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 – 신앙인의 자리

성직자의 자리는 어디인가? 세상의 그리스도인이, 하느님의 백성이 ‘보편적 사제직’(혹은 만인 사제직)을 나누고 있다면, 그리스도인의 자리는 어디인가?

오래전, 시인 황지우는 이렇게 적었다.

“문학은 혁명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조짐에 관여한다. 그리고 문학은 반혁명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상처에 관여한다. 문학은 징후이지 진단이 아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해 징후의 의사소통이다.”

여기 ‘문학’이라는 자리에, ‘신학’을, ‘교회’를, ‘성직자’를, 그리고 ‘신앙인’을 넣어도 되겠다. 나는 여전히 이 지점에서, 그동안 명멸했고 여전히 진행 중인 그리스도교 운동, 신앙 운동, 특히 소위 ‘진보적’ 종교 운동이 자기 자리를 굳건히 잡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그 ‘관여’의 방식에서 ‘조짐’과 ‘상처’와 ‘의사소통’에서 실패했다고 본다. 변화를 향한 다른 운동도 마찬가지겠다 싶다.

오늘 외신을 통해, 그 ‘관여’의 상징적 이미지, 아이콘, 십자가, 아니 신앙의 자리를 발견한다. 시위대와 진압부대 ‘사이’에 우뚝 선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수사 신부들은 자신들이 들고 있는 십자가와 아이콘, 바로 그 자체이다.

ap-photo-sergei-grits.jpg

우크라이나 키에프에서 일어난 시위에서 시위대와 진압경찰 사이에 선 정교회 수사 신부들

종교는 ‘사이’와 ‘틈’의 공간을 만들어 내야 한다. 대결하고 가르는 분열의 경계선 위에서, 그 경계의 공간을 넓히는 이들이 신앙인이다.

함부로 도통하여 ‘경계를 넘는다’고 말하지 말 일이다. 그 가느다란 경계의 선 위에서, 그 사이에서, 그 틈에서 수없이 떨리고 긴장하며 고통당하며, 조짐을 보고, 상처을 껴안으며,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서는 경계를 넘을 수 없다. 아니다. 실은, 경계를 넘는 일은 없다. 그저 그 경계의 공간을 넓히는 일만 가능하다. 예수께서 늘 경계를 걸으셨던 것처럼.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