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

Sunday, November 11th, 2018

N_Ferrar.png

신앙의 시작과 끝 – 니콜라스 페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기도서 2004>의 교회력은 새로운 기념일 제정에 사려 깊었지만, 성공회 전통을 우뚝 세운 성인들이 제대로 드러내지는 못했다. 성공회 신학의 기틀을 세운 리차드 후커(11월 3일)나 성공회의 문학적 신앙 방법을 아름답게 드러낸 조오지 허버트(2월 27일)의 이름을 찾을 수 없다. 또 한 명의 이름이 잊혔으니, 니콜라스 페라(Nicholas Ferrar, 1592-1637, 12월 4일)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17세기 잉글랜드에 수도원 운동을 재건한 인물이다. 16세기 중반 헨리 8세는 잉글랜드에 있는 모든 수도원을 철폐했다. 수도원이 엄청난 재산을 가진 데다, 이를 로마 교회에 헌납하는 통로였기 때문이다. 부유함은 수도원의 이상과 맞지 않았고, 부패의 싹이 되었다. 그러나 수도원 자체의 철폐는 공동체로 기도하는 오랜 신앙 전통을 상실하는 표시이기도 했다. 페라는 폐허 위에 수도원 운동의 씨를 뿌렸다.

페라는 재산과 권력을 경계했다. 그는 중세 교회의 재산이 찬란했던 수도회를 세우려 하지 않았다. 그는 부제 성직을 받았지만, 결코 사제가 되려 하지 않았다.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시골로 내려간 그는 친척과 친구들을 모아 수도회 전통의 회칙에 따른 삶을 시작했다. 버려진 교회를 고쳐서 수도원으로 사용하는 한편, 지역에 있는 어린이들을 가르치고, 가난한 이웃의 건강과 복지를 살피는 사목을 펼쳤다. 그들은 금식과 기도 생활에 충실했다. 글을 모르는 이들을 위해서 성서 이야기와 삶의 교훈을 담은 그림책을 편찬하기도 했다.

당시 잉글랜드에서는 수도회에 대한 호감은 거의 사라졌다. 경제적 형편이 나아지면서 금식과 절제 생활도 꺼리는 현상이 많았다. 그 탓인지 페라가 세상을 떠나고 얼마 되지 않아, 그의 수도원은 곧 사라졌다. 그러나 그가 보여준 이 수도원 생활은 초대 교회의 수도원을 되살리는 사례가 되었다. 그 씨앗은 2백 년 후인 19세기에 이르러 잉글랜드와 세계 성공회 전역에서 다시 수도회가 부흥하는 영적인 자산이 되었다.

현대 영미 문학계 최고 시인으로 손꼽히는 성공회 신자 T.S.엘리엇은 “리틀 기딩”(Little Gidding)이라는 긴 시를 남겼다. 그의 유명한 <사중주>로 편찬된 시집의 마지막 네 번째 장이다. 이 “리틀 기딩”은 니콜라스 페라가 내려가 수도원을 세웠던 마을이자, 그 수도원 교회의 이름이었다. 시인 엘리엇은 리틀 기딩을 방문하고 이렇게 노래했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교회력은 세상의 달력인 11월로 마감하며 12월로 다시 시작한다. 12월은 교회 시간(교회력)의 시작 달이지만, 세상 시간(세속력)의 마지막 달이기도 하다. 한 해를 끝내는 시간에 겹쳐 우리는 새로운 일을 다시 시작한다. 신앙인은 자신의 세상 삶을 마감하고 새로운 삶을 따르라고 부름받은 사람이다. 니콜라스 페라는 세상의 권력과 부를 끝내고 작은 시골의 삶 속에서 새로운 수도원과 영성 생활을 시작하며 사람들을 보살폈다. 시간이 교차하는 11월과 12월, 낡은 삶이 끝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여, 이웃을 발견하고 보살피는 시간이 펼쳐진다.

우리가 시작이라 부르는 것은 종종 끝이며
끝을 내는 일이 곧 시작하는 일
그 끝이 우리가 시작하는 곳.

