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이 깊은, 벗된 어느 신부님에게
(주: 사적인 편지를 올리는 일은 낯설고 위험하다. 게다가 무슨 ‘훈계 질’일 성 싶으면 더 난처한 일이다. 이를 무릅쓰고 사적인 답장을 공개한다. 모두 나 자신에게 하는 말이므로.)
+ 주님의 평화
사랑하는 신부님. 늘 고민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부님의 대화 상대가 되고, 또 이런 편지의 수신인이 된다는 것은 기쁨이요 영광입니다. 신부님 말씀대로 트위터 같은 사적인 듯하면서도 여전히 공적인 공간 속에서 드러나는 글들과는 달리, 내밀한 자기 시선이 담긴 글을 받는 것은 즐겁고도 감동을 주는 일입니다. 고맙습니다.
사사로운 경험의 공유, 특히 삶의 여러 위기라 여길 시공간 속에서 만나서 생활하고 나눈 경험은 그 이후에도 소통과 대화, 의지와 격려의 큰 자양분이 됩니다. 저 역시 지금보다 젊은 날의 어떤 통과의례 기간에 신부님과 함께 나눈 비탈길의 대화, 그 생활의 첫 겨울, 터서 갈라져 피나던 신부님의 손등을 눈물처럼 잘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생활을 저 먼저 청산하는 날을 기억하셔서 지방에서 뜻밖에 찾아와 주신 수고스럽고 따뜻한 마음도 잘 알고 있고요.
나 자신도 식별하고 있는 처지에 던진 여러 잡념을 허투루 듣지 않으시고, 신학의 길과 성직의 길에 오셔서 더욱 가까운 길벗이 되어 주신 것에도 감사하고 있습니다. 모두 제게 큰 격려와 힘이었어요. 제 말에 귀 기울이는 이의 모습을 봐서라도 저도 허투루 살 수 없었으니까요 – 물론 지금은 엉터리로 살지만. 죄송.. 어쨌든 그 원초적인 경험의 공유가 이어져 좀 더 확대되고 풍요로워졌으면 합니다.
최근에 수화기 너머로 나눈 하찮은 몇 마디를 깊이 받아들여서 – 이렇게 말하는 것은 제가 강요하다시피한 사실을 슬쩍 모면해보려는 속셈 – 그 고민을 발전시켜주시니 또 감사합니다. 신부님의 말씀 속에서 신부님이 예전부터 품었던 희망과 꿈, 무엇보다도 하느님을 ‘느끼면서’ 식별했던 고민이 다시 새록새록 돋아나는 것을 봅니다. 무참하게 짓눌리는 일이 사람살이에는 많지요. 누구도 그런 처지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피워야 할 새싹과 맺어야 할 열매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부르셨고, 다른 이들과 더불어 가꾸며 맺으라고 부탁하셨습니다.
여전히 신부님은 신부님 자신에게 모든 탓을 돌리는 듯합니다. 선한 이들의 가장 못된(?!) 습관은 모든 문제를 자기 탓으로 돌리거나, 세상의 모든 고민을 다 짊어지고 가면서 그 무게에 짓눌려 버리고 만다는 것입니다. 돌이켜 생각하면, 이는 선한 이들의 본질적인 내면의 심성에 대한 찬사이기도 하지만, 종종 자기변명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 힘 있는 이들은 이 선한 이들의 이 약한 고리를 알고, 그 틈을 이용해서 자기의 힘을 여전히 유지합니다. 위선을 비판하고 넘어서기 위해서 위악일 필요는 없습니다만, 여전히 모든 것을 자기 내면으로 환원하는 것은 오히려 힘 있는 자들의 전략에 휘말리는 것이겠다고 생각합니다.
이 말은 자기반성을 게을리해도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신부님도 아시지요. 무엇보다도 신부님 자신이 자신을 잘 대해주시기를 바라서 하는 말씀입니다. 겸손이라는 이름으로 자기 자신을 무의식적으로 비하해서는 안 됩니다. 그렇게 비하된 자아는 언젠가는 복수를 하는데, 종종 자신이 제어할 수 없는 분노로 폭발하여 나와서, 자신의 처지를 매우 곤혹스럽게 하기가 일쑤입니다.
자기존중감을 지키셔야 합니다. 신부님은 하느님께서 손수 빚으신 창조물이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의 부탁에 따라 꽃피워야 할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값 없는 은총 안에 놓인 사람들입니다. 그리고 이런 처지에서라야, 우리는 다른 이들을 하느님의 창조세계에 속한 이들로 평등하게 존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창조신학이 던지는 우리 자신의 존엄성에 대한 질문이요 요구입니다.
바로 이에 기반을 두고 우리는 외부를 향한 좀 더 분명하고 근거 있는 변화의 요구와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부님의 소명과 고민, 반성은 신부님 자신을 키워나가도록 일조해야 합니다. 신부님을 압도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편지 나누니 저도 너무 좋아요. 실은 어제오늘 성탄 카드를 손수 적고 있는데 여러 생각이 나더라고요. 이렇게 짧은 글이라도 옛날 식으로 자주 주고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더랬습니다. 아마도 굴러다니는 만년필을 손질해서 이제는 손으로 쓰는 편지에 다시 습관을 드려야겠습니다. 키보드로 쓰면 이 편지처럼 딱딱해진단 말이에요. 😉 되새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연락드리지요.
마음 깊이에서 평화와 사랑의 인사를 전합니다.
주낙현 신부 합장
December 17th, 2010 at 5:17 pm
[…] 그 글에 쓴 댓글을 옮겨 놓는다. 옮기면서 그전에 날을 달리해서 올린 벗된 어느 신부님께 드리는 편지의 내용과 상충하면서도 서로 돕는 것이라 생각한다. (사람은 늘 처지에 […]
April 1st, 2012 at 1:19 pm
[…] 느끼는 바 많다. 80년대라는 시대의 감옥에서 그를 읽었고, 진짜 감옥 바깥의 벽 안에서 벗과 그를 나눠 읽었다. 그리고 이제 그를 생각하면서 참 자유를 누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