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주의 시대의 종교와 신비주의

제도적 종교는 쇠퇴하지만, 영성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노라는 게 서구 종교 흐름에 대한 많은 이들의 관찰이다. 스스로 제도 종교에 속한 사람(religious)이라기 보다는, 영적인 사람(spiritual)이고 싶다는 이가 많아지고 있단다. 일전의 글에서 이를 두고 나는, 서구 사회, 특히 미국 사회의 개인주의와 엮인 영성주의(spiritualism)의 확대라 했었다. 이 점에서는 메가 처치, 그리고 우파 복음주의자들은 미국 사회의 리버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신앙적 보수주의가 대체로 교리적 전통에 닻을 내리고 있고, 교회나 사회의 리버럴은 그렇지 않다는 정도가 차이이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은 모두 영성의 상품화, 그리고 그 소비주의 속에서 살아간다는 비판을 받는다. 현재 영적/종교적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을 한 꺼풀만 들춰보면, 원래 영성과 신비주의가 가졌던 깊고 혁명적인 초월이 상실된 채, 오히려 훨씬 세속적이며 치료 요법의 한 형태로 소비되는 현상이 만연하다는 것이다.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 로스 다우섯(Ross Douthat)이 묘사하는 바, 이러한 영성/신비주의 소비자들은 어느 날은 오순절 계통의 치유 예배에 참석하고, 이튿날에는 불교 강좌를 듣는다. 아침마다 요가를 하고, 주말에는 동방 정교회 피정 센터에서 시간을 보낸다. 수피 기도법을 배우는가 하면 성체조배도 하고 밀교의 방중술도 배운다. 영적 관심과 훈련의 홍수라 할 만하다. 그는 이를 두고 ‘종교적 영성의 민주화’라고 표현하면서도, 원래의 종교 전통이 뜻하는 수행의 목표와는 전혀 다른 길이라고 지적한다. 이 과정에서 본래의 변화와 초월의 문제는 멀어진다는 것이다.

다우섯은 미국의 한 진보적 천주교 저널에 실린 신학자 루크 티머시 존슨의 글을 언급한다. 존슨은 이른바 유일신 신앙 전통에 있는 3대 종교(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의 신앙적 동력을 외적 동력(exoteric)과 내적 동력(esoteric)으로 구별한다. 존슨은 이들 종교에 나타난 이 긴장 관계의 사례를 들면서, 그 바른 관계가 그 종교의 건강에 필수적이라 역설한다. 특히 외적 동력인 종교의 제도, 위계, 교리 등이 내적인 신앙적 갈망의 영적 운동들(하시딤, 신비주의, 수피)을 억압해 왔던 점들을 지적한다. 그 자신이 소속한 천주교의 제도적 교권주의와, 이슬람교의 원리주의, 그리고 율법주의로 흘렀던 유대교의 사례들 속에서 신비주의와 같은 초월의 영적 차원에 대한 고민을 전개한 것이다. 다우섯은 존슨의 지적을 존중하면서도, 실은 신비주의마저 미국 사회의 소비주의 안에서 그 대안적인 도전과 변화의 힘을 잃고 있다고 염려한다.

이 염려를 세계로 확장해 보면, 소위 몇몇 내로라는 신학자들의 종교 현상 진단에 아쉬움을 갖게 된다. 미국에서든 그 밖의 세계에서든 제 3천 년에 ‘신앙의 귀환’ ‘종교의 귀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필립 젠킨스와 하비 콕스 등은 그리스도교의 미래를 그리스도교 신앙 운동의 주도권이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이동하는 현상에서 찾는다. 그리고 오순절 운동(물론 해방신학도 언급하지만)의 급격한 팽창을 그 예로 든다. 그러나 그 오순절 운동 자체가 콕스 자신이 비판하는 ‘번영 복음과 번영 신학'(성공의 사다리 복음)을 여러 모양으로 촉진하고 있으며,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지배 아래 소비주의의 한 형태로 변모하는 방식과 문제 등에 대한 지적은 찾기 어렵다.

