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은지심 – 하느님 나라의 윤리

측은지심 – 하느님 나라의 윤리 (마르 1:40~45)1

오늘 구약성서와 복음서 본문에 나온 ‘나병’의 실체가 현대인이 아는 ‘한센병’과 같은 병인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다만, 생활이 불편하고 보기 싫을 정도로 심한 피부병이었으리라는 추측입니다. 한센병이든 심한 피부병이든 이런 병을 매우 무서워하며 그런 병자를 차별하고 모욕했던 역사와 기억이 있습니다. 가난한 시절, 삶을 더욱 비참하게 했던 병을 두려움과 차별의 눈으로 ‘하늘의 형벌’[天刑]이라 부르며 그 병자들을 공동체에서 쫓아내곤 했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이러한 고정관념과 차별에 저항했습니다. 수많은 신앙인과 수도자, 성직자가 한센병으로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하며 자신의 생을 바쳤습니다. 성 다미안 신부님과 그의 동료 수녀님들이 대표적인 분들입니다. 한국 성공회도 일찍이 남양주 마석에 한센병 음성인의 마을인 ‘성생원’을 마련하여 이분들과 고락을 같이했습니다. 몸과 마음으로 고통받고 사회에서 따돌림당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며 차별의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삶이 신앙인 것을 온몸으로 증언했습니다.

신앙인의 삶과 증언은 예수님의 마음과 삶을 닮아가는 일에서 시작합니다. ‘나병 환자’의 고통과 애원을 들으신 예수님은 “측은한 마음이 드시어” 그를 깨끗이 낫게 하셨습니다. 빠르게 진행되는 마르코 복음서의 호흡에 비하면, 예수님께서 병자를 고치실 때만큼은 느리고 세심하게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예수님의 마음이 어땠는지 설명하고, 옮을까 무서워 손대기 주저하는 병든 몸에 예수님께서 ‘손을 뻗어 갖다 대시며’ 치유하신 행동을 기술합니다. 마음의 측은함과 두려움을 넘는 몸의 친밀하고 세심한 행동이 함께 어우러져 치유를 만들어 냅니다.

christ-healing-leper.jpeg

예수님의 치유는 몸의 병을 고치는 일에 머물지 않습니다. 그 치유는 한 사람이 사회에서 처한 지위와 현실을 회복하는 일로 이어집니다. 예수님은 그 시대의 ‘정결법’ 때문에 공동체에서 쫓겨났던 사람의 지위를 되찾아 주셨습니다. “사제에게 몸을 보이라”라고 하신 까닭입니다. 한 사람의 치유는 몸과 마음, 공동체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사람의 관계를 뒤틀리게 하는 여러 사회 정치 문제에 그리스도교 신앙이 예언자의 목소리를 내는 이유입니다.

예수님께서 펼치신 치유는 모두 하느님 나라의 면모를 드러내는 표지입니다. 치유를 위한 측은지심과 두려움을 넘어선 친밀한 행동은 하느님 나라를 이루는 우리 신앙인의 윤리와 도덕입니다. 사도 바울로 성인이 주시는 깊은 당부처럼, 신앙인은 다른 사람을 향한 측은지심으로 “우리 몸을 사정없이 단련하여 언제나 민첩하게 움직이며” 나아가는 사람들입니다.

후기: 이 짧은 글을 쓰며, 나는 한하운 시인(1920~1975)의 <전라도 길 – 소록도 가는 길>(1949년)을 떠올렸다. ‘전라도’와 ‘소록도’가 우리 사회에 대물림되는 고정관념과 차별의 행태 속에서 포개졌다.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오늘 구약성서 본문인 ‘나병 걸린 나아만 장군의 치유’ 이야기도 겹쳤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나아만 장군이 같은 병으로 절망하는 순간, 역사를 이끄는 주체는 권력자가 아니라 전쟁의 노획물(패배자)인 유대인 ‘몸종’(노예) ‘소녀’(여성)로 바뀐다. 예언자 엘리사의 명령에 거만한 나아만이 여전히 권력의 자존심을 내세워 거부할 때, 그를 설득하는 이들은 지위가 낮은 신하들이었다.

이 역설과 전복이 그리스도교 신앙과 전통에 면면히 흐른다. 하느님 나라는 이 전통을 사는 일이다. 우리 사회에서 ‘전라도’와 ‘소록도’가 상징하는 역사와 기억의 실체 안에서 이 신앙의 역설을 알아내고 삶의 전복을 마련하며 남은 발가락이 닳아 없어질 때까지 걷지 않으면, 그리스도교 신앙에 따른 문화와 사회는 먼 일이 된다.

전라도 길 – 소록도(小鹿島)로 가는 길

한하운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낯선 친구 만나면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

천안(天安) 삼거리를 지나도
쑤세미 같은 해는 서산(西山)에 남는데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름거리며
가는 길.

신을 벗으면
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
발가락이 또 한 개 없어졌다.

앞으로 남은 두 개의 발가락이 잘릴 때까지
가도 가도 천리(千里), 먼 전라도 길.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2015년 2월 15일치 – 수정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