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걷는 일
2014년 8월 10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주일 오전 9시 및 오후 6시 성찬례
열왕상 19:9~18 / 시편 85:8~13 / 로마 10:5~15 / 마태 14:22~33
주낙현 요셉 신부
+ 나의 바위 나의 구원이신 하느님, 내 머리의 생각과 내 입술의 말들이 주님 마음에 들게 하소서. 아멘.
한국에 돌아온 지 벌써 5개월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어리둥절한 일들이 많습니다. 어떤 분은 적응하려면 밖에서 살아온 만큼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다른 어떤 분은 너무 잘 적응하려 하지 말고, 그 부적응을 잘 살펴보면 좋겠다고도 조언합니다. 그래서 마음을 편히 먹고 좌충우돌하면서 지내고 있었습니다. 몇 달 동안 저 자신과 교회에 관한 이런저런 고민거리를 자유롭게 동료와 나누며 살았습니다.
그러던 중 지난 4월 성주간에 있었던 사건은 너무나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바로 세월호의 참극입니다. 벌써 넉 달 가까이 지난 이야기이지만, 그 충격과 슬픔, 안타까움과 분노가 제 마음과 가슴에서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런 사회라면 제가 적응할 일이 없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계속 이 사회에 부적응하며 사는 것이 더 양심적인 일이고, 이런 참혹한 일이 더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제 일상생활을 늘 참견했습니다. 기도 생활이든, 책을 읽는 시간이든, 대화하는 시간이든 설교를 준비하는 시간이든 늘 제 머릿속에 들어와 저를 어지럽게 했습니다.
세월이 가면 세월호는 잊혀집니다. 특별히 그것이 내 피붙이 일이 아닌 한, 그것은 금세 잊혀집니다. 어떤 이들은 이 세월이라는 망각에 힘입어 그 슬픔과 분노를 품고 사는 사람들에게 이제는 ‘그만하라’고 말을 건네기도 합니다. 분위기상, 그 말을 내뱉지는 못하더라도, ‘에잇, 이제 좀 그만하지’하는 말이 입안에서 맴돕니다.
그러나 정작 지옥 같은 이 일을 잊고 싶어하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분들입니다. 정말로 슬픔을 이겨내고 싶은 사람들은 그 상실과 절망 속에 사는 분들입니다. 그들이야말로 이 모든 것을 잊고 덮고 웃으며 살고 싶습니다. 그러니 그들이 웃지 않는 한, 그들이 잊지 않는 한, 우리가 너무 쉽게 조언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이 우리 인간이 한 사회와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도리이며 예의입니다. 하물며 기억의 종교인 그리스도교에서 잊고 묻어가자고 말할 수 없습니다.
지난 몇 달 동안 세월호 참극이 제 마음을 흔들었다면, 지난 몇 주 동안은 복음서의 이야기가 제 마음을 참담하게 흔들었습니다. 예수님의 마음을 참담하게 흔드는 사건을 목도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참 인간이었기에 인간의 모든 감정을 지닌 분이었습니다. 슬퍼하는 이들과는 슬퍼하고, 자신의 상실감을 눈물로 표현하기도 하셨습니다. 그 가운데 또렷하게 예수님의 마음에 큰 상처와 충격을 준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세례자 요한의 죽음입니다.
저는 지난 몇 주 동안 예수님께서 겪으신 세례자 요한의 죽음에 사로잡혔습니다. 그러니 지난주에 전한 이야기의 한 대목을 오늘도 되뇌려 합니다.
지난주에 전한 바와 같이, 오천 명을 먹이신 기적 이야기와 오늘 풍랑을 잔잔하게 하신 이야기는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참담한 죽음을 복음서는 매우 냉정한 어투로 전합니다.
“[헤로데 왕은]…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 있는 요한의 목을 베어 오게 하였다. 그리고 그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건네자 소녀는 그것을 제 어미에게 갖다 주었다. 그 뒤 요한의 제자들이 와서 그 시체를 거두어다가 묻고 예수께 가서 알렸다. 예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거기를 떠나 배를 타고 따로 한적한 곳으로 가셨다.”
(침묵)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이 참으로 사랑하던 사람이었습니다. 세례자 요한과 예수님은 뱃속에서부터 서로 알아보고 뛰놀았던 사이였습니다. 세례자 요한에게서 예수님에게서 세례를 받았고,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이 갇히자, 곧바로 당신의 공생애를 시작했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세상에서 가장 큰 예언자, 가장 큰 인간으로 칭송했습니다. 그가 죽었습니다. 그가 처절하게 살해되었습니다.
예수님은 분노와 고통, 슬픔과 아픔을 되새기고, 세례자 요한을 충분히 기억하려고, 그의 죽음을 충분히 슬퍼하려고 조용히 쉬고 싶었습니다. 요한의 삶을 되새기고, 당신 자신의 슬픔을 살펴보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예수님을 가만두지 않고, 병자들을 데려오고 배고픈 배를 움켜쥐며 주님을 따라나섰을 때, 주님은 그들의 처지를 마음 아파하셨다고 합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을 안고 병자들을 고치시고, 오병이어의 기적으로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셨습니다. 그것은 슬픔을 통해서 나온 측은지심의 성찬례였습니다.
