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행동 연재] 전례 행동의 원칙 –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

Saturday, February 9th, 2019

mattise_dance_1910.jpg

전례 행동의 원칙 –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그리스도교는 다른 여느 종교 예식처럼 형식과 행동이 있지만, 그리스도교만이 지닌 흔들릴 수 없는 기본 원칙이 있다. 우리 신앙의 근거는 인간이 되신 하느님 그리스도의 삶이며, 이분을 따라 살아가는 신앙인 공동체가 새로운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다는 사실이다. 전례는 그리스도의 구원을 사건을 축하하면서, 우리 자신이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하는 시공간이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개인의 사적이고 내적인 신심 행위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더 나아가 공동체의 전례 안에서 사람들이 함께 그 신앙을 표현하도록 요청한다. 사도 바울로 성인이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하고, 신자를 그 지체라고 설명하며 강조한 이유이다. 어떻게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이 되는가? 우리는 세례를 받아 그리스도의 몸으로 초대받고, 성찬례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함께 나누며 한 몸을 이룬다. 세례와 성찬례가 교회 공동체의 전례와 신학의 근거인 이유이다.

그러므로 전례 공동체는 몸으로 함께 신앙을 표현한다. 역사에서는 이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발전했다. 그에 따라 별명이 붙기도 했다. 정교회는 ‘일어서 예배하는 교회’, 로마가톨릭교회는 ‘무릎 꿇는 교회’, 개신교는 ‘앉아 있는 교회’라고 한다. 저마다 그 뜻과 강조가 분명하다.

일어서는 행동은 죽음에서 일어나 부활하신 예수를 상징한다. 무릎 꿇는 행동은 그리스도의 희생을 깊이 성찰하며 참회하려는 표현이다. 앉는 행동은 성서의 말씀과 그 해설인 설교에 조용히 귀 기울이겠다는 생각이다. 교회와 역사의 특성에서 마련된 것이다. 성공회는 어떤 교회로 이름 지을까? 현대 전례 운동의 경험과 배움을 늘 존중하는 성공회는 전례의 흐름과 주제에 따라서 일어서고 무릎 꿇고 앉는 일을 모두 적용한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구원 사건을 기뻐하며 여러 사람과 함께 한 몸을 이루려고 ‘춤추는 교회’라고 하면 어떨까?

춤추며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전례 행동은 성찬례에 근거가 있다. 구원은 창조의 하느님, 구원의 그리스도, 변화의 성령이 협력하여 이루신 사건이다. 전례는 삼위일체의 행동 속에 드러난 협력과 친교를 우리 전례 안에서 닮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이 협력을 생각하여, 전례학자들은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을 다시 정리한다.

첫째, 전례 행동은 성직자나 집전자의 역할만이 아니다. 전례에 참여한 모든 이가 전례의 집전자이다. 예배로 모인 공동체를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성찬례 안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고백하는 그리스도의 현존을 늘 되새겨야 한다.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에 드러난 헌신을 기억하며, 변화를 만드시는 성령을 청원하여 우리는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모두 참여하기 때문이다.

셋째, 이로써 전례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 공동체가 함께 연결된다. 전례의 순간을 넘어서서 우리 일상의 삶으로 그리스도의 삶을 살라는 사명을 받는다. 그것도 신앙인 개인이 아니라 교회로 하나된 선교의 사명을 우리 사회와 세계에서 펼치는 것이다.

넷째, 전례 행동은 전례의 어느 특정한 순간에만 초점을 두지 않는다. 축성의 순간과 같은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전례에 참여하는 모든 순서와 그 행동에 저마다 소중한 뜻이 있다는 점을 깨닫고 이를 되새기며 움직일 때 전례 경험이 더욱 선명해진다.

다섯째, 함께 모여서 드리는 이 전례 행동으로 우리는 개인으로 모여들었다가 교회라는 한 몸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새로운 몸인 교회 공동체의 형성이 전례의 중요한 결과여야 한다.

