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사목' Category

[전례력 연재] 전례력과 성인 시성

Saturday, May 26th, 2018

Saints.jpg

전례력과 성인 시성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최근 천주교의 프란시스 교종은 오는 10월 14일 교종 바오로 6세와 오스카 로메로 대주교를 시성(諡聖)한다고 발표했다. 바오로 6세(1897-1978)는 2차 바티칸 공의회 도중에 별세한 요한 23세 교종(2014년 시성)을 이어 교회 개혁을 이끌었다. 1966년 성공회 마이클 램지 캔터베리 대주교를 16세기 교회 분열 이후 처음으로 교황청에 초대한 분이다. 교회 일치에 큰 공헌을 해서 ‘대화의 교종’으로도 불린다. 오스카 로메로(1917-1980)는 엘살바도르 독재정권에 항거하며 가난한 민중에 편에서 사목했다. 미사를 봉헌하는 도중에 총에 맞아 순교했다. 엘살바도르의 첫 공식 성인이 된다.

시성 전통은 오랜 역사만큼 다양하고 그 이해도 교단마다 다르다. 처음에 교회는 성인을 순교자에 한정했다. 순교자는 생명을 바쳐 복음을 증언하고 교회를 지켜낸 분이다. 교회는 순교자의 무덤과 유해 위에 제대를 올리고 성당을 지었으며, 그에 따라 성당 이름도 정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가 공인된 4세기 이후 박해가 끝나자, 신앙인이 생전에 보여준 신앙의 가르침과 덕행에 따라 성인을 정했다. 성인이 살았던 지역에서 자연스레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었다.

성인숭배가 남발하자 서방교회에서는 점차 엄격한 시성 절차를 거쳐 주교가 결정했다. 10세기에 이르러 교종만이 결정권을 갖게 됐다. 천주교는 시성을 ‘탁월한 신앙의 위인을 성인의 품위에 올리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신앙인에도 위계질서가 있다는 냄새가 풍긴다. 해당 성인과 관련된 기적도 필수 조건이다. 대중 신심의 문화가 배어 있다.

성인의 신학은 ‘하느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레위기)는 성서에 바탕을 둔다. 사도들의 가르침처럼, 신앙의 본분에 따라 살면 신앙인 모두 ‘거룩한 사람’이다. 사도 바울로는 그의 편지를 받는 교회의 신자를 늘 ‘성도’(saints)라고 불렀다. 성인은 ‘품계’가 아니라, 거룩한 삶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동방교회인 정교회는 초대 교회 관습을 여전히 따른다. 성인의 지정은 여러 청원에 따라 지역 교회와 주교가 검토하여 선포한다. 정교회는 성인을 사도들, 예언자들, 순교자들, 교회의 교부들과 주교들, 수도자들, 그리고 신앙의 의인들로 범주를 나눈다. 천주교 관습인 기적의 유무와 횟수는 따지지 않고, 그가 보인 거룩한 삶과 그 가르침이 정교회 ‘정통’ 교리에 합당한지가 더 중요하다.

성공회는 성서의 성인 신학에 기초하면서도 동서방교회의 역사가 마련한 성인을 존중한다. 성공회에서 천주교와 같은 형태의 시성은 ‘순교자 성인 찰스 1세’ 이후로 없다. 그를 서방교회의 여러 성인과 함께 기도서 전례력에 이름을 올렸을 뿐이다. 성공회는 서방교회 전통을 존중하여 16세기 개혁 이전의 성인을 인정하되 이후로는 신앙의 위인에게 ‘성’(saint)이라는 표현을 붙이지 않았다. 대신, 성서가 말하는 ‘거룩한 신앙의 모범’을 보여준 역사의 신앙인들을 전례력에 넣어 기념한다. 이는 관구 교회의 자유로운 결정이다. 성공회에서는 이름 앞에 붙은 ‘성’(聖) 자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대한성공회는 전통적인 ‘성인’에게만 한정했던 1965년 기도서에 큰 변화를 주었다. 1999년 시험교회예식서를 시작으로 2004년 기도서에 전례력에 수많은 ‘성인’을 넣어 기념한다. 교단과 시대를 막론하여 ‘거룩한 신앙인’을 더 많이 포함하여 따르려 한다. 성인의 신학과 전통에서는 성공회의 품이 더 넓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5월 26일 치 []

