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이어 – 슬픔이 빚은 측은지심의 성찬례

창세 32:23~32 / 시편 17:1~7, 15 / 로마 9:1~5 / 마태 14:13~21
2014년 8월 3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주일 오후 6시 성찬례

주낙현 요셉 신부

+ 나의 바위 나의 구원이신 하느님, 내 머리의 생각과 내 입술의 말이 주님 마음에 들게 하소서. 아멘.

인생살이에는 기쁨과 즐거움, 그리고 행복감이 넘쳐나기도 하지만, 고통과 상처, 그리고 슬픔이 지배하는 일이 더 잦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함께 모인 이들도 아주 멋진 모습으로, 아주 아름다운 모습으로, 혹은 아주 늠름한 모습으로 앉아 있지만, 우리가 덮어 바른 화장을 조금만 지우면, 우리가 치장한 옷가지를 조금만 벗어 들추면, 민얼굴과 맨몸에 드러날 상처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고통과 상처, 그리고 슬픔이 우리 인생을 지배합니다. 고통이 견디기 어려워서, 슬픔을 더는 참기 어려워서, 아니 과거에 난 상처와 그 흉터가 너무 보기 싫어서, 그 모든 것을 잊고, 지우고, 없애버리고 싶습니다. 여전히 종교와 영성을 추구하는 많은 이가 바로 이런 마음을 담고 예배당과 성당, 사찰을 찾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점집을 들락거리기도 합니다.

오늘 성서의 말씀은 바로 이런 고통과 상처, 슬픔의 흉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천사와 씨름한 야곱 이야기는 성서를 자주 읽어보신 분이라면 잘 아는 이야기입니다. 야곱은 어떤 사람이었나요? 쌍둥이 형 에사오의 장자권, 즉 상속권의 축복을 가로채어 달아난 쌍둥이 동생이 아니었던가요? 야곱은 이제 이룰 것을 다 이루고, 고향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나 그에게는 엄청난 죄책감이 있습니다. 죄책감을 넘어서 두려움이 있습니다. 형 에사오를 향한 죄책감과 두려움입니다. 형과 어떻게 화해할지 알 수 없습니다. 혹시 선물을 보내면 형 마음이 풀어질까 하여 많은 재물을 먼저 보내기도 합니다. 그런데도 마음이 놓이지 않습니다.

뜬눈으로 밤을 새웠는지, 혹은 고민하다 지쳐서 잠시 깜빡 잠이 들었는지 모릅니다. 야곱은 천사와 밤새도록 씨름해야 합니다. 얼마나 절박했는지 천사가 돌아가야 할 시간이 다가오는데도 천사를 놓아주지 않습니다. 천사가 야곱의 엉덩이뼈를 쳐서 부러뜨렸는데도 그는 천사를 놓지 않습니다. 자신에게 복을 빌어주지 않으면 놓지 않겠다고 떼를 씁니다. 결국, 천사는 못 이기는 체하며 야곱에게 새로운 이름을 주고 복을 빌어줍니다.

우리는 종종 이 성서 이야기에서 복을 얻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야곱을 생각하곤 합니다. 하느님께 떼를 쓰면 모든 것을 들어주신다고 생각합니다. 하느님께 기도하면 모든 것이 이뤄진다고 기대합니다. 하느님께 끈질기게 부탁하면, ‘내’ 안에 있는 고통과 아픔, 슬픔과 흉터도 없어지리라 생각합니다. 그것을 믿음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정말로 현실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나요? 여러분은 기도해서 얼마나 삶이 더 나아지셨나요? 들어주지도 않는 기도, 이제는 불판을 갈아도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말이죠. 불판을 갈기 전에,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이 있지 않나 생각해 봤으면 합니다. 이 성서 이야기를 거꾸로 읽으면 사태가 달라집니다. 야곱은 하느님을 대면하고 하느님과 씨름하여 축복을 얻어냈지만, 그는 결국 장애인이 되어야 했습니다. 엉덩이뼈에 큰 상처를 입고 평생을 절름거리며 살아야 했습니다. 이것이 이 이야기가 드러내는 냉정한 현실입니다. 하느님을 믿어서 얻은 보상도 있지만, 여전히 인생은 상처투성이입니다. 무슨 뜻일까요?

야곱은 그 상처와 더불어서 새로운 이름을 얻었습니다. 그 상처를 통해서야 하느님을 대면했습니다. 신앙은 상처를 없애는 일이 아니라, 상처와 더불어 견디며 살아가는 일입니다. 상처를 통해서 하느님을 되새기고 하느님을 대면하는 과정입니다.

John_Reilly_Feeding_Multitude.jpg
(John Reilly 1928~, The Feeding the Five Thousand, 1958년 작)

오늘 복음서 이야기는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성인 남자만 오천 명을 넘게 먹이셨다는 유명한 식사 기적 이야기입니다. 이 오병이어의 기적 이야기를 모르는 분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마태오 복음서가 전하는 오병이어 기적 이야기는 독특한 자리에 있습니다.

복음서를 다시 읽어볼까요? 오늘 복음서 본문 바로 앞 문단입니다.

“[헤로데 왕은]…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 있는 요한의 목을 베어 오게 하였다. 그리고 그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건네자 소녀는 그것을 제 어미에게 갖다 주었다. 그 뒤 요한의 제자들이 와서 그 시체를 거두어다가 묻고 예수께 가서 알렸다. 예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거기를 떠나 배를 타고 따로 한적한 곳으로 가셨다.”

