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성직, 성공회, 하느님의 선교

여성 성직, 성공회, 하느님의 선교1

“영국 성공회, 여성 주교 성품 가능!” 최근 우리나라 언론도 ‘영국’ 성공회에서 여성 주교 성품이 법제화되었다는 소식을 앞다투어 전합니다. 그런데 대체로 “영국 성공회 480년 만에 여성 주교 허용”이라는 제목을 달았습니다.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더 들춰보면 정확하지 않고 여러 편견을 담은 표현입니다.

첫째, 성공회는 ‘480년 전’에 시작된 교회가 아닙니다. 원래 하나였던 그리스도교회는 1054년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습니다. 이후 하나로 유지되던 서방교회는 다시 16세기 유럽의 종교개혁으로 천주교, 성공회, 루터교, 장로교 등으로 나뉘었습니다. 다른 교단이 이 분열의 역사를 어떻게 보든, 성공회는 기원을 초대 교회와 그 선교 역사의 경험에 둡니다. 성공회는 말 그대로 “거룩하고 보편적인 교회”입니다.

둘째, ‘허용’이라는 말은 편견에 사로잡힌 표현입니다. 여성 성직은 누가 누구에게 허용하고 말고 할 일이 아닙니다. 여성은 허용받아야 할 존재가 아니듯이, 여성 성직은 허용받아야 할 문제가 아닙니다. 이를 억지로 금했던 역사가 모자라거나 잘못됐고, 이 잘못을 깨달은 여성과 남성 신자, 성직자들이 오래도록 잘못된 벽을 허물어 더 풍요로운 이해에 다다른 사건입니다.

Women_Bishops_LC_2008_1.jpg
(2008년 세계성공회 주교회의 람베스 회의에 참석한 여성 주교들)

이번 ‘영국’ 성공회의 여성 주교 성품 법제화는 ‘영국’ 성공회의 많은 신자, 특히 여성들이 오래도록 바라며 분투했던 일이고, 교회의 오랜 전통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사건입니다. 더욱이 사제직뿐만 아니라 주교직에도 막힌 벽을 헐어서 여성과 남성, 인간 전체를 향한 하느님 은총과 소명을 새삼 확인했습니다.

세계 성공회 역사 안에서 여성 성직을 이끈 교회는 아시아의 홍콩 성공회였습니다. 1944년 홍콩 성공회는 리 팀 오이 부제를 사제로 서품했습니다. 억지로 막은 담이 허물어진 뒤, 1970년대에 다시 홍콩, 미국, 캐나다 성공회에서 여성 사제 서품이 잇따랐습니다. 한국에서는 2001년 민병옥 부제가 사제 서품을 받아 여성 성직의 길을 열었습니다.

1988년에는 미국 성공회에서 ‘흑인 여성 사제’ 바바라 해리스가 세계 성공회 첫 여성 주교로 성품받았습니다. 세계 성공회 관구의 절반 이상은 사제직에 성의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주교직에서는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 스코틀랜드, 호주가 성의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현재 세계 성공회 안에서 여성 주교는 20여 명에 이릅니다. 이제는 ‘첫’ ‘여성’ ‘흑인’ 등과 같은 수식어를 모든 성직에서 없애야 할 때입니다.

여성 성직을 반대하는 정교회와 천주교 등과 나누는 일치에 문제가 생긴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더욱이 주교직은 남성 제자들을 통한 사도적 계승의 한 표현이며, 교회의 일치 수단이라는 주장 때문입니다. 성공회도 교리와 전통을 나누는 일치를 추구합니다. 동시에, 다채로움을 포용하고 초대하는 실천으로 일치의 자리가 더 넓어지고, 예언자적 행동으로 교회의 전통이 풍요로워진다고 믿습니다. 이 너른 일치와 풍요로운 전통은 교회의 선교를 더욱 든든하게 합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선교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여성 성직은 든든한 선교를 향한 하느님의 축복입니다.

  1. 주낙현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7월27일자 주보에 실은 글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