[전례력 연재] 예복 유감 – 개성과 일치 사이에서

Saturday, April 28th, 2018

surplices.jpg

예복 유감 – 개성과 일치 사이에서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19세기 작가 스탕달의 <적과 흑>은 격변하던 사회의 권력 대결, 신분 상승의 욕망과 좌절을 그린다. 책 제목은 당시 사회 지배 세력의 복장 색깔이다. 적색은 귀족과 군인, 새로운 욕망과 열정의 상징이다. 흑색은 성직자, 오래된 절제와 지성의 상징이다. 이밖에도 더 많은 뜻이 숨어 있지만, 복장 색깔은 집단의 특성과 통일성을 분명히 드러냈다. 교회는 좋지 못했던 시대를 걷어내고, 원래 좋은 뜻을 되살리는 일도 해야 한다. 전례 예복도 마찬가지다.

교회 전통은 색깔에 신앙의 의미를 담았다(본지 지난 호 ‘전례 색깔’ 글). 13세기에는 성직자의 평상복을 통일했다. 가난하고 혼란한 시대에 성직자의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알아보고 요청하라는 배려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지위와 권력을 겉으로 드러내는 용도로 더 쓰였다. 성직자 안에서도 색깔로 지위를 구별했고, 전례 안의 기능을 드러내는 뜻이 세상의 지위를 으스대는 계급장이 됐다. 이 때문에 16세기 종교개혁은 전례복을 간소화하거나 없앴다. 그 후 천주교회도 성직자의 화려한 평상 옷차림을 금했다.

성공회는 오랜 전통을 되새겼다. 평상복은 사목 기능에, 예복은 전례에 충실하도록 했다. 성직자는 평상복인 검은 캐석을 입고, 사목 예식 때마다 그 위에 중백의를 덧입었다. 여기에 ‘말씀의 권위와 사목’을 강조하는 검은 스카프를 목에 걸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성공회 예복 착용이다. 19세기 말, 전통 회복 운동이 진행되면서 전례색에 따른 제의가 다시 도입됐고, 색깔 영대가 검은 스카프를 대체하며 정착했다. 세계성공회의 예복 착용은 16세기 직후 전통과 20세기에 널리 퍼진 복고 전통이 있다고 해도 좋다. 처음에는 두 전통이 강하게 대립했지만, 지금은 전례의 성격과 봉사의 임무에 따라 적절하게 섞어 사용한다. 성공회다운 해결이다.

대한성공회는 복고 운동의 영향이 깊지만, 두 전통을 잘 혼용했다. 성찬례에서는 제의를 입고, 그 외 사목예식이나 전례 참여에서는 캐석 중백의 영대를 입었다. 그런데 최근에 눈에 띄는 변화가 생겼다. 천주교의 간편 예복이 성공회에도 파고들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캐석과 장백의를 합친 ‘캐석-앨브’라는 일체형 예복이 널리 퍼졌다. 모양으로는 장백의와 닮아서 그 위에 제의를 입기에도 좋다. 문제는 이러면서 성공회 전통의 ‘캐석과 중백의’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참 아쉬운 점은 전례가 만드는 일치감과 미적인 전통의 상실이다. 전례 안에서 예복은 그 일관성으로 전례 공동체의 일치를 드러낸다. 그런데 다양한 디자인과 서로 다르게 보이는 백색의 색조, 입는 형태 등의 불일치가 눈에 더 띈다. 다양한 개성이라기보다는 어수선한 느낌이다. 성공회 전통의 캐석과 중백의가 보여주는 검소하고 단아한 아름다움과 일치감은 희미해졌다. 굳이 다양성을 강조하려면 영대에 표현하는 편이 훨씬 낫다. 이도 일관성과 절제미가 있어야 한다.

수정한 기도서의 전례 지침을 풀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적용했으면 한다(괄호 안은 선택 사항).

