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 교만 태만 기만을 넘어 걷는 일

이사 48:17~19 / 시편 1 / 마태 11:16~19
2014년 12월 12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아침 성찬례

주낙현 요셉 신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하나이다. 아멘.

오늘 복음서 이야기는 상당히 자주 인용되는 구절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피리를 불어도 너희는 춤추지 않았고, 우리가 곡을 하여도 가슴을 치지 않았다”는 구절입니다. 많은 사람이 이 구절을 예수님의 불편한 마음, 사람들이 자신을 몰라주는 마음을 한탄한 것이라고 해석하고는 합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는 복음서를 세밀하게 읽지 않고 대충 읽어서 크게 오해하는 사례 가운데 하나입니다. 잘 살펴보면 이 말씀은 예수님의 불평이나 한탄이 아닙니다. 아이들이 장터에서 역할을 맡아서 노는 장면입니다. 아이들끼리 마음이 맞지 않아 역할극이 잘 진행되지 않자 서로 비난하는 내용입니다.

자기들이 제멋대로 역할을 만들어 놓습니다. “야, 나는 피리를 불 테니까, 너는 춤춰, 알았지?” “야, 이제 내가 ‘아이고, 아이고’ 하고 곡소리를 내면, 너는 땅바닥에 앉아서 신을 벗어서 땅을 치고 가슴을 치는 흉내를 내는 거야, 알았지?”

자기들이 역할을 일방적으로 정해서 다른 사람에게 시켜 놓고는, 잘 안 된다고, 잘 따라주지 않는다고 투정하고 비난하는 행동을 예수님께서 지적하시는 장면입니다. 잘 보면, 그 역할이 아주 불공정합니다. 자기는 가만히 앉아서 피리만 불면 되지만, 다른 사람은 몸을 움직여서 춤을 춰야 합니다. 자기는 곡소리만 내면 되지만, 다른 사람은 몸을 움직여서 자기 가슴도 쳐야 하고 땅도 쳐야 합니다. 매우 불공평한 놀이입니다. 게다가 아주 일방적이기에 더욱 정의롭지 못합니다.

여기서 이 아이들이 누구인지는 분명합니다. 바로 바리사이파 사람들입니다. 바리사이파는 자신이 멋대로 해석하여 만들어 놓은 율법을 자기는 잘 지키는데, 다른 사람은 잘 지키지 않아서 문제라고 말하는 사람입니다. 겉보기에는 뭔가를 잘 지키는 사람처럼 살아가지만, 사실은 자기 편한 대로 만들어 놓고, 자신의 편의에 따라 이랬다저랬다 하는 사람입니다. 바리사이파는 자신이 가진 특권을 만끽하며 살았습니다. 바리사이파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진 재산과 권력을 마음껏 먹고 마시며 살았습니다.

그런데 세례자 요한은 좋은 음식이 주는 편안함을 먹지 않고 들꿀과 메뚜기의 불편함을 먹고 살았습니다. 좋은 집에 앉아서 권력을 누리지 않고, 아무것도 없는 광야에서 살았습니다. 재산과 권력을 누리지 않겠다고 작정하고 실천했습니다.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라는 외침은 어느 자리에 앉아 특권과 권력을 누리지 말라는 선언이었습니다. 바리사이파가 세례자 요한을 좋아했을 리 없습니다.

바리사이파는 먹고 노는 역할은 자기가 할 일이라 정하고, 밖에서 땀 흘려 육체노동을 할 사람을 따로 정해놓았습니다. 그런데 예수라는 촌뜨기 예언자가 나타나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을 꼬드겨 ‘설’(說)을 풀고 다니고 돌아다니며 먹고 마시는 모습을 보고 눈을 찌푸렸습니다. ‘설’(說)은 자신들이 풀어야 하고, 더러운 사람들은 정결법이나 어기지 말고 지키며 살아야 하는데, 예수님은 이 사람들에게도 먹고 즐길 권리가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바리사이파가 예수님을 좋아했을 리 없습니다.

바리사이파는 자기의 편의를 기준 삼아서 남에게 이래라저래라 하는 사람입니다. 자기 변덕을 못 따라준다고 남을 핀잔하는 사람입니다. 바리사이파는 자기 멋대로 금을 그어 자리를 차지하고서는, 다른 사람이 비슷한 일이라도 할라치면 못 하게 막는 사람입니다. 그러니 배부른 사람에게 금식을 요구하던 세례자 요한도 못마땅하고, 죄인과 먹고 마시기를 즐겼던 예수님도 못 마땅합니다. 다 자기 기분대로 판단한 탓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통해서 이제 우리를 좀 더 깊은 곳으로 이끄십니다. 그것은 죄의 문제입니다. 성서와 그리스도교에서 가르치는 죄는 마음이 닫힌 상태를 말합니다. ‘너’와 ‘나’를 구별하여 마음을 서로 닫아서 관계가 단절된 상태를 말합니다.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끊어진 상태가 죄입니다.