오늘 오병이어 기적 이야기는 예수님이 참으로 사랑하던 사람 세례자 요한이 참수를 당했다는 소식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은 뱃속에서부터 서로 알아보고 뛰놀았던 사이였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았습니다. 예수님께 세례를 베푼 요한은 그 앞에서 참으로 겸손한 사람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이 붙잡혀 감옥에 갇히자, 그의 선교를 이어받아 당신의 공생애를 시작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세상에서 가장 큰 예언자, 가장 큰 사람으로 칭송했습니다.

그 깊은 벗이었던 세례자 요한이 죽었습니다. 그것도 권력자들의 연회장에서 낄낄거리는 오락과 내기의 대상이 되어 그 목숨이 속절없이, 그리고 처절하게 살해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분노와 고통, 슬픔과 아픔을 되새기며 세례자 요한을 충분히 기억하고 싶었습니다. 그의 죽음을 충분히 슬퍼하며 조용히 쉬고 싶었습니다. 요한의 삶을 되새기며 이어질 당신 자신의 슬픔을 살펴보고 싶었습니다.

사람들은 이런 예수님을 가만두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병자들을 데리고 왔습니다. 갈 곳 없는 사람들은 그저 부랑아처럼 떼 지어 다니며 예수님을 따라다녔습니다. 슬픔에 잠긴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에서 이제 그들에게로 시선을 돌립니다. 그들을 보시며 측은하게 여기셨다고 합니다. 그들의 처지를 마음 아파하셨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과 애도 속에서 그들을 고치시고, 오병이어의 기적을 베푸십니다.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어디서 나올까요? 그것은 깊은 종교적 영성의 수련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윤리적 도덕적 훈련에서 오지도 않습니다. 사회의 불평등을 기밀하게 분석한 자료에서 오는 것도 아닙니다.

측은지심은 자신의 슬픔에서 옵니다. 종종 자신의 슬픔은 피해의식과 분노가 되기에 십상입니다. 강박관념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슬픔으로 자기 자신만을 바라볼 때 그렇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슬픔을 통해서, 자신이 겪는 고통을 통해서, 자기 몸 깊숙이 패인 상처와 흉터를 통해서, 밖을 바라보고 밖에 있는 사물과 사람을 바라볼 때, 그 슬픔의 시선은 우리에게 측은지심을 마련합니다. 슬픔은 측은지심이 됩니다. 자신의 깊은 슬픔을 자기 안에 쌓지 않고 밖을 향해 열 때, 우리의 눈물이 볼록렌즈가 되어서 세상의 다른 아픔과 상처와 슬픔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여기서 생기는 새로운 마음이 바로 측은지심입니다. 여기서 얻는 새로운 이름이 바로 ‘그리스도인’입니다.

측은지심은 마음으로 그치지 않습니다. 행동으로 나아갑니다. 제자들은 “물고기 두 마리와 빵 다섯 조각뿐인데, 이걸로 어쩌란 말입니까?” 하며 따져 묻듯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그저 그 작은 음식을 가져오라고 하시고, 빵을 들어 하느님께 감사의 기도를 드리신 다음, 떼어서 군중에게 나누어 주라고 하십니다. 그 결과, 남녀 어린이 모두 합하여 일만 오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배불리 먹고 열 두 광주리가 남았습니다. 풍성하게 먹었다는 말입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이렇게 풍성하다는 말입니다.

남은 열 두 광주리는 이제 제자들의 몫이 됩니다. 그 광주리를 저마다 둘러매고 세상을 향해서 먹이는 일, 다른 사람을 풍요롭게 하는 일에 나서라는 명령입니다. 이것이 성찬례입니다. 성찬례를 성 목요일에 있었던 주님의 만찬으로만 보면 단견이고 큰 오해입니다. 우리가 드리는 성찬례는 예수님께서 보여주셨던 모든 식사 기적의 종합인 탓입니다. 가나의 기쁜 혼인잔치, 배고픈 이를 먹이신 이야기, 세상에서 손가락질 받는 이들과 나눈 식사, 그리고 잡히시기 전날 저녁에 나누신 마지막 식사를 종합합니다.

더욱이 성찬례는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에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절망하며 낙향하던 제자들과 나누던 부활의 식사입니다. 낙향하여 어부로 돌아가서 허탕을 치던 제자들에게 많은 물고기를 잡게 하고서는 당신이 손수 마련하신 모닥불에 생선을 구워주시던 부활의 식사입니다.

이 모두 낙심과 실패, 상처와 슬픔, 그리고 과거의 흉터 속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슬픔이 마련한 측은지심으로 새로운 삶이 펼쳐지는 순간입니다. 그리하여 우리의 슬픔과 상처를 통해서 새로운 현실, 우리의 이웃, 우리의 친구, 우리가 사는 세상의 다른 슬픔을 보라고 합니다. 그들과 함께하고 먹이고 보살피며 곁에 있으라 합니다. 연대하라고 합니다.

신앙은 고통과 상처와 슬픔은 없애는 길이 아니라 함께 견디며 걷는 길입니다. 여러분의 상처와 슬픔이 빚은 성찬례에 초대합니다. 여러분을 이 측은지심과 연대의 성찬례에 초대합니다. 아멘.

One Response to “오병이어 – 슬픔이 빚은 측은지심의 성찬례”

  1. via media 주낙현 신부의 성공회 이야기 » Blog Archive » 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걷는 일 Says:

    […] 그러나 사람들이 예수님을 가만두지 않고, 병자들을 데려오고 배고픈 배를 움켜쥐며 주님을 따라나섰을 때, 주님은 그들의 처지를 마음 아파하셨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을 안고 병자들을 고치시고, 오병이어의 기적으로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셨습니다. 그것은 슬픔을 통해서 나온 측은지심의 성찬례였습니다.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