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배움 위에 선 교회 – 요크의 알퀸

Saturday, October 27th, 2018

“”

배움 위에 선 교회 – 요크의 알퀸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 성공회신문 2018년 10월 27일 치 ))

<성공회 기도서 2004>의 성인 축일에는 근대의 새로운 성인을 여럿 추가했으나, 꼭 기억해야 할 고대의 성인은 소홀히 다뤘다. 축일 개정 원칙을 세울 때, <공도문 1965>의 축일을 최대한 유지하고, 종교개혁 이후 근대 성인을 더 넣자고 했기 때문이다. 역사 전체에 걸쳐 성인들의 중요성을 세심하게 헤아리지 못한 봉합책이었다는 인상이 짙다.

요크의 알퀸(Alcuin of York, 735-804년 )은 한국 기도서에서 한 번도 축일에 들지 못한 성인이다. 8세기 영국 출신의 부제이자 수도원장이었고, 시인, 교회학자, 전례학자였다. 성인은 8세기 서방 교회의 신앙을 학문과 지식에 근거한 지혜의 전통 위에 다시 세워, 교회가 세상을 새롭게 이끌어 나가는 데 크게 공헌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질문과 닮았으나, 교만과 무지도 비슷한 관계이다. 교만하면 배우려 하지 않는다. 조금 배웠다는 사람도 교만에 빠지면 배우기를 멈추거나 알량한 자기 생각을 고집하고 만다. 한편, 배우려 하지 않는 사람은 권위를 내세울 근거가 부족한 탓에 지위로만 교만을 부린다. 자신의 무지를 감추려는 행동이다.

알퀸은 교회가 교만과 무지로 고통받던 시대에 살았다. 샤를마뉴 황제가 서 로마 제국 패망 이후 분열되었던 유럽을 신성 로마 제국으로 통일하던 때였다. 교만의 대결이 만들었던 정치의 오랜 분열을 마감하려는 참이었다. 역사에 쌓아 올린 교부의 전통이 무지로 부서진 상태에서 신앙을 다시 세우려는 때였다.

샤를마뉴 황제는 변방 영국의 학자로 알려진 알퀸을 불러, 무너진 신학과 문학, 그리고 과학의 체계를 다시 세우게 했다. 성인은 학교를 세워 유럽 최초로 인문학 교육을 시작했다. 문법과 수사학, 대화법을 가르쳤다. 지금과는 형태가 다르지만, 문장에 물음표를 처음 만든 사람도 알퀸이었다. 그는 산수와 기하학을 정리하여 교과서를 펴내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를 깊은 사랑의 언어로 표현하는 신학자요, 문학가이기도 했다.

성인은 영국을 비롯하여 지금의 프랑스, 독일 지역을 돌며 학교를 세우고 지식과 학문의 방법을 계속해서 전파했다. 교육과 탐구가 진리를 이해하는 바른길이며, 진리를 흔들리지 않도록 세우는 방법이라고 믿었다. 성실한 연구가 있어야만 교회는 흩어지지 않고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의 꿈과 희망은 성찬례를 비유하여 노래한 시에도 담겨 있다.

내 아침의 세월, 혈기가 넘칠 때, 나는 영국 땅에 씨를 뿌렸지.
그리고 이제 내 저녁 시절, 내 피가 점점 차가워져도,
여전히 프랑스 땅에 씨를 뿌리고 있네.
하느님의 은총으로 두 곳에서 모두 씨가 자라나기를 희망하네.
그래서 달콤한 꿀 같은 성서의 맛을 전하며,
오랜 가르침에 깃든 잘 익은 포도주를 다른 이들이 마시게 하며,
나는 여전히 씨를 뿌리고 있네.

얄팍한 심리학적 경구나, 도통한 척하는 영성적 태도는 사람을 자주 현혹하며 교회를 위태롭게 한다. 성실한 배움과 불편한 지식을 멈추게 하고 교회를 무지의 나락으로 흩어지게 한다. 기도하면서 여전히 진리를 탐구하고 논쟁하고 대화하는 일로만 신앙과 교회는 단단해진다.

교회를 신앙의 지식과 지혜의 전통 위에 세우는 일에 헌신했던 알퀸은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자신의 묘비명에 이렇게 적어달라고 부탁했다.

