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 행동 연재] 전례 행동의 원칙 –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

Saturday, February 9th, 2019

mattise_dance_1910.jpg

전례 행동의 원칙 – 그리스도의 몸인 공동체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그리스도교는 다른 여느 종교 예식처럼 형식과 행동이 있지만, 그리스도교만이 지닌 흔들릴 수 없는 기본 원칙이 있다. 우리 신앙의 근거는 인간이 되신 하느님 그리스도의 삶이며, 이분을 따라 살아가는 신앙인 공동체가 새로운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다는 사실이다. 전례는 그리스도의 구원을 사건을 축하하면서, 우리 자신이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하는 시공간이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개인의 사적이고 내적인 신심 행위를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더 나아가 공동체의 전례 안에서 사람들이 함께 그 신앙을 표현하도록 요청한다. 사도 바울로 성인이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하고, 신자를 그 지체라고 설명하며 강조한 이유이다. 어떻게 우리는 그리스도의 몸이 되는가? 우리는 세례를 받아 그리스도의 몸으로 초대받고, 성찬례 안에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함께 나누며 한 몸을 이룬다. 세례와 성찬례가 교회 공동체의 전례와 신학의 근거인 이유이다.

그러므로 전례 공동체는 몸으로 함께 신앙을 표현한다. 역사에서는 이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발전했다. 그에 따라 별명이 붙기도 했다. 정교회는 ‘일어서 예배하는 교회’, 로마가톨릭교회는 ‘무릎 꿇는 교회’, 개신교는 ‘앉아 있는 교회’라고 한다. 저마다 그 뜻과 강조가 분명하다.

일어서는 행동은 죽음에서 일어나 부활하신 예수를 상징한다. 무릎 꿇는 행동은 그리스도의 희생을 깊이 성찰하며 참회하려는 표현이다. 앉는 행동은 성서의 말씀과 그 해설인 설교에 조용히 귀 기울이겠다는 생각이다. 교회와 역사의 특성에서 마련된 것이다. 성공회는 어떤 교회로 이름 지을까? 현대 전례 운동의 경험과 배움을 늘 존중하는 성공회는 전례의 흐름과 주제에 따라서 일어서고 무릎 꿇고 앉는 일을 모두 적용한다. 그렇다면 하느님의 구원 사건을 기뻐하며 여러 사람과 함께 한 몸을 이루려고 ‘춤추는 교회’라고 하면 어떨까?

춤추며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전례 행동은 성찬례에 근거가 있다. 구원은 창조의 하느님, 구원의 그리스도, 변화의 성령이 협력하여 이루신 사건이다. 전례는 삼위일체의 행동 속에 드러난 협력과 친교를 우리 전례 안에서 닮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이 협력을 생각하여, 전례학자들은 몇 가지 중요한 원칙을 다시 정리한다.

첫째, 전례 행동은 성직자나 집전자의 역할만이 아니다. 전례에 참여한 모든 이가 전례의 집전자이다. 예배로 모인 공동체를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둘째, 성찬례 안에서 우리가 경험하고 고백하는 그리스도의 현존을 늘 되새겨야 한다.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에 드러난 헌신을 기억하며, 변화를 만드시는 성령을 청원하여 우리는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모두 참여하기 때문이다.

셋째, 이로써 전례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교회 공동체가 함께 연결된다. 전례의 순간을 넘어서서 우리 일상의 삶으로 그리스도의 삶을 살라는 사명을 받는다. 그것도 신앙인 개인이 아니라 교회로 하나된 선교의 사명을 우리 사회와 세계에서 펼치는 것이다.

넷째, 전례 행동은 전례의 어느 특정한 순간에만 초점을 두지 않는다. 축성의 순간과 같은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전례에 참여하는 모든 순서와 그 행동에 저마다 소중한 뜻이 있다는 점을 깨닫고 이를 되새기며 움직일 때 전례 경험이 더욱 선명해진다.

다섯째, 함께 모여서 드리는 이 전례 행동으로 우리는 개인으로 모여들었다가 교회라는 한 몸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새로운 몸인 교회 공동체의 형성이 전례의 중요한 결과여야 한다.