  1.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27일 치 []

[전례력 연재]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Saturday, September 8th, 2018

St_Chrysostom.png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축일 – 9월 13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4세기에 이르러 그리스도교는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 박해 중에도 교세가 늘긴 했지만 순교를 각오하던 처지에서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는 종교로 변한 것이다. 그 파장은 컸다. 지루했던 신학 논쟁을 정치 권력이 나서서 정리했다. 필요했던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회는 점차 세속 정치를 닮아갔다. 로마 정치의 위계질서와 권력 문화가 교회에도 들어왔다. 주교는 신앙의 교사, 사목자, 순교자라는 소명을 벗고, 점차 사회와 종교를 지배하는 권력자가 되었다.

요한 크리소스톰은 피의 순교 시대가 끝난 349년에 태어났다. 홀로 된 어머니의 깊은 신앙 아래서 자란 그는 지식과 교양의 중심지 안티오키아의 교육을 받았다. 당시 지식인의 유행은 수도원에 한동안 들어가 호젓한 생활을 즐기며 겸양과 교양을 젠체하는 것이었다. 요한도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다른 이들과는 달리 엄격한 규칙 생활과 공부를 자처하여 건강이 극도로 나빠졌고 오히려 수도원에서 쫓겨났다.

요한은 성 바실(330-373년)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이 사제 서품받기를 주저하는 이유를 나누었다. 사제직에 관한 그의 고민과 경고는 지금도 유효하다. “칭찬을 즐기지 않으며 자신의 성취[사제직]를 바라는 사람을 나는 알지 못한다. 칭찬을 즐긴다면 그는 받기 원할 것이고, 그가 받기 원한다면, 나중에는 그것을 잃을까 봐 전전긍긍하며 고통 속에 살아갈 것이다.”

요한은 이런 고민을 안고서 뒤늦게 사제가 됐다. 이후 그는 뛰어난 설교자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은 그를 ‘황금의 입’(크리소스토모스)이라고 불렀다. 그의 설교는 지적이고 도전적이었다. 당시에는 우화적 해석(알레고리)이 유행하여 성서의 가르침을 자기 멋대로 내면화하고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한은 성서와 복음이 던지는 도전을 생활의 근거와 명석한 논리, 그리고 뛰어난 연설 기법에 담아냈다. 그의 설교에는 가난한 여성과 어린이를 지켜내야 할 신앙인의 책임이 반복됐다. 마르고 작은 키, 큰 머리에 움푹 패인 눈을 한 그가 외칠 때 사람들은 예언자를 떠올렸다.

예언자 같은 주교가 쉽지 않지만, 그는 주교가 됐다. 398년, 군인들이 그를 납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데려가 주교로 성품한 것이다. 정치 관료들이 꾸민 이 일을 그는 하느님의 섭리로 받아들였다. 그는 주교로서 전례 개혁에 공을 들였다. 그의 성찬기도를 근거로 한 ‘요한 크리스소톰의 전례’는 지금도 동방 전례의 표준으로 쓰인다.

그는 당시 주교들과는 달리 호화로운 생활을 멀리하고 정치인들과 벌이는 사교 모임에도 발길을 들이지 않았다. 처세술이 부족하다고 동료들에게서 비난을 받았고 그의 솔직한 설교와 의견으로 적도 많이 생겼다. 이미 만연한 성직매매, 신자와 성직자 모두 연루된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 “이 수많은 신자, 성직자 가운데 구원받을 이가 얼마나 될까요? 수천 명 가운데 백 명도 안 될 겁니다.” 그는 황실의 향락을 비판하다가 유배를 떠나 407년 9월 14일 흑해의 동부 해안 코마나에서 이생의 죽음을 맞았다.