신앙인이니까 이런 죄에서 자유롭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오히려 신앙인이 죄에 빠지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결과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느 신학자는 죄를 아주 간단하게 정리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교만, 태만, 기만입니다.

신앙인은 교만하기 쉽습니다. 하느님을 잘 안다고, 성서를 잘 안다고, 신앙생활을 오래 했다고, 대대로 신앙을 물려받았다고 생각하는 신앙인은 교만의 죄에 빠지기 쉽습니다. 하느님을 안다는 것은 하느님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지를 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신앙이 위세가 되어버리면 이미 교만의 죄로 빠져들기 시작한 것입니다. 한국의 많은 교회가 교만의 죄에 빠져 있습니다.

신앙인은 태만하기 쉽습니다. 신앙은 하느님과 초월을 깊이 체험하는 일입니다. 이 체험은 개인적이기도 해서 그 깊이를 함부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바로 여기에 유혹이 있습니다. 내가 체험하고 경험한 신앙이 너무 깊어서 다른 사람의 신앙, 다른 사람의 경험, 다른 사람의 공부와 훈련에서 배우려 들지 않습니다. 개인의 신앙 체험은 신앙의 출발인데도, 그것을 완성이고 종착지인 양 착각합니다. 신앙을 꿰뚫었다고 착각합니다. 도통했다고 착각합니다. 그리고 어떤 새로운 공부도 하지 않습니다. 어떤 새로운 발견과 연구와 지식도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한국의 많은 교회가 태만의 죄에 빠져 있습니다.

신앙인은 기만하기 쉽습니다. 하느님을 잘 안다고 교만을 떨면서 하느님을 기만하고, 태만하게도 다른 사람의 체험과 지식과 발견에 눈을 열지 않고 귀를 열지 않습니다. 이 태만이 다른 사람을 기만합니다. 이러한 교만과 태만은 결국 자기 자신을 속이며 기만하는 길입니다. 한국의 많은 교회가 기만의 죄에 빠져 있습니다.

대림절기는 우리 신앙인이 먼저 자신의 교만과 태만과 기만을 되돌아보는 시간입니다. 참으로 고맙게도 자신을 되돌아보고 마음과 행동을 고쳐 먹는 과정이 지금 우리가 드리는 성찬례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이 미사를 시작하면서 정심기도를 드렸습니다. 다시 되새겨 봅시다.

“전능하신 하느님, 주께서는 모든 사람의 마음과 소원을 다 아시며, 은밀한 것이라도 모르시는 바 없습니다.” 우리는 하느님 앞에 서서 하느님을 기만할 수 없습니다. 하느님은 우리의 ‘은밀한 것’도 다 아시기에 우리 자신마저도 기만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은총이 뒤따릅니다.

“성령의 감화하심으로 우리 마음의 온갖 생각을 정결케 해 주십시오.” 내 신앙 체험이 나를 정결케 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영이 나를 정결하게 하십니다. 그러니 우리는 교만할 수 없습니다.

“주님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주님의 거룩하신 이름을 공경하여 찬송케 하소서.” 우리는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일에서, 하느님을 공경하고 찬송하는 일에서 태만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이제 우리는 예수님께서 죄인들을 위하며 마련하신 성찬의 식탁에 초대받습니다. 성찬례는 우리 마음에 누군가가 들어오도록 나 자신을 여는 것입니다. 구별을 없애고 막힌 담을 무너뜨리는 훈련이요 체험입니다. 주먹을 꼭 쥐고서는 주님의 몸과 피를 받을 수 없습니다. 손을 펴서 받들 때라야 그분의 몸을 받아 만질 수 있습니다. 입을 꼭 다물고서야 성체와 보혈을 모실 수 없습니다. 입을 열어 그분을 먹고 마셔야 그분을 맛보고 그분이 우리 몸과 피가 되어 우리 안에서 살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 시편이 노래하는 대로, 율법의 원래 뜻은 ‘길’입니다. 길은 미지의 세계요 여행입니다. 길 가는 사람은 앞으로 펼쳐질 길 앞에 겸손한 사람입니다. 자신의 발걸음을 부지런히 걷는 사람입니다. 자기 멋대로 걷지 않고 길 위에서 만나는 사람을 받아들여 환대하여 대화하고 배우며 함께 걷는 사람입니다. 그 사람들에게 하느님께서 새로운 위로와 약속을 전하십니다. 바로 여러분에게 주시는 위로와 약속입니다.

“나 야웨가 너의 하느님이다. 네가 잘되도록 가르치는 너의 스승이요, 네가 걸어가야 할 길로 인도하는 너의 길잡이이다. 이 말을 마음에 두면 너의 평화가 강물처럼 넘쳐흐르리라. 너의 정의가 바다 물결처럼 넘실거리리라. 네 이름이 내 앞에서 사라지지 않으리라.”

아멘.

Jesus_meets_St_John_Baptist.jpg

One Response to “신앙 – 교만 태만 기만을 넘어 걷는 일”

  1. Jaeyoung Choi Says:

    감사합니다 신부님. 저의 교만과 태만과 기만을 돌아봐야겠습니다.

    [Re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