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깅의 기쁨 – 소요유님에 답하여

1.
블로깅에 대한 상념을 올리고 나서, 이상하게 오른쪽 어깨에 큰 통증이 왔다. 밤늦게 이메일을 열어보니, 그 상념에 트랙백된 글이 배달되어 있었다. 소요유님의 글 “블로깅에 대한 나의 몇 가지 생각”이라는 글이었다. 죽비로 시원하게 얻어맞는 듯했다. 물론 그 효과가 내 어깨의 통증을 없애기까지는 좀 시간이 걸리겠지만. 어쨌든 이것은 소요유님의 글에 대한 긴 댓글이다.

2.
죽비의 정체는 ‘기쁨’의 문제였다. 초심(初心)에 관한 일갈이었다. 처음에 품은 마음을 잊고, 몇몇 걸림돌에 예민해졌던 것이다. 사람살이 저마다에 감춰진 기쁨을 들춰내어 나누고 누리도록 부추기는 일은 내 안에서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었다. 마음을 보살피기 위해서 엄살 부리고 칭얼거릴 필요도 있지만, 그 본연의 기쁨과 그에 대한 희망이 그늘지도록 내버려 둬선 안된다. 얼마 전 누군가에게 ‘분노’하되 그것에 사로잡히지 말라고 짐짓 고상한 조언을 했던 일이 부끄러울 지경이었다. 이 얼마나 기쁜 일인가, 죽비 한 대 얻어맞아 뻐적지근한 어깨가 풀리듯 블로깅의 목적을 다시 발견했으니. 소요유님께 감사의 합장.

기쁨의 큰 자리를 차지한 것은 새로운 인연이다. 게시판 형태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다, 블로그라는 도구를 발견하게 하고, 그 소통과 나눔의 의미를 가르쳐 준 지인들을 역시 블로그에서 만났다. 내 도량이 작고 내용이 부실한 지라 많은 이들과 인연을 맺지 못했으나, 이를 헤아리면서도 함께 이야기 나눠 준 이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공교롭게 소요유님이 언급한 분 중에 두 분이 내게도 특별하다. 아거(gatorlog)님과 민노씨(minoci)이다. 그동안 감사의 표현을 적당히 하지 못했던 것 같다. 이 자리를 빌려서, 특히 두 분께 깊은 감사의 합장.

3.
소요유님이 ‘독립형’ 블로그에 대한 생각을 나눴는데, 나도 덩달아 유감을 덧붙여 본다.

1) ‘독립형’ 블로그 – 내 블로그 역시 외국 웹호스팅을 사용한다. 다른 관련 인터넷 프로젝트 관리 문제도 있지만, 계정에 대한 자유를 누구에게 건네주고 싶지 않았다. 내 이야기가 검열에 걸릴 여지는 없겠으나, 나 혼자만의 생각이 나마 항의의 표시는 되겠다 싶었다. 게다가 이메일도 한국의 서비스는 포털의 몇몇 카페/클럽 접속 말고는 전혀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미 그리하고 있었지만, 지난 피디 수첩 사건 때 개인의 이메일을 열어젖히는 권력에 치가 떨렸다.

2) 한국의 포털 사이트 – 한국의 인터넷 포털에서 지원하는 여러 서비스 폐쇄성과 그 행태들 역시 용납하기 어렵다. 정보의 양이 아니라, 정보의 질적 수준을 가로막는 포털 사이트의 검색 기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경험에서 만족할 만한 검색 결과를 얻은 적이 없다. 포털의 폐쇄성에 큰 탓이 있다. 이미 누차 지적되었지만, 내 블로그 글들이나 관련 검색도 다른 사람들이 퍼다 놓은 블로그나 카페에서 먼저 검색된다. 이런 황당한 서비스를 하는 곳에 기회를 줘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이참에 생각 있다는 블로거들이 이런 포털 서비스에 둥지 트는 일이 그 블로거들의 몇몇 주장과 일관되는가 하고 슬쩍 참견해 본다.

4.
다시 돌아가, 블로그 초심을 소요유님의 글에서 되새긴다. “블로깅을 통해 좀 더 자유로와져야 하고, 블로그로 인한 소통과 공감을 통해 좀 더 기쁨을 나누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명심할 말이다. 기쁨을 누리도록 비는 격려가 더없이 따뜻하게 다가온다. 잠시 잊었으나, 나 역시 블로깅을 통해 숨은 기쁨이 크고 많았노라고, 대답해 드린다. 다만, 나는 누구를 “일깨울” 만한 사람은 아니니, 애초에 기대를 접으시는 게 좋겠다. 어떤 선한 이에게 트윗으로 ‘리플’한대로, 나는 그저 “적나라하게 명확하게 보이고 들리는 것들에 딴죽 걸고 희미하게 하고 의심하도록 대화하는 사람”일 뿐. 대화 상대로 여겨주시면 그걸로 넘치는 일이다.

