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쓸해서 가까운 – [최승자]에 기댄 친구 생각
1.
선의(善意)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최승자 시집을 받아들고는 단골 카페로 출근했다. 마감을 넘겨 바동거리는 일이 있는 터에, 달랑 시집 하나만 들고 나갈 수 없어서 읽어야 할 의무의 책들을 액세사리로 싸왔다. 거대한 주제의 영어 제목들에 정신이 잠시 흐릿해진다고 우선 변명을 삼았다. 뻐겨보자는 투로 오랜만에 시킨 카푸치노를 찍어 트윗하는 일로 호흡을 고르고, 시집을 들췄다. 이런 뻐김을 용납하지 못했고 할 수도 없었던 내 어린 날에 대한 복수처럼. (내 의식은, 이 정도면 충분히 감상적이 되었다, 고 속삭인다.)
2.
“시간”이었다. 시인이 견딜 수 없는 것. 세월이었다. 그는 무의식에도 숨고, 병에도 핑계를 대보지만, 그가 맞닥뜨린 것은 흐르는 시간과, 얼마남지 않은 세월에 대한 원초적 ‘무의식’의 바동거림이었다. 이제 흐르는 시간을 쓸쓸하게 응시하는 일로, 세월은 지속하는 지루함의 일부분이라고 태연해할지라도, 그 몸부림은 선연했다. 아니라면, 내가 투사한 내 몸부림일 테다. 삶 뒤에는 삶이 있고, 죽음 뒤에는 죽음이 있다. 이는 종교인의 전매품이 아니다. 시간과 세월 속에 있는 모든 인간의 가장 가녀리고 끈질긴 마지막 욕망이다. 종교가 그 보편성을 기대는 몸부림, 모든 숨겨진 욕망이 드러나는 지점.
3.
시가 베푸는 덕은, 생각의 너른 행간. 단절된 비약이 마련한 틈새로 끼어드는 잡념은 시인의 ‘시간’에 대한 응시와 더불어 쓸쓸해서 가까운 내 친구들 생각으로 데려간다. 허름했던 고교 시절의 자취방에 모여 점심은 후다닥 까먹고, 둘러 누워 서로 읽었던 최승자를 비롯한 다른 시인들. 지치면 들었던 성내운 교수의 시 낭송 불법 테이프. 흥이 나면 불렀던 프랑스 국가 “La Marseillaise.” 속이 ‘꾸리꾸리’하면 소화제로 듣던 나나무스꾸리. 그 사이에 늘 있었던 새파란 이십 수년 전의 얼굴들. 시의 행간을 뛸 적마다 내 잡념은 그 쓸쓸하게 가까운 그 얼굴들에 걸려 넘어졌다.
4.
이 고교 시절의 친구들은 오랫동안 내 삶에 헤집고 들어와 다른 이들을 거들떠보지 못하게 했다. ‘우리 지방’에서 가장 공부 잘하고 똑똑했던 친구는 문학이나 철학을 하고 싶어했지만, 가난 때문에 법대에 진학했다. 가난과 문학과 철학의 고민은 그를 한시도 가만 내버려 두지 않았다. 눈 많이 오던 날 아르바이트하던 학교 일터에 수배 중인 몸으로 찾아왔을 때, 나는 주머니에 있던 삼천 원밖에 쥐여 주지 못했다. 최루탄에 한쪽 눈을 잃은 한 친구는 몸을 추스르다 도를 닦으러 떠났다. 몇 년 전 인도(India)에서 영양실조로 실려온 그를 얼마 후 다시 찾았을 때, 많이 괜찮아졌노라며 내 걱정을 위로했다. 시인이 되고자 했으나 마르크스주의 인권운동가로 내달음친 친구 하나는 귀농했다. 조직사건으로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거물과 함께 체포되어 몇 년을 감방살이한 친구 하나는 사면 복권 후 지금은 시골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문학평론가를 꿈꾸던 한 친구는 갑자기 마음을 접고 공무원이 되었다가 이제는 회계사로 일한다. 선천병으로 늘 습기 어린 충혈된 눈으로 손을 꼭 잡고는 했던 친구는 자기 병에 관한 한 의학 전문가가 되어 출판사를 운영하며 살아간다. 대학 갈 일 없노라고 떼쓰듯 입대해서 백령도에서 3년 푹 고아져 돌아온 한 친구는 한국 최대 노조의 간부로 일한다. 반년이 멀다 하고 직장을 때려치우다 무슨 일인지 이번에는 몇 년 버텨온 친구 하나는 곧 이직할 것이라고 밝혀온다. 같은 대학에 있었으면서도 경찰에 쫓기는 골목이나 뒤풀이 술판에서 만나곤 했던 한 친구는 유학 후 지금은 시골 어디에서 연구원으로 살아간다는 안부를 전한다. 시간을 무릅쓰고 그 쓸쓸해서 가까운 얼굴들이 내게 다가온다.