이 처지에 이런 의문들은 단견이요, 편견일까? 제도적 교회와 교권주의에 대한 반대로 신앙과 영적 흐름의 종착은 개인주의에 엮인 영성주의라는 새로운 상품은 아닐까? 외부의 폭발적인 신앙의 힘을 보는 그 눈에는 어떤 낭만적인 생각과 이전 그리스도교 세계(Christendom)에 대한 무의식의 향수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아닐까? 미국과 한국의 오순절 운동과 시작과 경과, 그리고 그 결과를 목격하는 처지에, 다른 나라에서 진행되는 운동은 다른 미래를 바라보고 있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특히 자본주의의 전 지구적 지배가 강화되는 터에, 신앙적 열광으로 눈물을 닦아주는 한편, 그 수와 힘에 기대어 차근차근 주류의 권력을 구축하는 것은 아닐까? 게다가 이 과정에서 강화되고 내면화되는 신앙이 자본의 힘과 유혹을 이겨낼 수 있을까?

얼마 전 로완 윌리암스 캔터베리 대주교는 뉴욕 월스트리트에 자리한 성공회 트리니티 교회의 포럼에서, 자본의 시장에 포섭된 이런 소비주의 문화를 강하게 비판한 적이 있다. “고객과 공급자의 언어 논리가 우리 사회생활 전역을 스멀스멀 좀 먹고 있으며, 이는 우리 인간의 상호 관계가 물적 자원의 교환으로 교묘하게 측정됨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에 저항하여, “모든 것이 하나의 지배적인 모델이나 가치에 환원된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인간의 행동 양식에는 또 다른 길이 정말로 존재한다는 생각을 붙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기서 종교는 여전히 “자신이 지닌 행동 양식과 충동에 대해 비판적으로 질문하는 방법을 배우는 인간의 길”이다. “인간성이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가지고 그 진리의 답을 드러내는 관점에서 행동해야 한다.”

이 외침은 어느 지점에서 어떤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성찰인가? 종교는 어떻게 삶의 어떤 끝(end/목적/종말)을 되뇌고, 그 끝(의 가치)을 지켜낼 수 있을까? 그 가치와 삶의 실천들을 실험하고 펼칠 수 있는 사이와 공간은 어디이며,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이를 위한 공동체와 그 네트워크로서 교회의 역할과 또 나 개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4 Responses to “소비주의 시대의 종교와 신비주의”

  1. leopord Says:

    이젠 더 이상 돈이 많다고 해도 행복하지 않다는 걸 알아버린 시대에, 사람들의 마음이 끝내 신앙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그런데 그 방식조차 자본주의에 포섭된다는 것이야말로 참 역설적인 것 같습니다(돌이켜 보면 기독교를 비롯해 종교가 대중화된 과정에 종종 현실권력이 개입하고 또 융화했다는 걸 떠올리게 되구요.).

    [Reply]

    fr. joo Reply:

    “돈이 많다고 해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은 분명 드러나는 현실이지만, 또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한 자락으로 쓰이기도 하는 것 같아요. ‘그러니, 너네들은 거기에 머물러 행복을 찾아봐!’ 하는.

    성찰하고 비판하고, 다시 대안을 기획하여 실천하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종교 영성의 소비주의 상품화는 비판할 지라도, 여전히 어떤 지배 이념과 행태를 비판하는 힘도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변별해느냐는 문제, 어떻게 새로운 실천을 모아내느냐는 문제는 여전하고요. 좀더 풍요롭게 접근해야 할 것 같아요.

    [Reply]

  2. 베땅이 Says:

    공감할 수 밖에 없는 글이군요. 제3천년기의 종교의 귀환 현상에 대한 환상은 하루 빨리 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갈수록 종교의 본래 의도와는 다른 길을 향해 가는 듯…

    [Reply]

    fr. joo Reply:

    베땅이님처럼 교회 안에서 고민하며 애쓰시는 분들의 분투를 지켜 보고 있습니다. 그 고민과 분투가 미래를 결정하겠다는 생각입니다.

    [Re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