  1. 성공회 신문 2019년 2월 9일 치 []

[전례력 연재] 6월의 아픔과 한국 성공회 순교자

Saturday, June 23rd, 2018

St_Cecilia_Stefano_Maderdno.png
(성 세실리아의 순교 – 스테파노 마데르노, 1600)

6월의 아픔과 한국 성공회 순교자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화해와 평화의 기운이 한반도를 감싸고 있다. 분단 70년 이후 이어진 대결과 긴장, 갈등과 위협의 어둠이 걷히리라는 희망이 크다. 몇몇 정치 권력자가 만든 일이 아니다.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의 피와 땀과 눈물을 외면하고서는 어떤 권력도 제대로 설 수 없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역사의 질곡을 통과한 이들의 삶과 예수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땀과 눈물과 피를 겹치고 포개어 기억하는 신앙 위에서 참된 평화가 싹 튼다.

그리스도교는 예수의 희생을 따라 목숨을 바친 일을 순교라고 했다. 순교의 본래 뜻은 복음의 증언이다. 예수의 희생과 성인의 순교가 짝을 이룬다. 그리스도교가 공인되기까지 초기 삼백 년 동안 수많은 신앙인이 복음을 증언하다가 붉은 피를 흘렸다. 공인 후 피의 순교는 멈추었으나, 신앙인들은 교회를 바로 세우려는 기도와 노동으로 땀을 흠뻑 흘렸다. 후대에 이르러, ‘피의 증언’을 ‘적색 순교’로, ‘땀의 증언’을 ‘백색 순교’로 이름 붙였다. 교회 역사에서 피와 땀의 순교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번갈아 일어났다.

대한성공회는 한국 전쟁 중에 피의 순교자들을 냈다. 6월의 상처와 아픔이 우리 교회에도 깊이 새겨졌으니, 이 순교를 기억하며 예수의 희생에 드러난 사랑과 희생, 용서와 화해를 살아갈 책임이 크다. 교회 역사가 성인의 축일을 피와 땀의 순교일에 지정하고 기념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대한성공회의 순교자 축일은 역사적 사건에서 동떨어져 있다. 현행 기도서에 나온 9월 26일 ‘모든 한국의 순교자들’은 한국 전쟁 중 성공회 순교자들과는 관련이 없다. 이 날짜는 <1939년 공도문>에 ‘조선인 치명일’로 처음 등장한다. 그 기원은 1925년 조선천주교가 같은 날짜에 지정한 ‘조선 순교 복자 대축일’이 분명하다. 당시 성공회는 다른 교단을 존중하여 ‘조선의 순교자들’을 기념했고, 전쟁 후에 나온 <1965년 공도문>에도 같은 날을 ‘한인 치명일’로 새겼다. 이 때문에 다시 2004년에는 ‘모든 한국인 순교자들’로 잘못 표기했다가, 수정판(2018년)에서 ‘한국의 순교자들’로 바로 잡았다. 그런데 정작 천주교는 1984년 ‘복자’들을 시성하면서, 이 축일을 폐기하고 9월 20일로 옮겨 ‘한국 순교 성인 대축일’을 지킨다.

한국 전쟁 중 성공회 순교자 명단과 순교일도 논란이다. <대한성공회 100년사>(1990년)는 이원창, 윤달용, 조용호, 리도암, 홍갈로 신부와 마리아 클라라 수녀를 순교자로 명시하지만, 같은 해 함께 나온 <선교 백 년의 증언> 중 ‘6.25 동란의 순교자들’ 부분에는 임문환 모세 신부(1900-1950?)의 이름이 나온다. 전쟁 후 북한 지역 성직자의 생사를 파악할 수 없는 처지에서 빼거나 단순 실수로 빠뜨린 모양이다. ‘납치 연행’의 날짜도 기록이 제각각이고, 홍갈로 신부의 순교 날짜 기록도 엇갈린다.