* 성찬례 집전

1) 전통 적용: 캐석+장백의 (혹은 일체형 예복) +띠+영대+제의

2) 상황 적용: 일체형 예복 + (띠) + 영대 + (제의)

* 기타 성사 집전:

1) 전통 적용: 캐석+중백의+영대

2) 상황 적용: 일체형 예복 + 영대

* 성직자단 참여 전례와 성직자 순행: 캐석(흑) + 중백의 + 영대

  1. 성공회신문 2018년 4월 28일 치 []

[전례력 연재] 공현절기 – 사라진 빛의 절기

Saturday, January 13th, 2018

Tanner_Magi.png

공현절기 – 사라진 빛의 절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의 절기와 축일에 관한 이 연재는 ‘공현절’의 의미를 다룬 글로 꼭 1년 전에 시작했다(<공현절: 세상의 빛 – 예수와 신앙인> 성공회신문 2017년 1월 21일 치). 그 글에는 이런 사족이 붙었다. “애석하게도 <2004년 기도서>에서는 공현절기가 빠졌다. 다행스럽게도 전례독서에는 공현절기의 뜻과 신학이 사순절 직전까지 드러난다. 나중에라도 공현절기를 회복하여 바로잡을 일이다.” 그러나 곧 배포될 2004년 기도서의 최종 수정판(2018)에서도 공현절기를 회복하지는 못했다. 수정판의 한계 때문이다.

전례력에는 확정된 답이 없다. 긴 역사 안에서 조금씩 발전했고, 그 과정에서 더하고 빼기를 거듭하며 내용과 의미마저 변하고 풍성해졌기 때문이다. 여전히 변할 가능성도 있고 그래야 한다. 그럼에도 교회의 삶을 그리스도의 삶에 일치하게 하려는 노력에는 원칙이 있다.

교회의 시간을 정하는 제1원칙은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부활 사건이다. 여기서 성목요일부터 부활밤까지 이어진 ‘부활-성삼일’의 전례가 마련됐다. 초대 교회 맨 첫 시기에 발전한 ‘부활-성삼일’은 교회의 시간과 전례의 어머니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부활을 중심으로 앞에는 사순절이 준비 기간으로 붙고, 뒤에는 부활 50일 축하 시간이 확장됐다. 교회는 2세기를 넘기기 전에 이미 사순절-성주간-부활성삼일-부활50일-성령강림일의 시간을 확정했다.

여기서 나온 제2원칙은 포개기 작전이다. 그리스도의 사건을 우리 삶에 포개어 우리를 거룩하게 하듯이, 이제는 그리스도의 생애 전체를 교회의 시간에 포개어 시간 전체를 거룩하게 한다는 뜻이다. 4세기에 이르러 주님의 성탄이 주요 축일로 주목받자, 성탄 사건을 부활 사건과 동시에 강조했다. 이미 마련된 부활절기를 그대로 성탄절기에 포갰다. 사순절을 따라서 대림절을, 부활 축제를 성탄축제로, 성령강림일을 성탄인 공현절로 삼았다.

제3원칙은 시간과 의미의 확장이다. 성령강림주일로 부활50일 축제의 대단원을 축하한 뒤에 교회 전통은 성삼위일체주일을 제정했다. 구원의 역사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친교와 일치가 마련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구원받은 교회의 삶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을 따라 사는 일이다. 성공회가 일찍이 전례력의 나머지 시간을 ‘성삼후’(성삼위일체 후 시기)로 표현한 까닭이다. 빼어난 통찰이다.

안타깝게도, <2004년 기도서>는 성공회의 빼어난 전통 두 가지를 지웠다. 절기로서 ‘공현절기’가 사라지고 ‘공현일’만 남았다. 공현절기의 일부였던 ‘주님의 세례 주일’이 아무 뜻 없는 ‘연중시기’의 시작이 됐다. 밋밋하기 짝이 없다. ‘성삼후’를 지켰던 <1965년 공도문>에서도 뒷걸음친 일이다. 실은, 1960년대 이후 천주교가 만든 ‘연중시기’ (또는 ‘보통시기’) 명칭을 그대로 따른 탓이다. 전례의 시간은 그저 ‘보통’이라 부를 수 없다.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이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2000년 기도서 <공동예배>는 공현절기를 살려냈다. 2월 2일의 ‘주님의 성전 봉헌 축일’까지 확장한다. 개정된 세계공동전례독서(RCL)은 교회의 전통을 되살려서 의미를 더 확장했다. 사순직전 주일을 ‘주의 변모 주일’로 삼아 공현절기의 절정을 삼게 했다. 다행히, 2018년 전례독서는 이를 따라 공현 마지막 주일(사순직전주일)에 주의 변모 사건을 읽도록 했다. 성탄의 작은 별이 주님 변모의 빛으로 우주에 널리 빛난다는 공현의 뜻을 확인한다. 이 사건은 이후 걷는 사순절 여정의 막바지에서 부활로 우리를 변하게 하실 예수 부활의 빛과 상통한다.

  1. 성공회 신문 2018년 1월 13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