5.
내 친구들의 희망과 절망, 그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그들의 몸부림과 갈망은 내 것보다 더 깊고 넓고 치열했으며 도저했다. 내 하릴없는 시선과 몸뚱어리는 그 ‘사이’에서 늘 불안하게 왔다 갔다 했을 뿐이었다. “문턱에서 문턱으로, 경계에서 경계로.”
6.
늦은 일을 마치고 돌아온 아내는 내 어머니와 설맞이 안부 전화를 했다. 베갯머리 이야기를 청하다가 지쳐 제가 도리어 이야기를 풀어놓던 딸 아이를 결국 재우나 싶더니, 등 뒤로 이상한 콧소리가 났다. 등을 두드리지 말 걸 그랬다. 무언가에 닿는 순간 모든 게 왈칵 한다, 우리는. 얼마 후 어두워 낮아지는 기온으로 구식 히터에 ‘퍼벅’하고 불이 붙자, 우리는 라면 두 봉지를 마늘 양파 듬뿍 넣고 끓여서, 후루룩후루룩 먹었다. 눈물 뒤에는 입맛이 당기는 법인가?
7.
죽음은 사람을 모은다. 지난 12월의 장례식장에서 우리는 만났다. 그 슬픔의 한 가운데서 아내와 나는, 그 친구들이 반가워서 함께 웃고 떠들었다. 어느 친구에게 ‘너 군대 있을 때, 세상의 모든 단조의 음악을 다 듣고 싶다고 편지한 적 있었다’고, 말하려다 말았다. 다른 친구들의 안부를 묻고 전화기 너머로 몇몇 목소리를 다시 들었다. 사진도 두어 장 박고는 다시 아쉽게 작별 인사를 했다. 쓸쓸해서 너무나 가까운 친구들.
8.
시인은 더더욱 혼자가 된 것 같다. 역사는 여럿이 함께 걸어가는 것이라면, 죽음은 혼자서 맞아야 하니까. 그 와중에 시인은 시간의 무의식이 저 멀리까지 펼쳐질 수 있다는 먼 여유의 공간을 우리에게 확보해 준다. 아직 시인보다 젊고, 아직 시인보다 건강하다. 그러니 내 몫은 쓸쓸해서 가까운 친구들과 이웃에게 눈을 돌릴 시간을 누리는 일이겠다. 아내와 그 친구들에게 축복을.
February 21st, 2010 at 7:52 am
여러가지 지나간 풍경들이 마치 감미로운 바람부는 봄밤을 밝히는 가로등처럼 아련하게 떠오릅니다… 쓸쓸하지만 가까운, 가깝지만 쓸쓸한 그 풍경들은 그런데 이미 멀리 가버린 낯선 기억같기도 하네요. 나이지만, 나 아닌 것의 기억 같은 것.
추.
http://blog.daum.net/cashews/185
글을 읽고 궁금해서 최승자씨의 근황을 살펴보니 꽤 많은 일들이 계셨던 모양이네요.
어서 쾌차하셔서 쓰고싶다는 “이상하고, 신기하고, 아름답고, 슬픈” 소설을 완성하시길 마음입니다.
[Reply]
fr. joo Reply:
February 21st, 2010 at 9:40 pm
민노씨 댓글에서 ‘이미 멀리 버린 낯선 기억’이라는 말이 안타깝게 밀려와요. 그게 바로 쓸쓸함인데, 내 마음에는 가까이 있지만, 삶에서는 조금씩 멀어져 가요. 다만 여느 사람들처럼 이상해지지는 않았다는게 위안이랄까.
최승자 인터뷰 링크 고맙습니다.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