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

Saturday, July 28th, 2018

John_Keble.png

존 키블 – 신앙 쇄신과 교회의 책임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대한성공회 <1999년 시험예식서>는 우리 기도서 역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꾀했지만, 그 제안이 너무 과감한 탓에 외면받고 말았다. 애석한 일은 그 안에 담으려 했던 신학과 신앙의 고민마저 덩달아 묻히고, 성공회 전통의 균형감 있는 회복 노력도 잊혀졌다는 사실이다. 당시 교회력 개정 제안은 성공회 신앙의 넓은 특징을 아울러, 복음주의, 성공회-가톨릭주의, 그리고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성인을 넣으려 했다. 이에 따라 각각 존 웨슬리, 존 키블, F. D. 모리스를 올렸으나, 무슨 연유인지 <2004년 기도서>에는 존 웨슬리만 들어갔다.

존 키블(John Keble, 1792-1866) 신부는 19세기 이후 성공회 전통을 새롭게 쓴 ‘옥스퍼드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이 운동은 그가 1833년 옥스퍼드대학교 채플에서 ‘국가의 배교’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영국 의회가 아일랜드 교구 수를 크게 줄이기로 결정한 일이 있었다. 키블과 동료 성직자들은 이 처사가 국가 권력이 함부로 교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신앙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 설교는 복잡한 정치 배경을 살펴야 한다. 요약하자면, 하느님과 그리스도가 국가 권력 위에 있으며, 교회는 복음의 가치로 세속 권력의 방향을 비추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당시 영국의 국교 체제가 교회에 드리운 그늘을 벗어나, 성사인 교회의 독립성을 선언하고, 교회의 바른 전통과 실천에 따라 신앙 쇄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깊은 성찰과 용기가 맞물린 그의 외침에 많은 성직자와 신자가 반응했다. 교회는 역사의 바른 신앙 전통과 질서, 신학과 교리를 되살려서 사회를 이끌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교회와 정치의 관계 방향도 새롭게 조정했다. 이런 주제들에 관하여 성실한 연구와 쇄신의 주장이 소책자로 발행돼 널리 읽혔다. 옥스퍼드 운동을 ‘소책자 운동’(Tractarian Movement)이라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운동에서 뉴먼(Newman)이나 푸지(Pusey)가 아니라 키블의 축일을 기념하려는 이유가 있었다. 뉴먼은 신학의 지적 전통 회복에 힘썼으나 곧 천주교로 넘어갔고, 푸지 역시 천주교에 기울어진 신심 생활 강조가 과도했다. 키블은 자신의 신학 능력과 문학적 재능을 곁들여 성공회 사목 활동에서 이 운동을 꽃 피웠다. 그는 대학의 문학 교수로 짧게 재직한 이후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현장 교회 사목자로 평생 살았다.

키블은 이미 <교회력 – 절기와 축일 주제에 따른 시집>(The Christian Year, 1827)을 출간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은 교회 전통이 마련한 ‘그리스도의 시간 살기 계획표’인 전례력에 따라 성서를 읽고 전례에 참여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사람이다. 이 시집에서 따온 가사로 만든 수많은 성가는 지금도 널리 사랑받는다. 안타깝게도 우리 성가집에는 하나 밖에 없다. 어느 시편에서 그는 이렇게 노래한다.

“새로운 아침은 모두 사랑이라네 / 우리가 눈 뜨고 일어날 때 밝혀지듯이 / 잠과 어둠을 넘어 안전하게 다가온 사랑이 / 우리의 삶과 힘과 생각을 회복하나니. // …

사소한 것들과 공동의 임무가 / 우리가 바라는 대로 우리의 처소를 꾸며 주리니 / 그것은 우리 자신을 위한 방이 아니라 / 우리를 매일 하느님께로 가까이 이끄는 길이나니”

  1. 성공회신문 2018년 7월 28일 치 []

[전례력 연재] 예복 유감 – 개성과 일치 사이에서

Saturday, April 28th, 2018

surplices.jpg

예복 유감 – 개성과 일치 사이에서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19세기 작가 스탕달의 <적과 흑>은 격변하던 사회의 권력 대결, 신분 상승의 욕망과 좌절을 그린다. 책 제목은 당시 사회 지배 세력의 복장 색깔이다. 적색은 귀족과 군인, 새로운 욕망과 열정의 상징이다. 흑색은 성직자, 오래된 절제와 지성의 상징이다. 이밖에도 더 많은 뜻이 숨어 있지만, 복장 색깔은 집단의 특성과 통일성을 분명히 드러냈다. 교회는 좋지 못했던 시대를 걷어내고, 원래 좋은 뜻을 되살리는 일도 해야 한다. 전례 예복도 마찬가지다.