5.
자칫 아래 상념이나 이 기이한 댓글 또한 소위 ‘인정 투쟁’으로 들릴까 저어한다. 그런 유치함이 발견되거들랑 한국식 말고 일본식 죽비로 후려쳐달라고 부탁한다.

6 Responses to “블로깅의 기쁨 – 소요유님에 답하여”

  1. leopord Says:

    나는 그저 ‘적나라하게 명확하게 보이고 들리는 것들에 딴죽 걸고 희미하게 하고 의심하도록 대화하는 사람’일 뿐, 이라고 하시면 저는 더 부끄러워집니다.^^;;

    포털사이트에 온전히 독립하기가 쉽지 않지만, 그런 시도들 하나하나가 연결될 때 의미 있는 망이 될 것이고, 그 망과 망의 연결이 조금씩 웹을 바꿔가지 않을까 믿고 싶습니다.

    [Reply]

    fr. joo Reply:

    부끄럽도록 부족한 사람들끼리는 서로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지 않을까요? 😉

    얼음집에서 나와서 좀 더 화통하게 기지개를 펴는 ‘표보엄’을 곧 뵈길 바랍니다.

    [Reply]

  2. 아거 Says:

    “마음을 보살피기 위해서 엄살 부리고 칭얼거릴 필요도 있지만, 그 본연의 기쁨과 그에 대한 희망이 그늘지도록 내버려 둬선 안된다.” 라는 말씀이 많은 것을 생각케 합니다. 블로깅하면서 그동안 얼마나 엄살부리고 칭얼거렸는가, 또 그 칭얼거림에 걸려 넘어지고 희망을 등지고 벗들을 피해 숨기도 하고.. 그랬던 세월이 있었죠. 지금 생각하면 참 유치했던 것 같습니다.

    저처럼 용기없고 비관적인 중생을 버려두지 않고 늘 이렇게 챙기고 인도해주신 신부님께 늘 감사드립니다.

    [Reply]

    fr. joo Reply:

    뭔지 모르겠지만, 아거님께 빚진 느낌이 들어요. 저도 고맙습니다.

    그나저나, 이런 마음의 풍파는 블로깅 하다 보면 한번씩 겪나 봐요. 그것도 사람살이의 일부이니까요. 다같이 부족한 중생끼리니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면서, 함께 가는 길을 즐겨야 할 것 같아요. 그렇지 않아도 주위의 삶이 팍팍하게 돌아가는 참이니.

    [Reply]

  3. 민노씨 Says:

    레오포드님과 아거님의 댓글들에 많이 공감합니다.
    어릴 적 만화가게 앞에서 비에 젖은채로 서있던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초등학교 2,3학년 때였을 겁니다, 만화방 주인 아저씨께서 들어와 읽고 싶은 만화를 마음껏 읽어도 좋다고 하셨지요. 아저씨의 눈에도 제가 많이 측은해 보였던 모양입니다. 주신부님의 블로그는 마치 그 비맞은 아이의 만화가게 같은 느낌입니다….

    한편으로…
    저 역시 소요유님의 글을 읽고 큰 공감을 느꼈습니다만은…
    우리나라에서 독립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은 여전히 높은 문턱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뜻있는 블로거들이 작은 힘이나마 모아서 독립형 블로그의 가치를 일깨우는 것에서 더 나아가 마음은 있지만 왠지모를 기술적인 공포감이랄까요? 그런 것들을 느끼시는 저같은 기술치들에게 독립형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는 아주 쉬운 가이드를 만들어서 그 분들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것이 좀더 체계를 갖춰서 이뤄지면 점점 더 사라져가는 블로그 독립성의 가치를 조금이나마 지켜내는 작은 실천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Reply]

    fr. joo Reply:

    레오포드, 아거, 소요유, 민노씨 등과 같은 분들의 블로깅을 보고 힘을 얻곤 합니다. 서로 격려할 때 위태한 블로깅도 힘을 얻는다고 생각합니다.

    독립형 블로그 툴은 조금만 찾아봐도 많은 자료가 보여요. 저는 그저 주먹구구로 대충 따라서 하느라, 할 때마다 진땀을 빼는 처지라.

    어쨌든 블로그의 종속성과 독립성은 우리 사회의 여러 사안들에 대한 여러 함의를 가진 한 사례라 생각합니다. 민노씨를 비롯해서 다른 분들이 좀 더 물고 늘어져야 합니다. 😉

    [Re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