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일상' Category

[전례력 연재] 성도의 상통 – 추석의 신학

Saturday, September 22nd, 2018

circle-of-friends.jpg

성도의 상통 – 추석의 신학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성공회 기도서>(2004년)의 큰 변화 가운데 하나는 설 명절과 추석 명절을 ‘주요 축일’로 정하고, 주일과 겹칠 때는 주일보다 우선하여 지키게 했다는 점이다. 축일 지정의 전통에도 맞고 우리 문화 존중의 태도를 잘 표현한 일이다(기도서 27쪽). 그런데 명절을 축일로 지키는 일에 관해서 여러모로 살펴야 할 부분도 있다. 그리스도교 신앙 안에서 ‘성도의 상통’ 교리를 명절 예배의 근거로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조상 추모 예식을 조정하여 실천해야 한다.

<기도서>는 추모 예식의 신학 근거를 ‘성도의 상통’ 교리라고 분명하게 밝힌다(806쪽). ‘성도의 상통’은 이 세상을 떠난 사람과 남은 사람의 끊이지 않는 교제를 말하는 정통 그리스도교의 교리이다. 그리스도의 부활로 죽음은 죽음이 아니라 새로운 삶으로 옮아가는 일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느님 앞에서는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의 구분이 없다. 교회는 역사의 모든 신앙인을 ‘성도’(saints)라고 부른다. 교회는 성도의 교제 공간이고 예배는 그 시간이다. 하늘과 땅에서 같은 성도로 서로 기억하고 기도한다는 아름다운 신앙이다.

그래서 그리스도교 초기부터 별세자 추모를 교회에 모여서 했다. 순교자를 기억하고 먼저 떠나간 가족, 동료 신앙인을 추모하는 일은 공동체의 의무였다. 그러나 중세를 거치면서 공동체의 추모 예배는 가족 중심의 사적인 ‘연(煉)미사’로 변했다. 말 그대로, 연옥의 영혼을 위하 드리는 미사라는 뜻이다. 원래는 사목적인 위로와 희망을 담았던 ‘연옥’ 교리가 변질하여, 별세자의 영혼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헌금을 강요하는 부패가 횡행했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연미사’ 뿐만 아니라 ‘별세자를 위한 기도’를 없애고, 추모 예식의 의미를 깍아내렸던 이유다. 성공회는 중세의 잘못을 반복하지도 않고, 종교개혁자들의 속 좁은 태도를 따라 하지도 않았다. 늘 ‘성도의 상통’ 신학으로 중심을 잡았다.

한국에서는 왜 교회 안에서 추모 예식을 드렸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서양 선교사들이 조상 제사와 미신을 없앤다는 이유로 교회의 예법에 따라 교회로 모여 드리게 했다고 추측한다. 제사 관습을 멈추게 하고, 미사와 예배 안에서 신앙 교육 효과를 얻는 방법이었겠다. 이제 선교사 시대를 벗어난 교회는 그리스도교 전통과 우리 관습의 본래 뜻을 함께 헤아려서 새로운 길을 터야 한다.

가족 전체가 신앙인이라면 명절 예배를 성당에 모여서 드리면 좋겠다. 특히, 설과 추석 명절에는 제대 앞에 소박한 음식상을 차리고, 우리 전통의 의미를 되새기도록 한다. 신자들의 기도 부분에서 여러 성인의 이름을 불러 기도하는 성인 호칭 기도에 이어, 별세한 이들의 이름을 부를 수 있겠다. 기도 후에 신자들은 제대를 향하여 모두 정중히 목례하고, 평화의 인사를 함께 나눈 뒤, 성찬의 전례로 이어가도록 한다.

가족 안에서 종교가 서로 달라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명절 예식을 두고 다른 종교 관습 때문에 갈라지는 일을 피해야 한다. 갈등을 중재하는 일이 신앙인의 도리이다. 이때는 성당보다는, 가정에서 드리면 좋겠다. 우리 전통의 음식상을 소박하게 차리고, 절을 할 수도 있다. 신위를 놓지 않고, 초혼(강신) 없이, 순서에 따라 말없이 행동으로만 예를 표한다. ‘성도의 상통’ 신학에서 보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 뒤에 가까운 조상에 관한 기억을 나누는 순서를 갖고, 기도서에 있는 추모 예식 전체나 일부분으로 마칠 수 있다.

