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 – 낭만과 현실의 식별

Friday, February 6th, 2015

성소'(聖召)에 관하여 큰 오해가 즐비한 듯하다. 특별히, 그것이 성직 성소, 수도 성소인 경우에 그 오해가 크다. 모든 신자가 나누는 성소는 자기 신앙 체험에 근거한 것일 테다. 세례는 모든 신자가 받은 거룩한 부르심의 공개적 징표이다. 그러나 성직 성소와 수도 성소일 때는 ‘구체적인 공동체로 부르심’이라는 점을 깊이 되새겨야 한다.

신앙 체험 안에서 어떤 자유와 해방을 느꼈다고 그것이 곧바로 ‘공동체’ 성소의 근거가 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성직과 수도직을 통해서 좀 더 ‘자유로운 영혼이 되겠다’는 낭만 넘치는 기대는 성직과 수도직 자체에 대한 오해이다. 성직/수도 성소는 현실의 ‘공동체와 그 규칙’ 안으로 들어가는(into) 성소이다. 그 안에서 나눌 책임과 책무까지 따라온다. 그 현실의 제한과 책임 안에서 복음의 전통과 그 실천을 드러내는 일이 ‘공동체 성소’이다.

그러니 이 성소에 좀 더 세심한 식별이 필요하다. 그러지 않고 성직자나 수도자 ‘개인’으로서 좀 더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 ‘자유롭게 내 신앙의 꿈’을 펼쳐보리라는 생각과 의지는 매우 고맙고 가상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교회와 공동체는 물론, 자신의 삶마저도 불행으로 이끌기 일쑤다. 성소와 그 방향에 관한 이해가 부족한 탓이다. 그 기대와 의지는 적어도 성직/수도 성소는 아니다.

만인을 위한 만인의 사제 – 마르틴 루터 축일

Friday, October 31st, 2014

마르틴 루터 축일1

1517년 10월 31일, 모든 성인의 날 전야. 독일 성 어거스틴 수도회 수사 신부이자 신학교수였던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95개 조항으로 정리한 교회 개혁의 글을 비텐베르그 교회 정문에 붙였습니다. 종교개혁의 서막이 열린 순간이었습니다. 하나였던 서방 교회가 분열하여 현재의 천주교와 여러 개신교회로 나뉘는 사건이기도 했습니다.

루터는 수도자로서 엄격한 규율을 따르며 죄의 용서와 구원의 기쁨을 얻고자 했으나 그러지 못해 괴로웠습니다. 더 깊은 기도와 공부를 통해서 그는 마침내 용서와 구원이 하느님께서 인간을 향한 사랑과 자비로 값없이 주시는 선물로 온다는 진리를 깨달았습니다. 신앙의 은총이 그 선물입니다. 앞선 여러 학자와 성직자들의 노력과 성과에 기댄 이 깨달음은 중세 교회와 근대 교회 사이를 잇는 다리이자, 교회 안에서 신앙의 본연을 회복한 분기점입니다.

인간은 죄 때문에 하느님과 관계가 깨졌지만, 하느님은 사랑 때문에 어떤 조건 없이 몸소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셨습니다. 죄인을 ‘의인’이라고 인정해 주신 은총을 깊이 성찰하여 사는 일이 신앙입니다. 이 성찰은 한 인간이 절대자이신 하느님 앞에 홀로 서 있다는 현실을 깨달을 때 더욱 깊어집니다. 하느님을 향한 예배와 인간의 선행은 바로 이 은총에 응답하는 감사와 찬양입니다.

이러한 ‘관계의 회복과 은총의 신학’을 바탕으로 루터는 당시 타락하고 엇나간 교회와 신학을 95개 항으로 조목조목 비판했습니다. 특히, 별세한 조상의 구원을 미끼로 교회가 팔아먹던 면벌부가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행동인지 밝혔습니다. 교회가 바른 신앙과 신학을 잃으면 장사꾼이 되다 못해 사기꾼으로 전락한다는 현실을 고발하고 경고한 일이었습니다.

루터가 가르친 ‘모든 신앙인은 사제’라는 ‘만인 사제직’ 교리는 세월이 흐르면서, 특히 한국 개신교에서 큰 오해를 낳았습니다. 이는 ‘너나 나나 사제, 그러니 특별한 사제가 필요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그리스도인은 만인을 위한 만인의 사제’라는 뜻입니다. 그리스도인은 다른 사람을 위해서 서로 기도를 바치고, 다른 사람을 섬기며 산다는 말입니다. ‘만인을 위한 만인의 사제로서 살아가는 신앙인’이 만인사제직의 핵심입니다. 이렇게 서로 사제가 되어 함께 모인 교회는 세상에 구원을 펼치는 곳입니다.