오천 명이 넘는 군중을 흩어 보내시고, 제자들마저 배에 태워 건너편으로 가라고 명령하신 예수님은 다시 홀로 있는 시간을 마련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슬픔을 안고 산에 올랐습니다. 산에서 예수님은 슬픔에 잠겼습니다. 예수님은 슬픔을 더욱 곱씹을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그렇습니다. 시간이 필요합니다. 경쟁을 위해 몸부림치는 시간이 아니라, 성취를 위해 달음질치는 시간이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들여다보려고, 멈춰 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입은 상처와 슬픔을 하느님께 내보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하느님을 향한 신뢰가 무엇인지를 다시 묻고, 다시 돌아보아야 합니다.
산에 오르신 예수님의 이야기는 구약성서의 엘리야 이야기와도 겹칩니다. 엘리야는 독재자 아합 왕과 거짓 예언자들과 대결하면서 미음을 샀습니다. 그리고 이제 아합 왕에게 잡히기만 하면 죽겠다는 생각에 두려워서 도망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호렙산에 홀로 올랐습니다. 그리고 울부짖었습니다.
“하느님을 따르던 사람들이 다 죽었습니다. 이제 저만 남았습니다. 이제 사람들이 저마저 죽이려 합니다.”
그의 마음은 정말로 힘들었습니다. 하느님의 정의를 위한 일이 이런 고생길일 줄은 몰랐습니다. 하느님을 믿는 일이 안녕과 복지와 행복을 가져다주는 일이 아니라, 온갖 상실과 절망과 죽음에 직면하는 상황인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엘리야는 하느님의 대답을 듣고 싶었습니다. 엄청난 위력으로 이 모든 어려움을 싹 쓸어버리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힘을 느끼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엄청난 폭풍 속에 하느님은 계시지 않았습니다. 산을 삼킬 듯한 지진 안에도 하느님은 계시지 않았습니다. 모든 것을 태워버릴 듯한 불 속에도 하느님은 부재는 뚜렷했습니다.다만, 작고 가녀린 바람 속에 하느님이 계셨습니다. 작고 가녀린, 흐느끼는 듯한 바람의 음성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가장 친한 친구의 죽음 속에서 이 현실을 다시금 생각하셨습니다. 산에 홀로 올라서 외로웠던 엘리야를 생각하고, 외롭게 끌려 나와 권력자들의 연회장에서 노리갯감이 되어 처형당했던 세례자 요한을 생각하셨습니다. 그리고 곧 닥칠 당신의 운명을 겹쳐서 생각하셨습니다. 인생의 온갖 상실과 절망, 슬픔을 깊이 생각하셨습니다.
그 뒤에라야 예수님은 물 위를 걸으셔서, 풍랑에 휩싸여 두려워하는 제자들을 찾으셨습니다. 그러니 넘실거리는 파도는 우리가 겪는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눈물들인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그것을 피하며 허둥댈수록 그것들은 우리를 더욱 위협하고 두렵게 합니다. 그러고 보면, 믿음은 그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눈물 속에 내 몸을 던지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그 눈물의 바다에 몸을 던져서 그 눈물 위를 걸으셨습니다.
믿음은 이 사회의 여러 눈물들에 내 몸을 던지는 일입니다. 그 눈물들 사이에서 작게 들려오는 목소리에 내 귀를 기울이는 일입니다. 하느님의 음성은 바위를 조각내는 거친 바람에서도, 산을 삼키는 지진에서도, 모든 것을 불태워버리는 불길에서도 들리지 않습니다. 그저 “조용하고 여린 바람”으로 들려오기 때문입니다.
그 조용하고 여린 소리에 귀 기울여서, 세상의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바다에 한 발짝 내디딜 때야 비로소 우리는 삼킬 듯한 풍랑을 잠잠케 하고, 빠져 죽을 것만 같은 슬픔과 절망의 물 위를 걸을 수 있습니다.
(침묵)
모든 인간 생명과 삶이 하느님께 달려있다는 말은 무엇인가요? 모든 인간의 행복과 비극도 하느님과 더불어, 하느님 품 안에서 진행된다는 말입니다. 주님은 참 하느님이셨지만, 참 인간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인간의 행복과 비극 전체를 통해서 강해지셨습니다. 그 모든 상실과 고통과 순종을 통해서 더욱 강해지셨습니다.
상실이 있는 만큼 신뢰와 신앙은 더욱 커집니다. 하느님의 사랑이 그 상처를 통해서 더욱 채워진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입니다. 물 위를 걷는다는 말은 다름 아니라, 그 어떤 상황에서도 주님을 신뢰하며 우리 신앙의 길을 걷는다는 뜻입니다.
엘리야는 두려움에 도망치며 온갖 고생을 하며, 홀로 “조용하고 가녀린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났습니다.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과 상실 속에서, 그 슬픔을 깊이 바라보았을 때, 그 눈물의 깊이를 헤아렸을 때, 눈물의 바다 위를 걸으셨습니다.
베드로가 그것을 깨닫고 바다에 몸을 던졌을 때, 그는 물 위를 걸어 주님께로 다가갔지만, 그 슬픔과 상실을 이제 잊어버리자고 할 때, 그것이 귀찮다고 생각할 때 오히려, 모든 인생이 파도가 되어 그를 위협하고 두렵게 했습니다. 하느님을 향한 신뢰를 잃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물속에 빠져 허우적거려야 했습니다.
여전히 우리는 세상의 배고프고 가녀리고 절망과 슬픔이 가득한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야 합니다. 다른 이들이 겪는 깊은 슬픔과 눈물을 살피고, 함께 밥을 굶고, 함께 밤을 새우며 함께 깊이 기도할 때, 우리는 주님과 더불어 그 눈물의 바다 위를 걷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슬픔과 상처의 눈물 위를 함께 걸으시렵니까?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