교회 전통은 색깔에 신앙의 의미를 담았다(본지 지난 호 ‘전례 색깔’ 글). 13세기에는 성직자의 평상복을 통일했다. 가난하고 혼란한 시대에 성직자의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알아보고 요청하라는 배려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지위와 권력을 겉으로 드러내는 용도로 더 쓰였다. 성직자 안에서도 색깔로 지위를 구별했고, 전례 안의 기능을 드러내는 뜻이 세상의 지위를 으스대는 계급장이 됐다. 이 때문에 16세기 종교개혁은 전례복을 간소화하거나 없앴다. 그 후 천주교회도 성직자의 화려한 평상 옷차림을 금했다.

성공회는 오랜 전통을 되새겼다. 평상복은 사목 기능에, 예복은 전례에 충실하도록 했다. 성직자는 평상복인 검은 캐석을 입고, 사목 예식 때마다 그 위에 중백의를 덧입었다. 여기에 ‘말씀의 권위와 사목’을 강조하는 검은 스카프를 목에 걸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성공회 예복 착용이다. 19세기 말, 전통 회복 운동이 진행되면서 전례색에 따른 제의가 다시 도입됐고, 색깔 영대가 검은 스카프를 대체하며 정착했다. 세계성공회의 예복 착용은 16세기 직후 전통과 20세기에 널리 퍼진 복고 전통이 있다고 해도 좋다. 처음에는 두 전통이 강하게 대립했지만, 지금은 전례의 성격과 봉사의 임무에 따라 적절하게 섞어 사용한다. 성공회다운 해결이다.

대한성공회는 복고 운동의 영향이 깊지만, 두 전통을 잘 혼용했다. 성찬례에서는 제의를 입고, 그 외 사목예식이나 전례 참여에서는 캐석 중백의 영대를 입었다. 그런데 최근에 눈에 띄는 변화가 생겼다. 천주교의 간편 예복이 성공회에도 파고들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캐석과 장백의를 합친 ‘캐석-앨브’라는 일체형 예복이 널리 퍼졌다. 모양으로는 장백의와 닮아서 그 위에 제의를 입기에도 좋다. 문제는 이러면서 성공회 전통의 ‘캐석과 중백의’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참 아쉬운 점은 전례가 만드는 일치감과 미적인 전통의 상실이다. 전례 안에서 예복은 그 일관성으로 전례 공동체의 일치를 드러낸다. 그런데 다양한 디자인과 서로 다르게 보이는 백색의 색조, 입는 형태 등의 불일치가 눈에 더 띈다. 다양한 개성이라기보다는 어수선한 느낌이다. 성공회 전통의 캐석과 중백의가 보여주는 검소하고 단아한 아름다움과 일치감은 희미해졌다. 굳이 다양성을 강조하려면 영대에 표현하는 편이 훨씬 낫다. 이도 일관성과 절제미가 있어야 한다.

수정한 기도서의 전례 지침을 풀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적용했으면 한다(괄호 안은 선택 사항).

* 성찬례 집전

1) 전통 적용: 캐석+장백의 (혹은 일체형 예복) +띠+영대+제의

2) 상황 적용: 일체형 예복 + (띠) + 영대 + (제의)

* 기타 성사 집전:

1) 전통 적용: 캐석+중백의+영대

2) 상황 적용: 일체형 예복 + 영대

* 성직자단 참여 전례와 성직자 순행: 캐석(흑) + 중백의 + 영대

  1. 성공회신문 2018년 4월 28일 치 []