여기 먼지와 벌레와 재로 덮여있으나
내 이름은 알퀸, 늘 지혜를 사랑했나니
이 묘비를 읽은 이여, 내 삶과 영혼을 기억해 주시오.

[전례력 연재]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Saturday, September 8th, 2018

St_Chrysostom.png

사제의 길, 교회의 길 – 요한 크리소스톰 (축일 – 9월 13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4세기에 이르러 그리스도교는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 박해 중에도 교세가 늘긴 했지만 순교를 각오하던 처지에서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는 종교로 변한 것이다. 그 파장은 컸다. 지루했던 신학 논쟁을 정치 권력이 나서서 정리했다. 필요했던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교회는 점차 세속 정치를 닮아갔다. 로마 정치의 위계질서와 권력 문화가 교회에도 들어왔다. 주교는 신앙의 교사, 사목자, 순교자라는 소명을 벗고, 점차 사회와 종교를 지배하는 권력자가 되었다.

요한 크리소스톰은 피의 순교 시대가 끝난 349년에 태어났다. 홀로 된 어머니의 깊은 신앙 아래서 자란 그는 지식과 교양의 중심지 안티오키아의 교육을 받았다. 당시 지식인의 유행은 수도원에 한동안 들어가 호젓한 생활을 즐기며 겸양과 교양을 젠체하는 것이었다. 요한도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다른 이들과는 달리 엄격한 규칙 생활과 공부를 자처하여 건강이 극도로 나빠졌고 오히려 수도원에서 쫓겨났다.

요한은 성 바실(330-373년)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이 사제 서품받기를 주저하는 이유를 나누었다. 사제직에 관한 그의 고민과 경고는 지금도 유효하다. “칭찬을 즐기지 않으며 자신의 성취[사제직]를 바라는 사람을 나는 알지 못한다. 칭찬을 즐긴다면 그는 받기 원할 것이고, 그가 받기 원한다면, 나중에는 그것을 잃을까 봐 전전긍긍하며 고통 속에 살아갈 것이다.”

요한은 이런 고민을 안고서 뒤늦게 사제가 됐다. 이후 그는 뛰어난 설교자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람들은 그를 ‘황금의 입’(크리소스토모스)이라고 불렀다. 그의 설교는 지적이고 도전적이었다. 당시에는 우화적 해석(알레고리)이 유행하여 성서의 가르침을 자기 멋대로 내면화하고 신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요한은 성서와 복음이 던지는 도전을 생활의 근거와 명석한 논리, 그리고 뛰어난 연설 기법에 담아냈다. 그의 설교에는 가난한 여성과 어린이를 지켜내야 할 신앙인의 책임이 반복됐다. 마르고 작은 키, 큰 머리에 움푹 패인 눈을 한 그가 외칠 때 사람들은 예언자를 떠올렸다.

예언자 같은 주교가 쉽지 않지만, 그는 주교가 됐다. 398년, 군인들이 그를 납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데려가 주교로 성품한 것이다. 정치 관료들이 꾸민 이 일을 그는 하느님의 섭리로 받아들였다. 그는 주교로서 전례 개혁에 공을 들였다. 그의 성찬기도를 근거로 한 ‘요한 크리스소톰의 전례’는 지금도 동방 전례의 표준으로 쓰인다.

그는 당시 주교들과는 달리 호화로운 생활을 멀리하고 정치인들과 벌이는 사교 모임에도 발길을 들이지 않았다. 처세술이 부족하다고 동료들에게서 비난을 받았고 그의 솔직한 설교와 의견으로 적도 많이 생겼다. 이미 만연한 성직매매, 신자와 성직자 모두 연루된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 “이 수많은 신자, 성직자 가운데 구원받을 이가 얼마나 될까요? 수천 명 가운데 백 명도 안 될 겁니다.” 그는 황실의 향락을 비판하다가 유배를 떠나 407년 9월 14일 흑해의 동부 해안 코마나에서 이생의 죽음을 맞았다.