438년 1월 28일,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왔다. 서방교회는 그가 세상을 떠난 9월 14일에 축일을 지키다가, 7세기에 십자가 축일이 지정되자 13일로 옮겨 지킨다. 동방교회는 그의 유해가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온 날을 축일로 지킨다. 그는 이 생의 유배를 신앙의 순례로 삼아, 죽은 후에도 여러 곳을 옮기며 교회 신앙의 가르침과 본을 보여 주었다. 성인을 ‘교부’라 칭하는 이유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9월 8일 치 []

[전례력 연재]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

Saturday, July 28th, 2018

John_Keble.png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대한성공회 <1999년 시험예식서>는 우리 기도서 역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꾀했지만, 그 제안이 너무 과감한 탓에 외면받고 말았다. 애석한 일은 그 안에 담으려 했던 신학과 신앙의 고민마저 덩달아 묻히고, 성공회 전통의 균형감 있는 회복 노력도 잊혀졌다는 사실이다. 당시 교회력 개정 제안은 성공회 신앙의 넓은 특징을 아울러, 복음주의, 성공회-가톨릭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성인을 넣으려 했다. 이에 따라 각각 존 웨슬리, 존 키블, F. D. 모리스를 올렸으나, 무슨 연유인지 <2004년 기도서>에는 존 웨슬리만 들어갔다.

존 키블(John Keble, 1792-1866) 신부는 19세기 이후 성공회 전통을 새롭게 쓴 ‘옥스퍼드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이 운동은 그가 1833년 옥스퍼드대학교 채플에서 ‘국가의 배교’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영국 의회가 아일랜드 교구 수를 크게 줄이기로 결정한 일이 있었다. 키블과 동료 성직자들은 이 처사가 국가 권력이 함부로 교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신앙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 설교는 복잡한 정치 배경을 살펴야 한다. 요약하자면, 하느님과 그리스도가 국가 권력 위에 있으며, 교회는 복음의 가치로 세속 권력의 방향을 비추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당시 영국의 국교 체제가 교회에 드리운 그늘을 벗어나, 성사인 교회의 독립성을 선언하고, 교회의 바른 전통과 실천에 따라 신앙 쇄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깊은 성찰과 용기가 맞물린 그의 외침에 많은 성직자와 신자가 반응했다. 교회는 역사의 바른 신앙 전통과 질서, 신학과 교리를 되살려서 사회를 이끌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교회와 정치의 관계 방향도 새롭게 조정했다.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성실한 연구와 쇄신의 주장이 소책자로 발행돼 널리 읽혔다. 옥스퍼드 운동을 ‘소책자 운동’(Tractarian Movement)이라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운동에서 뉴먼(Newman)이나 푸지(Pusey)가 아니라 키블의 축일을 기념하려는 이유가 있었다. 뉴먼은 신학의 지적 전통 회복에 힘썼으나 곧 천주교로 넘어갔고, 푸지 역시 천주교에 기울어진 신심 생활 강조가 과도했다. 키블은 자신의 신학 능력과 문학적 재능을 곁들여 성공회 사목 활동에서 이 운동을 꽃 피웠다. 그는 대학의 문학 교수로 짧게 재직한 이후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현장 교회 사목자로 평생 살았다.

키블은 이미 <교회력 – 절기와 축일 주제에 따른 시집>(The Christian Year, 1827)을 출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은 교회 전통이 마련한 ‘그리스도의 시간 살기 계획표’인 전례력에 따라 성서를 읽고 전례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사람이다. 이 시집에서 따온 가사로 만든 수많은 성가는 지금도 널리 사랑받는다. 안타깝게도 우리 성가집에는 하나 밖에 없다. 어느 시편에서 그는 이렇게 노래한다.

“새로운 아침은 모두 사랑이라네 / 우리가 눈 뜨고 일어날 때 밝혀지듯이 / 잠과 어둠을 넘어 안전하게 다가온 사랑이 / 우리의 삶과 힘과 생각을 회복하나니. // …

사소한 것들과 공동의 임무가 / 우리가 바라는 대로 우리의 처소를 꾸며 주리니 / 그것은 우리 자신을 위한 방이 아니라 / 우리를 매일 하느님께로 가까이 이끄는 길이나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7월 28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