예식 준비와 실행에서 세심한 배려도 필요하다. 절 횟수는 두 번으로 하되, 남녀 구별은 두지 않는다. 음식상은 ‘제사상’이 아니라, 예가 끝나면 상을 곧바로 옮겨서 가족 전체가 먹을 수 있는 상차림으로 한다. 여성의 가사 노동이 가중되는 명절 풍습을 신앙인이 먼저 바꿔야 한다. 복잡한 제사상 관습은 오랜 전통이 아니라 조선 말 신분 질서가 어지러워지면서, 저마다 ‘양반 제사상’을 흉내내어 정착했다. 그 노역은 조선의 ‘종’들에서 근대의 ‘여성’으로 넘어왔다. 이를 끊어야 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9월 22일 치 []

[전례력 연재]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

Saturday, June 9th, 2018

Trinity_Celtic_Green.png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과 관련하여 <1965년 공도문>과 <2004년 기도서>의 큰 차이 하나는 성령강림주일 이후 시기의 명칭이다. <공도문>은 이 시기를 ‘성삼후’(성 삼위일체주일 이후)로 불렀지만, <기도서>는 뜻이 불분명하고 밋밋한 ‘연중시기’라고 이름 붙였다. 1960년대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을 그대로 따라 한 결과다. 천주교 내부에서도 말 많은 명칭을 성공회가 한참 후에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1960년대라면, 우리 <공도문>이 나온 바로 그즈음인데, 우리 전통을 깊이 헤아리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천주교는 ‘연중’이라는 말은 라틴어 ‘오디나리우스’에서 번역했다. 그러나 같은 말인데도 쓰임새가 서로 달랐다. 교회에서는 ‘전례의 질서’를 뜻했지만, 세상에서는 ‘그저 보통’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전례의 시간과 주일은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에 그렇게 부를 수 없다. 이 문제를 알아차린 몇몇 성공회 기도서는 ‘연중-보통’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정’(Proper)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지만, 교회의 깊은 전통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표현이다.

서방교회에서 성 삼위일체 주일 관습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하는 이들이 세력을 얻자, 지역 주교들이 정통 교리를 되새겨 강조하는 뜻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이 축일을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로 공식 확정한 때는 14세기이다. 이러한 결정에는 그 4백 년 사이에 영국교회에 뿌리내렸던 전통 때문이라는 주장이 높다. 후에 순교자로 잘 알려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케트(1118-1170년)는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에 성품됐고, 이후로 이 주일을 성삼위일체를 기리는 주일로 지키게 해서 널리 퍼졌다. 그런 탓인지, 영국교회 전례 전통인 ‘사룸 Sarum 전례’는 이후 주일을 모두 ‘성삼후 주일’로 불렀다. 아무래도 우리 <공도문>은 이 전통 아래 있다고 하겠다.

동방교회는 사정이 다르고 울림이 더 크다. 성령강림주일과 성삼위일체주일이 같다. 부활절기의 절정으로서 성령강림사건을 되새겼고, 부활 사건 안에서 구원을 완성하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과 행동에 감사하고 경배하려는 뜻이었다. 부활절기에서 똑 떼어 성령강림 사건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탄생’이라고 풀이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교회는 부활로 얻은 새 생명의 공동체가 성령으로 축성되어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참여하고 일치하면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정교회가 그 다음 주일을 ‘모든 성인의 주일’로 지키는 관습은 이러한 신학적 일관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미 채택한 ‘연중시기’라는 표현은 언젠가 바로 잡았으면 한다. 그 전에 우선 ‘성삼후 시기’는 ‘연중’ 내내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펼치신 구원 행동을 우리 신앙인과 교회의 몸에 되새기는 시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이 시기는 우주와 생명을 창조하시고, 사랑과 희생을 인간을 치유하고 회복하시며, 해방과 자유를 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우리 삶을 포개는 훈련의 시간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처럼 세상이 겪는 기쁨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 서로 참아주고 환대하며, 함께 시련을 이겨내며 희망을 만들어 가는 실천의 시간이다. 푸르른 생명의 상징인 ‘녹색’을 입고 장식하여 생명을 향한 수고와 땀으로 그 열매를 맺어가는 시간이다. 이때 우리는 전례력의 막바지에서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다스리시는 하느님 나라를 만날 수 있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6월 9일 치 []