  1. 성공회 신문 2019년 2월 9일 치 []

[전례 행동 연재] 전례 행동과 몸의 언어

Saturday, January 12th, 2019

연재를 시작하며

그동안 <전례력 연재>를 마감하고, 새롭게 <전례의 행동>을 연재합니다. 전례는 하느님의 구원 사건을 함께 모여 몸과 마음으로 감사하고 축하하는 행동입니다. 신자는 전례 안에서 정신뿐만 아니라 몸으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고 하느님께 감사하며, 전례 행동의 일치 안에서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인 교회를 경험합니다. 새 연재에서는 전례 안에 있는 다양한 행동과 몸짓의 역사와 의미, 방법을 설명합니다.

Orans_Catacomb.png

전례 행동과 몸의 언어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는 하느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펼치신 구원 사건을 신자들이 함께 모여서 감사하고 축하하는 행동이다. 신앙의 선조들이 보여준 모범을 따라 그리스도인은 감사와 축하의 마음을 몸의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내적인 깨달음과 체험을 외적인 상징과 몸짓으로 드러내는 현상은 거의 모든 종교에서 찾을 수 있다.

의례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은 말의 언어와 함께, 몸의 언어가 의사소통의 중요한 차원을 이룬다고 말한다. 그리스도교 전례는 하느님과 인간의 소통, 그리고 인간 사이의 소통이 일어나는 시공간이다. 전례에 담긴 말의 뜻과 몸의 행동이 일치하면 그 소통의 차원은 더 깊어진다. 이 소통 경험 안에서 우리는 하느님과 인간을 향한 마음과 몸짓을 갖춘다. 전례를 신앙의 예절이라고 말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그동안 전례 행동에 대한 오해도 적지 않았다. 역사에서는 몸의 행동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강제했던 일이 있었다. 16세기 개신교 종교개혁은 중세교회에서 만든 의례 행동을 신앙의 문제로 연결하여 비판하기도 했다. 그 결과 개신교 예배는 ‘머리로 드리는 예배’에 집착하여 몸의 행동을 극도로 자제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여러 신앙 운동을 겪으면서 몸의 언어가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다. 마음의 생각과 몸의 표현을 하나로 잇는 일은 ‘온전하게 살아있는 인간이야말로 하느님의 영광’이라고 말한 교부 이레네우스 성인의 가르침과도 닿아 있다. 인간의 몸짓은 하느님을 예배하는 가장 아름다운 행동이다.

또 다른 염려가 없지 않다. 최근 사회 문화의 복고주의 유행을 뜻하는 ‘뉴트로’ 현상은 사소한 전례 행동에 집착하는, 이른바 ‘전례 마니아’를 낳기도 한다. ‘의례주의’라 불리는 이 흐름은 역사에서 자주 되풀이 됐다. 소중하게 기억했던 옛 체험을 간직하려는 마음에서 나왔는지 모른다. 또는 첨단 기술로 단순 정보 전달의 양과 속도가 크게 빨라지면서 자신도 모르게 공허한 마음의 한켠을 위로하려는 몸부림일 수도 있다. 그러나 살아서 감동을 주는 전례는 과거와 현재가 서로 조화를 이루고, 그 안에서 뜻을 헤아려 미래를 바라보며 움직일 때 일어난다.

전례 행동에 관한 고정관념은 대체로 그 역사와 의미를 연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모든 행동은 유래가 있고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발전하면서 의미를 더하거나 빼면서 행동 자체가 변하기도 한다. 이점을 이해하지 못하면 전례 행동의 의미를 지나치게 축소하거나 생명력을 짓누르고 만다. 뜻을 알고 행동하며, 행동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체험하는 일이 전례 행동의 목적이다. 뜻이 담긴 신학과 이를 펼치는 문화의 맥락 안에서 우리는 전례의 행동을 조정하며 쇄신한다. 이때 전례 안에서 몸의 행동은 저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 형성을 돕는다.

전례의 행동과 몸의 언어는 하느님의 구원 사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신자의 의지이다. 이 행동으로 그리스도인은 머리뿐만 아니라 온몸으로 예배를 드린다. 온몸으로 드리는 예배 안에서 우리는 하느님의 펼치신 새로운 세계를 몸의 모든 감각으로 느끼며, 더 큰 하느님의 신비에 자신을 내어 맡길 수 있다.

