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

lectionary_bible.jpg

전례독서 –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전례력(교회력)의 목적은 분명하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펼쳐진 구원의 역사를 축하하고, 주님의 삶을 우리 삶에 포개어 사는 일이다. 신앙인은 이를 전례 안에서 훈련하고, 성서 안에서 확인한다. 전례력에 따라 ‘전례독서’(성서정과)를 마련하여 복음에 드러난 주님의 삶과 가르침을 되새기고, 서신성서에서 교회의 신앙을 확인하는 이유이다.

‘전례독서’는 정해진 절기와 주제에 따라 전례 안에서 성서를 읽는 방법이다. 그 기원은 유대교까지 올라간다.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 펼치신 구원 역사를 매년 되새기도록 1년에 걸쳐 ‘토라’(모세오경)를 읽는 전통이 있었다. 그리스도교는 이 전통을 이어받아 일찍부터 전례독서를 마련했고, 전례략이 정비된 5세기에 이르러 그에 맞는 ‘전례독서’가 자리 잡았다. 초기 전례독서는 복음과 서신서로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약은 크게 중시하지 않았고, 시편은 성가대의 노래로 편곡하여 불렀다. 대체로 1년 주기 전례독서로 매년 되풀이하여 읽었다.

1960년부터 전례독서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 천주교는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전례 개혁을 교회 개혁의 첫걸음으로 삼았다. 전통적인 1년 주기 독서를 개정하여, 공관복음서(마태오, 마르코, 루가)에 바탕을 두고, 요한복음서를 주제에 따라 삽입한 3년 주기 독서를 마련했다. 1969년의 천주교 전례독서는 전례독서에 관한 이해를 크게 증진했다. 당시 기도서를 개정 중이던 성공회와 루터교가 이를 적극 수용했고, 다른 개신교들도 잇따라 도입했다. 이로써 3년 주기 주일 성찬례 전례독서와 2년 주기 매일기도(성무일도)의 독서가 마련됐다. 물론, 교단 전통에 따라 조금씩 수정하여 사용한다.

북미 그리스도교 연합 모임인 ‘공동전례문위원회’는 수년의 노력 끝에 1983년 ‘공동전례독서’를 출간했다. 이후 다른 영어권 교회들과 협력을 확대하여 1992년 ‘개정공동전례독서’(Revised Common Lectionary: RCL)를 내놓았다. 성공회는 대체로 이 전례독서를 따른다. 대한성공회는 1983년부터 ‘공동전례독서’를 따르기 시작했다.

주일 전례독서는 3년 주기이다. ‘가’해는 마태오 복음서, ‘나’해는 마르코 복음서, ‘다’해는 루가복음서를 따라 주님의 길을 걷는다. 요한복음서는 주요 절기들(대림/성탄, 사순/부활)에 사용되며, 짧은 마르코 복음서를 보충하여 ‘나’해에는 요한 6장을 덧붙여 사용한다. 전례력의 주제는 같지만, 복음서의 특성에 따라 해마다 강조점이 다르다.

최근 전례독서의 큰 변화는 구약성서의 재발견이다. 구약과 신약에 드러난 구원 역사의 일관성을 확인하고, 구약을 새롭게 해석하려는 노력이다. 전통적으로 구약을 복음서의 주제에 따라 배열한 ‘선택 독서’가 있고, 새롭게 구약의 흐름을 존중한 ‘계속 독서’가 있다. 천주교는 전자를 고수하지만, RCL은 ‘계속 독서’와 ‘선택 독서’를 모두 제시하여 설교자가 선택하도록 배려했다. ‘선택 독서’든 ‘계속 독서’든 한 방식을 선택하면, 한 해 동안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전례독서’가 3년 주기로 반복되는 탓에, 사목 상황과 사목 주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그러나 자의적으로 성서 본문을 선택하는 개신교 예배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데 많은 성서학자가 동의한다. 세계 여러 교회가 같은 전례력을 지키며 같은 성서 본문을 두고 성찰하는 일은 한 분이신 구세주 그리스도를 함께 고백하고 따른다는 중요한 징표이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5월 12일 치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