[전례력 연재] 신비, 신앙과 이성 사이 – 토마스 아퀴나스 축일

Saturday, January 27th, 2018

Thomas_Aquinas_by_Fra_Bartolommeo.jpg

신비 – 신앙과 이성 사이 – 토마스 아퀴나스 축일1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1225-1274)은 그리스도교, 특히 서방교회 최고의 신학자로 꼽힌다. 그가 남긴 <신학대전>(Summa Theologiae) 은 당시 그리스도교에 큰 도전이자 집대성이었으며, 이후로도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교회는 그를 ‘천사와 같이 위대한 학자’로 불렀다. 그가 세상을 떠난 3월 7일이 축일이었으나 사순절기인 탓에 그의 위대한 생애를 적절히 기념할 수 없었다. 1969년 천주교의 전례력 개정에서는 그의 유해를 프랑스 툴루즈 자코뱅 성당으로 옮긴 600주년을 기념하여 축일을 1월 28일로 옮겼고, 성공회도 이날을 따른다.

토마스 성인은 이탈리아 아퀴노 지방의 귀족 가문에 태어났다. 부모의 강요로 당시 출세가 보장된 베네딕트 수도회에 입회했으나 곧 ‘탈출’하여, 새롭게 등장한 설교 수도회인 도미니코회에 몸을 담았다. 이 수도회는 겸손과 절제와 가난의 삶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의 진리를 깊이 연구하고 정리하여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하는 일에 힘썼다.

오늘처럼 13세기 교회도 혼란스러웠다. 교회 권력자들은 관습과 교리에 기대어 자신의 입지를 변명하기 일쑤였다. 새로운 영성을 주장하는 이들도 사적인 종교체험을 부풀려 전통과 신학을 내치고 지성을 거부했다. 성찰하는 지식과 연구에 소홀하면 교회의 기초는 무너진다. 부패와 타락이 스며들고, 근거와 논리가 몹시 부족한 주장이 깨달음인 양 판을 친다. 토마스 성인의 의지는 뚜렷했다. 신앙인은 성서의 말씀과 교회의 가르침을 자신이 처한 상황 속에 맞게 새로운 언어와 논리로 끈질기게 묻고 대답해야 한다.

토마스는 고위 성직자나 신학자와 논쟁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런 성인을 시기하고 질투한 사람도 많았다. 처세술도 모르고 ‘무식한 황소’처럼 덤비는 ‘젊은 급진파’라고 핀잔했다. 그의 주장은 너무 ‘급진적’이라는 명목으로 여러 번 교회의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스승 알베르토는 토마스의 성실함과 총명함이 교회를 구할 것이라며 변호하고 응원했다. 이러한 보호와 가르침 속에서 성인은 하루도 쉬지 않고 연구하며 글을 썼다.

성인의 관심은 신앙과 이성의 조화였다. 신앙의 은총은 자연 세계와 인간 이성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자연과 이성의 완성이었다. 신앙과 이성이 서로 도울 때라야 오히려 둘이 건강하게 제대로 선다. 그는 시대의 질문을 궁리하고 시대 학문과 대화했다. 당시 떠오르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용하여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소통하려고 애썼다. 그 결실이 <신학대전>이다.

위대한 성인 학자는 신비 앞에 겸손했다. 어느 날 신비 체험을 한 뒤 그는 붓을 놓고 글을 멈추었다. 그의 제자가 옆에서 물었다. “선생님, 왜 글을 쓰지 않고 멈추십니까?” “이제는 글을 쓸 수 없다. 내가 지금까지 쓴 모든 것이 다 지푸라기와 같구나.” 성인은 자신과 시대의 한계를 분명히 식별하고 손을 놓을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 후로 그는 글을 쓰지 않았다. 3개월 후, 교회 공의회에 참가하는 여행길에서 세상의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나이 마흔아홉이었다.

후대의 역사가는 토마스 성인이 경험한 또 다른 신비 체험을 전했다. 절필 선언 후 자신의 저작을 모두 ‘지푸라기’ 같다고 말하던 성인에게 예수께서 나타나 위로하셨다. “토마스, 너는 나에 관해서 정말 잘 썼다. 너에게 어떤 보상을 줘야 할까?” 성인이 대답했다. “아무것도 없습니다. 오직 주님만 있으면 됩니다.”

  1. 성공회 신문 2018년 1월 27일 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