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

John_Keble.png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대한성공회 <1999년 시험예식서>는 우리 기도서 역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꾀했지만, 그 제안이 너무 과감한 탓에 외면받고 말았다. 애석한 일은 그 안에 담으려 했던 신학과 신앙의 고민마저 덩달아 묻히고, 성공회 전통의 균형감 있는 회복 노력도 잊혀졌다는 사실이다. 당시 교회력 개정 제안은 성공회 신앙의 넓은 특징을 아울러, 복음주의, 성공회-가톨릭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성인을 넣으려 했다. 이에 따라 각각 존 웨슬리, 존 키블, F. D. 모리스를 올렸으나, 무슨 연유인지 <2004년 기도서>에는 존 웨슬리만 들어갔다.

존 키블(John Keble, 1792-1866) 신부는 19세기 이후 성공회 전통을 새롭게 쓴 ‘옥스퍼드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이 운동은 그가 1833년 옥스퍼드대학교 채플에서 ‘국가의 배교’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영국 의회가 아일랜드 교구 수를 크게 줄이기로 결정한 일이 있었다. 키블과 동료 성직자들은 이 처사가 국가 권력이 함부로 교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신앙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 설교는 복잡한 정치 배경을 살펴야 한다. 요약하자면, 하느님과 그리스도가 국가 권력 위에 있으며, 교회는 복음의 가치로 세속 권력의 방향을 비추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당시 영국의 국교 체제가 교회에 드리운 그늘을 벗어나, 성사인 교회의 독립성을 선언하고, 교회의 바른 전통과 실천에 따라 신앙 쇄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깊은 성찰과 용기가 맞물린 그의 외침에 많은 성직자와 신자가 반응했다. 교회는 역사의 바른 신앙 전통과 질서, 신학과 교리를 되살려서 사회를 이끌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교회와 정치의 관계 방향도 새롭게 조정했다.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성실한 연구와 쇄신의 주장이 소책자로 발행돼 널리 읽혔다. 옥스퍼드 운동을 ‘소책자 운동’(Tractarian Movement)이라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운동에서 뉴먼(Newman)이나 푸지(Pusey)가 아니라 키블의 축일을 기념하려는 이유가 있었다. 뉴먼은 신학의 지적 전통 회복에 힘썼으나 곧 천주교로 넘어갔고, 푸지 역시 천주교에 기울어진 신심 생활 강조가 과도했다. 키블은 자신의 신학 능력과 문학적 재능을 곁들여 성공회 사목 활동에서 이 운동을 꽃 피웠다. 그는 대학의 문학 교수로 짧게 재직한 이후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현장 교회 사목자로 평생 살았다.

키블은 이미 <교회력 – 절기와 축일 주제에 따른 시집>(The Christian Year, 1827)을 출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은 교회 전통이 마련한 ‘그리스도의 시간 살기 계획표’인 전례력에 따라 성서를 읽고 전례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사람이다. 이 시집에서 따온 가사로 만든 수많은 성가는 지금도 널리 사랑받는다. 안타깝게도 우리 성가집에는 하나 밖에 없다. 어느 시편에서 그는 이렇게 노래한다.

“새로운 아침은 모두 사랑이라네 / 우리가 눈 뜨고 일어날 때 밝혀지듯이 / 잠과 어둠을 넘어 안전하게 다가온 사랑이 / 우리의 삶과 힘과 생각을 회복하나니. // …

사소한 것들과 공동의 임무가 / 우리가 바라는 대로 우리의 처소를 꾸며 주리니 / 그것은 우리 자신을 위한 방이 아니라 / 우리를 매일 하느님께로 가까이 이끄는 길이나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7월 28일 치 []

One Response to “[전례력 연재]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

  1. 오인숙 Says:

    Thanks

    [Re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