  1. 성공회신문 2019년 1월 12일 치 []

신에게 솔직히

Sunday, November 18th, 2018

Honest-to-God-John-A-T-Robinson.jpg

신에게 솔직히1

주낙현 요셉 신부 (전례학-성공회신학)

사람에게는 저마다 인생의 책이 있습니다. 자못 진지하게 삶을 생각하기 시작하는 사춘기 무렵의 책들이 그런 자리를 차지하고는 합니다. 국어 선생님이 되고 싶다는 오랜 생각을 접고, 우선 종교와 신학을 공부해보겠다고 다짐한 때가 고등학교 2학년 말이었습니다. 하라는 입시 공부는 안 하고 교과서 뒤에 몰래 펼쳐서 여러 신학책을 읽고는 했습니다. 아직 철모르던 때에 어느 분이 소개해 주신 책 하나가 제 마음을 크게 흔들어 놓았습니다.

<신에게 솔직히> Honest to God (1963년). 그 제목이 마음에 깊이 걸렸습니다. 현실의 교회가 하느님께 솔직하지 않다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어렸지만, 저 자신도 물었습니다. ‘나는 하느님 앞에서 정직한가?’ 책의 저자 존 로빈슨(1919-1983년)은 자신이 겪는 신앙의 의문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흔들리는 신앙의 터전을 어떻게 하면 쇄신할까 고민했습니다. 그가 저명한 성서학자이고 성공회 주교님이라는 사실에 더욱 놀랐습니다. ‘신학자와 주교가 이렇게 터놓고 고민해도 되나?’

로빈슨 주교님은 자신과 비슷한 고민을 안고 씨름한 신학자들을 초대하여 대화합니다. 이 시대에도 하느님을 ‘저 하늘 위나, 이 세상 밖에서’ 찾을 수 있을지 질문합니다. ‘노인의 얼굴을 한 채 심판관을 자처하는’ 신을 상상하는 관습이 옳은 일인지 묻습니다. 그는 성서학자인 불트만을 따라 성서를 새로 읽고 해석하는 방법을 나눕니다. 조직신학자인 틸리히를 읽으며 하느님을 인간 존재의 힘이라고 새롭게 이해합니다. 히틀러에 저항하다 순교했던 본회퍼를 되새기며 세속사회 안에서 ‘하느님 앞에서, 하느님 없이, 하느님과 함께’ 걷는 신앙이 가능한지 성찰합니다.

주교님은 변화한 세상에서 신앙의 의미를 정직하게 나누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이 솔직함때문에 교회에서 큰 비난을 받았습니다. ‘어찌 주교가 이런 망발을 하느냐?’는 험한 말도 나왔습니다. 친구들도 너무 나갔다고 핀잔했습니다. 신자들은 의심 없이 물려받은 신앙을 흔드는 이야기가 불편했습니다. 여러 공격을 받아 외로울 지경이었습니다. 그러나 교회를 떠나려 했던 이들과 교회 밖에 있던 이들은 이 책이 던진 질문으로 하느님과 신앙, 그리고 시대에 관하여 더 깊은 생각을 이어갔습니다.

30여 년 전 그 책을 제게 쥐여 주었던 분이 참으로 고맙습니다. 신앙의 고정관념을 벗어나자 잠시 혼란스러웠지만, 나중에는 솔직하고 깊은 신앙 안에서 자유와 기쁨의 은총을 체험했습니다. 가을 낙엽처럼 헤매는 이들과 동행하시는 하느님을 발견했습니다. 그 책은 다시 누군가에게 줘서 이제는 제 손에 없습니다. 그도 저와 같은 축복을 누렸으리라 믿습니다.

신에게 솔직히. 그 제목만으로도 여전히 마음이 뜨겁고 떨립니다. 신앙을 버릴까 하던 방황을 거쳐, 로빈슨 주교님과 함께 성공회 전통 안에서 정직한 신앙의 길을 걷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솔직한 고민과 정직한 배움 안에서 쉬지 않고 흔들리는 신앙이 참 아름답습니다.

  1.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복음닷컴> 2018년 11월 18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