438년 1월 28일, 그의 유해는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왔다. 서방교회는 그가 세상을 떠난 9월 14일에 축일을 지키다가, 7세기에 십자가 축일이 지정되자 13일로 옮겨 지킨다. 동방교회는 그의 유해가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온 날을 축일로 지킨다. 그는 이 생의 유배를 신앙의 순례로 삼아, 죽은 후에도 여러 곳을 옮기며 교회 신앙의 가르침과 본을 보여 주었다. 성인을 ‘교부’라 칭하는 이유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9월 8일 치 []

[전례력 연재]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Saturday, August 25th, 2018

st_augustine_hippo.png

고치며 이어갈 순례의 신앙 – 히포의 성 어거스틴 주교 축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북부 아프리카 히포의 주교 어거스틴(라틴명: 아우구스티누스, 354-430년)은 ‘서방 교회’ 역사상 최고의 신학자로 꼽힌다. 그의 신학은 서방 교회의 형제인 천주교와 성공회, 그리고 모든 개신교에 영향을 주었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외쳤던 ‘성서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어거스틴 신학을 다시 살려내자’는 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의 신학은 초대 교회의 역사와 신학을 종합하여 중세 교회를 열었다. 그는 진리를 향한 여정을 멈추지 않았고, 마침내 그리스도교 신앙의 순례를 새롭게 열었다.

어거스틴은 로마 제국의 변방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 신실한 그리스도인이었던 어머니 모니카가 그를 그리스도인으로 키웠으나 세례는 받지 않았다. 당시 최고 교육을 받으며 법률가가 되려 했으나, 점차 플라톤 철학에 관심을 두고 학자와 교수의 길로 나섰다. 그는 한동안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마니교’에 빠져 어머니의 신앙에서 멀어졌다. 마니교는 세계를 ‘영와 물질’, ‘빛과 어둠’, ‘선과 악’으로 나누고, 두 세력의 싸움으로 우주와 인간의 흥망성쇠를 설명했다. 이 매력적인 이분법과 이원론은 세상을 확고하게 관통하고픈 젊은 어거스틴을 사로잡았다.

그는 마니교의 확실한 이론 체계가 실은 닫힌 사고라는 점을 서서히 알아차렸다. 스스로 영성 엘리트들이라 뻐기던 ‘영지주의자’들의 교만과 무책임한 태도를 확인했다. 그는 머물지 않고 배움의 여행을 계속하되, 얕게 걷지 않고 자신을 던져 그 깊이와 한계를 체험하며 나갔다.

마침내 그는 그리스도교로 돌아왔다. 어머니 모니카의 깊은 기도 때문이라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더 큰 영향을 준 인물은 당시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스 성인(340-397년)이었다. 처음에는 수사학에 뛰어난 주교에게서 논리 기술이나 배우려 했지만, 차츰 그리스도교 신앙의 논리와 깊이에 매료됐다. 그가 사막 수도자 안토니오 성인의 생애를 읽을 때 환청이 들려 펼쳐 읽었다는 로마서 구절은 그의 회심을 이끌었다. “진탕 마시고 취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로마 13:13-14).

그가 방탕하며 살았다는 고백은 신앙적인 과장도 섞여 있다. 결혼하지 않고 십수 년을 함께 살았던 연인과 헤어진 일로 마음의 큰 상처를 겪었다고 고백한다. 그러나 이 여인이 받았을 상처에는 말이 없다. 그는 여기서 얻은 아들과 함께 암브로스 주교에게서 세례를 받는다. 아들은 젊은 나이에 죽는다. 이후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사제가 되고 4년 후에는 주교가 된다. 이후 탁월한 신학자 주교로서 성서 해석과 교리에 관한 저작으로 ‘서방 교회’ 신학의 주춧돌을 놓는다.

그의 유산에는 그늘도 있다. 그의 신학은 마니교의 이분법과 이원론을 완전히 떨치지 못했다는 비판이 꽤 있다. 과거 생활의 죄책감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고, 죄와 악에 관해 집착했다. 그는 교회에 ‘원죄’ 신학을 심어 놓았다. 결혼 후의 성관계도 불가피한 악이라며, 이마저 아기를 갖기 위해서만 용인된다고 했다. 급기야 원죄는 성관계로 유전된다고 주장했다. 이후 교회는 여기에 머물렀고, 바울로 신학을 어거스틴의 눈으로만 읽게 만들었다.

어거스틴의 순례는 계속돼야 한다. 그의 순례가 시대의 그늘 안에 갇히지 않게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고맙게도, 마이클 마셜의 책 <순례를 떠나다>(비아, 2018)는 어거스틴과 함께 걷는 새로운 신앙 순례를 안내한다.

  1. 성공회신문 2018년 8월 25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