[전례력 연재] 성 요셉 – 보호와 퇴장의 신앙

Saturday, March 10th, 2018
Hays-Joseph-Icon-Life.jpg

성 요셉 – 보호와 퇴장의 신앙 (3월 19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복음서에 나오는 성 요셉은 역사에 잠시 등장했다가 홀연히 사라졌다. ‘성모 마리아의 배필’, ‘예수의 양 아버지’라는 별칭이 앞에 붙어야 할 정도로 존재감이 얕다. 예수를 적대하는 이들이 그분을 깍아내리며 ‘요셉의 아들’이라고 부를 때나 슬쩍 보이는 이름이다. 성인 이름으로 신명을 정할 때도 구약성서의 ‘꿈장이 요셉’을 선호하지, 이 성인은 인기가 덜하다. 이처럼 별 볼 일 없는 성인이 전례력에 깊이 박힌 까닭은 무엇일까?

네 복음서를 다 뒤지면 요셉은 열두 번 나온다. 대체로 마태오와 루가에 있고, 요한에 이름만 한 번 내비치고, 마르코에는 아예 언급이 없다. 그것도 예수 탄생 사건에 집중돼 있다. 요셉은 젊은 마리아와 약혼했고, 마리아가 이미 임신한 사실을 알고는 괴로워했으나, 천사의 말을 따라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어린 엄마와 아기의 생명을 지키려고 헤로데의 학살을 피해 고향을 떠나 이집트로 피신했다가, 나자렛에 돌아와 정착했다. 예수께서 열 두 살 나던 해에 예루살렘 성전에 다녀왔다는 이야기를 끝으로 요셉은 자취를 감춘다.

초기 교회 전통에서도 요셉은 별로 드러나지 않았다. 4세기 교부 성 제롬이 잠시 언급했지만, 9세기에 이르러서야 마리아 신심에 곁들여 요셉의 지위가 조금씩 떠올랐다. 이때 처음 성인은 ‘주님의 양육자’라는 이름을 얻었고, 3월 19일을 축일로 지키기 시작했다. 예수 탄생 사건 안에서 요셉 성인의 의미를 풀어낸 사람은 13세기 교부 토마스 아퀴나스였다. 요셉이 없었더라면 마리아는 혼외 임신으로 돌에 맞아 죽거나, 헤로데의 학살을 피하지 못했을 테다. 이런 점에서 거룩한 어머니와 아들 안에서 펼쳐질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지켜낸 성인이었다.

토마스 성인의 해석에 따라 교회는 성인에게 ‘겸손한 보호자’라는 뜻을 다양하게 덧붙였다. 16세기 종교개혁 때는 혼란한 교회의 처지를 염려하여, 19세기 근대 세속화로 위기를 맞는 교회를 보호한다는 뜻으로 ‘보편교회의 수호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5년에는 아예 ‘노동자 성 요셉’ 축일을 노동절인 5월 1일로 따로 정하여 노동자의 수호성인으로 삼았다. 노동자의 권리를 교회가 먼저 생각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역사를 두고 대체로 천주교에서 마련한 결정이었으나 성공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동방교회는 성인 축일을 성탄 첫 주일에 지켰다. 일찍부터 성탄 사건에서 성인의 의미를 확인하려는 노력이었을 테다. 흥미롭게도, 천주교는 17세기부터 성가정축일을 성탄과 공현 절기 사이에 지키다가, 1969년 전례력 개정 때, 성탄 후 첫 주일로 옮겼다. 동방교회의 전통을 존중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덧붙여 만든 축일이겠다.

성서와 역사에서 보듯이, 성 요셉은 겸손한 환대와 보호, 용기 있는 퇴장의 성인이다. 자신을 위태롭게 하는 상황을 무릅쓰고 힘없는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품어 지켜냈다. 소임이 끝나자 주저 없이 사라졌다. 환대와 보호 속에 신앙이 움트는 자리가 생긴다. 퇴장하여 생긴 빈자리에 다시 새로운 역사가 피어난다. 교회와 신자의 사명은 성인이 마련한 환대의 공간을 넓히는 일이다. 완고하고 딱딱한 곳에서 갈라지고 부서진 이들과 더불어 틈을 넓히고, 그 사이로 빛의 공간을 품은 요셉의 영성을 사는 일이다. 그리고 삶의 막바지에 하느님께로 조용히 퇴장하는 일이다.

(도판: Fr. Edward M. Hays, The Great Saint Joseph, 20세기)

  1. 성공회 신문 2018년 3월 10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