과적인 전쟁을 치렀다. 집으로 돌아갈 걸로 판정받은 병사들은 고집을 피우지 않아서 죽지 않았다. 성직은 식별을 따르는 행동이지, 고집 피우는 일이 아니다. 그러다간 전쟁도 지고 자기 목숨도 잃는다.

4.
어떤 전략과 전술도, 그리고 어떤 생존 훈련도 시키지 않은 채 밖에 나가서 정체성을 갖춰라, 성장시켜라 하고 윽박지르는 것은 앵벌이하라는 말이다. 그 앵벌이의 실체는 굽신거리고 거짓말하는 일이고, 좀 힘이 있을라 치면 그마저 없는 이를 ‘삥’ 뜯는 일이다. 앵벌이로 나서는 이들 역시 힘에 눌려 여기서 도망칠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 결국 그 일이 반복된다.

5.
사목은 진심어린 격려와 위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어디서든 입에 발린 말들이 되기 쉽다. 그 속내가 속속들이 드러나는 것은 이면에 어떤 복합감정(complex)에 따른 질시와 무시가, 어른이고 젊은이고 할 것 없이 팽만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떤 위계질서와 섞여서 작동하면 사목과 교회는 치마만 슬쩍 두른 이전투구의 장이 된다. 이를 식별하지 못하는 성직자 개인은 불행하고, 그를 지도자로 여기는 교회는 무너진다.

6.
질투와 시기는 차이에 대한 비교에서 비롯된다. 차이가 만만한 것이라면 바르게 경쟁하면 될 일이고, 넘을 수 없는 것이라면 그 차이에서 배우는게 남는 일이다. 질투와 시기는 경쟁을 통한 발전으로 이끌지도 못하고, 배움을 통해서 스스로를 먹이지도 못한다. 하느님께서 저마다 주신 다양한 은사를 늘 설교하면서도 자신은 그 말에 절대로 순응하지 않기에, 결국 복합 감정의 노예가 된다.

7.
가까운 사람들, 자신이 믿는다고 여기는 이들에게는 좀더 인색한 식별의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도전해야 한다는 말일 수도 있다. 그 가까움이 자칫 식별의 눈을 가리고 도전을 멈추게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일들을 자주 경험하고 전해 듣고, 또 발견하게 된다. 그 잣대로 인해서 그와 멀어진다면 오히려 잘된 일이다. 역으로, 무엇이든 받아주리라 생각했는데 애정과 합리로 도전을 해오는 이가 있다면, 그를 붙들어야 하겠다.

8.
누가 그랬던가? “나쁜 사제는 없다, 다만 병든 사제가 있을 뿐.” 문제는 병자가 자신의 병을 돌아다 보지도, 인정하지도 않는다는 것. 그 결과는 나쁜 일들이다. 당연히 사제는 나쁜 일에 가담해서는 안된다. 문제는 사제가 늘 옳은 의사로만 자처할 뿐, 스스로 병들 수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의사도 병들어 죽는다. 손 쉬운 자기 진단법이 있다고 생각한다. 손가락질이 다른 사람에게만 향해 있는가? 누구에게 먼저 부러움과 질시가 먼저 일어나지 않나? 억울하다는 생각에 사로 잡혀 있지 않나? 말과 행동에서 누군가를 무시하거나 내리 누르려 하고 있지 않나? 사실과 논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솟아오른 감정으로 논리를 치장하지 않나? 등 등. 하기야 이런 것들을 물어서 자신의 병증을 진단하려는 사람은 건강한 사람이다. 병든 사람은 이런 진단 자체를 거부한다.

9.
예수께서는 제자들을 더이상 그리 부르지 않고, “벗”이라 부르겠노라 하셨다. 서로들 벗으로 여기지 않으니 불행한 일이다. 어른이고 젊은이고 할 것 없이 이 “벗”에 대한 갈망과 실천을 말과 몸에 속속들이 배이도록 하지 않는 한, 결코 예수를 따르지 못한다.

10.
성직 10년이라는 무게가 나를 무섭게 짓누르는 해에, 되돌아 보고 있는 것들의 편린이다. 이런 수준으로 밖에 돌아보지 못하는 게 스스로 안타깝고 부끄러울 뿐이다. 다만 오늘의 부끄러움을 넘어 내일 주님 앞에 조금씩 가까이 갈 수 있으면 한다. (그러니 이 잡감을 오해 마시라. 아니다. 오해하신다면 더 큰 영광이겠다.)

관련 글: ‘성직자’ 잡감

7 Responses to “‘성직자’ 잡감 2”

  1. 민노씨 Says:

    단어 하나 하나, 문장 하나 하나가 모두 저에게는 깊은 울림과 성찰을 던져 주네요…
    두고 두고 새겨야 할 말씀을 주셨습니다.

    추.
    “오해하신다면 더 큰 영광” 좀 어렵습니다. ^ ^;
    오해하지 않고, 오해하면서 읽을 방법을 알려주시지요.

    [Reply]

    fr. joo Reply:

    민노씨 / “오해”에 관한 독법에 대해 말하자면, 이 글을 누구를 향한 (혹은 읽는 사람을 향한) 비난으로 “오해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에서 들리는 말로 “오해하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Reply]

  2. minoci's me2DAY Says:

    민노씨의 느낌…

    예수께서는 제자들을 더이상 그렇게 부르지 않고, “벗”이라 부르겠노라 하셨다. 서로들 벗으로 여기지 않으니 불행한 일이다. 어른이고 젊은이고 할 것 없이 이 “벗”에 대한 갈망과 실천…

  3. 민노씨 Says:

    블로그 새단장 하셨네요. : )
    이전의 테마가 좀더 투명하고, 맑은 느낌이라면, 이번 테마는 좀더 무겁지만, 깊어지고, 차분해진 느낌이네요. 주신부님의 심경을 반영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이번 테마도 참 좋습니다..

    [Reply]

    fr. joo Reply:

    민노씨 / 예. 그러긴 했는데, 여전히 기본(default)보다는 나은 것 같지 않아, 며칠 후 되돌아 가려던 참이었어요 (아마 default 체질인지). 그런데 민노씨의 느낌에 힘을 실어 좀더 두고 봐야겠군요.

    [Reply]

    민노씨 Reply:

    실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이전의 테마에 좀더 정이 가기는 합니다. ^ ^; 다만 나름 테마 변경에 고심하셨을 주신부님을 생각하니 이전 테마에 대한 제 개인적인 선호를 강조할 수는 없었지요..;;;; 그렇다고 이번 테마가 좋다는 것이 거짓말은 전혀 아니고요. 위에 적은 제 독자로서의 감상도 모두 사실이기는 합니다. ^ ^ 다만 마음에 걸리는 것은 ‘무겁다’는 느낌, 혹은 약간은 ‘우울하다’는 느낌이지요. 깊어지고 차분한 느낌은 좋은데 말이죠…

    [Reply]

    fr. joo Reply:

    민노씨 / 오랜동안 익어서 일까요. 테마를 바꾸는 처지에서도 그 default 테마의 단아함이 여전히 아쉬웠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댓글 시스템때문이었는데, 소탐 대실이라는 생각입니다. (거기서 거깁니다만, 앞 그림이라도 좀 바꿔 보고, 그래도 안내키면 돌아가려고요.)

    다만 민노씨가 엿보신 대로, 제 요즘 처지와 무의식의 상태가 “무겁고, 우울한 느낌”의 테마로 드러나고 말았나 봅니다. 너무 쉽게 들키는 걸 보니 수련의 길이 참 멀었습니다.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