서로 갈등하는 시대를 살았고 자신도 병고에 시달린 탓인지, 루터의 논리적이고 분명한 주장은 때로 거칠고 사납기도 했습니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앞두고, 한국 교회는 루터의 깊고 성실한 자기 성찰의 신앙과 신학을 외면하지 않았는지, 오히려 그 사나움과 배타성만 배워서 중세 교회의 타락을 되풀이하여 이제는 자신이 개혁의 대상이 되지 않았는지 되새겨야 할 때입니다.

Martin-Luther.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4년 10년 26일치 []

여성 성직, 성공회, 하느님의 선교

Friday, July 25th, 2014

여성 성직, 성공회, 하느님의 선교1

“영국 성공회, 여성 주교 성품 가능!” 최근 우리나라 언론도 ‘영국’ 성공회에서 여성 주교 성품이 법제화되었다는 소식을 앞다투어 전합니다. 그런데 대체로 “영국 성공회 480년 만에 여성 주교 허용”이라는 제목을 달았습니다.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더 들춰보면 정확하지 않고 여러 편견을 담은 표현입니다.

첫째, 성공회는 ‘480년 전’에 시작된 교회가 아닙니다. 원래 하나였던 그리스도교회는 1054년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습니다. 이후 하나로 유지되던 서방교회는 다시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으로 천주교, 성공회, 루터교, 장로교 등으로 나뉘었습니다. 다른 교단이 이 분열의 역사를 어떻게 보든, 성공회는 기원을 초대 교회와 그 선교 역사의 경험에 둡니다. 성공회는 말 그대로 “거룩하고 보편적인 교회”입니다.

둘째, ‘허용’이라는 말은 편견에 사로잡힌 표현입니다. 여성 성직은 누가 누구에게 허용하고 말고 할 일이 아닙니다. 여성은 허용받아야 할 존재가 아니듯이, 여성 성직은 허용받아야 할 문제가 아닙니다. 이를 억지로 금했던 역사가 모자라거나 잘못됐고, 이 잘못을 깨달은 여성과 남성 신자, 성직자들이 오래도록 잘못된 벽을 허물어 더 풍요로운 이해에 다다른 사건입니다.

Women_Bishops_LC_2008_1.jpg
(2008년 세계성공회 주교회의 람베스 회의에 참석한 여성 주교들)

이번 ‘영국’ 성공회의 여성 주교 성품 법제화는 ‘영국’ 성공회의 많은 신자, 특히 여성들이 오래도록 바라며 분투했던 일이고, 교회의 오랜 전통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사건입니다. 더욱이 사제직뿐만 아니라 주교직에도 막힌 벽을 헐어서 여성과 남성, 인간 전체를 향한 하느님 은총과 소명을 새삼 확인했습니다.

세계 성공회 역사 안에서 여성 성직을 이끈 교회는 아시아의 홍콩 성공회였습니다. 1944년 홍콩 성공회는 리 팀 오이 부제를 사제로 서품했습니다. 억지로 막은 담이 허물어진 뒤, 1970년대에 다시 홍콩, 미국, 캐나다 성공회에서 여성 사제 서품이 잇따랐습니다. 한국에서는 2001년 민병옥 부제가 사제 서품을 받아 여성 성직의 길을 열었습니다.

1988년에는 미국 성공회에서 ‘흑인 여성 사제’ 바바라 해리스가 세계 성공회 첫 여성 주교로 성품받았습니다. 세계 성공회 관구의 절반 이상은 사제직에 성의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주교직에서는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스코틀랜드, 호주가 성의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현재 세계 성공회 안에서 여성 주교는 20여 명에 이릅니다. 이제는 ‘첫’ ‘여성’ ‘흑인’ 등과 같은 수식어를 모든 성직에서 없애야 할 때입니다.

여성 성직을 반대하는 정교회와 천주교 등과 나누는 일치에 문제가 생긴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더욱이 주교직은 남성 제자들을 통한 사도적 계승의 한 표현이며, 교회의 일치 수단이라는 주장 때문입니다. 성공회도 교리와 전통을 나누는 일치를 추구합니다. 동시에, 다채로움을 포용하고 초대하는 실천으로 일치의 자리가 더 넓어지고, 예언자적 행동으로 교회의 전통이 풍요로워진다고 믿습니다. 이 너른 일치와 풍요로운 전통은 교회의 선교를 더욱 든든하게 합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선교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여성 성직은 든든한 선교를 향한 하느님의 축복입니다.

  1. 주낙현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7월27일자 주보에 실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