우리 신앙의 역사 속에 새겨진 ‘피의 순교자들’을 다시 확인하고, 순교자 후손과 상의하여 순교자 개인의 별세 날짜를 바로 잡거나 새로 정해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한성공회의 순교자들’ 축일을 따로 지정하여, ‘피의 순교’를 기억하고, 역사에서 잊힌 이들의 아픈 ‘눈물의 순교’를 되새기며, 우리 신앙인이 이어갈 ‘땀의 순교’로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언해야 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6월 23일 치 []

[전례력 연재]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

Saturday, June 9th, 2018

Trinity_Celtic_Green.png

삼위일체의 삶과 연중시기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과 관련하여 <1965년 공도문>과 <2004년 기도서>의 큰 차이 하나는 성령강림주일 이후 시기의 명칭이다. <공도문>은 이 시기를 ‘성삼후’(성 삼위일체주일 이후)로 불렀지만, <기도서>는 뜻이 불분명하고 밋밋한 ‘연중시기’라고 이름 붙였다. 1960년대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을 그대로 따라 한 결과다. 천주교 내부에서도 말 많은 명칭을 성공회가 한참 후에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1960년대라면, 우리 <공도문>이 나온 바로 그즈음인데, 우리 전통을 깊이 헤아리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천주교는 ‘연중’이라는 말은 라틴어 ‘오디나리우스’에서 번역했다. 그러나 같은 말인데도 쓰임새가 서로 달랐다. 교회에서는 ‘전례의 질서’를 뜻했지만, 세상에서는 ‘그저 보통’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전례의 시간과 주일은 모두 특별하고 뜻깊기 때문에 그렇게 부를 수 없다. 이 문제를 알아차린 몇몇 성공회 기도서는 ‘연중-보통’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정’(Proper)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지만, 교회의 깊은 전통에서 보면 여전히 부족한 표현이다.

서방교회에서 성 삼위일체 주일 관습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삼위일체 교리를 거부하는 이들이 세력을 얻자, 지역 주교들이 정통 교리를 되새겨 강조하는 뜻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이 축일을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로 공식 확정한 때는 14세기이다. 이러한 결정에는 그 4백 년 사이에 영국교회에 뿌리내렸던 전통 때문이라는 주장이 높다. 후에 순교자로 잘 알려진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베케트(1118-1170년)는 성령강림주일 다음 주일에 성품됐고, 이후로 이 주일을 성삼위일체를 기리는 주일로 지키게 해서 널리 퍼졌다. 그런 탓인지, 영국교회 전례 전통인 ‘사룸 Sarum 전례’는 이후 주일을 모두 ‘성삼후 주일’로 불렀다. 아무래도 우리 <공도문>은 이 전통 아래 있다고 하겠다.

동방교회는 사정이 다르고 울림이 더 크다. 성령강림주일과 성삼위일체주일이 같다. 부활절기의 절정으로서 성령강림사건을 되새겼고, 부활 사건 안에서 구원을 완성하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과 행동에 감사하고 경배하려는 뜻이었다. 부활절기에서 똑 떼어 성령강림 사건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회의 탄생’이라고 풀이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교회는 부활로 얻은 새 생명의 공동체가 성령으로 축성되어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참여하고 일치하면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정교회가 그 다음 주일을 ‘모든 성인의 주일’로 지키는 관습은 이러한 신학적 일관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이미 채택한 ‘연중시기’라는 표현은 언젠가 바로 잡았으면 한다. 그 전에 우선 ‘성삼후 시기’는 ‘연중’ 내내 삼위일체 하느님께서 펼치신 구원 행동을 우리 신앙인과 교회의 몸에 되새기는 시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이 시기는 우주와 생명을 창조하시고, 사랑과 희생을 인간을 치유하고 회복하시며, 해방과 자유를 주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삶에 우리 삶을 포개는 훈련의 시간이다. 삼위일체 하느님처럼 세상이 겪는 기쁨과 고통을 함께 나누고, 서로 참아주고 환대하며, 함께 시련을 이겨내며 희망을 만들어 가는 실천의 시간이다. 푸르른 생명의 상징인 ‘녹색’을 입고 장식하여 생명을 향한 수고와 땀으로 그 열매를 맺어가는 시간이다. 이때 우리는 전례력의 막바지에서 그리스도께서 왕으로 다스리시는 하느님 나라를 만날 수 있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6월 9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