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혐오의 승리에 길을 잃은 신앙인들”
2009년 10월 천주교 교황청에서 성공회를 탈퇴한 보수파 인사들을 위한 특별 조치가 발표된 바 있다. 문제의 핵심은 성공회의 여성 성직이었다. 세계 성공회 안에서도 뒤늦게 영국 성공회가 1992년에 여성 사제직을 인정하고, 여성 주교직의 걸림돌도 제거한(2014년 이후 가능) 마당에, 성공회 내 보수 인사들이 탈퇴 이후를 교황청과 논의하면서 나온 조치였다. 로완 윌리암스 캔터베리 대주교는 직후에 로마에서 있는 교회 일치에 대한 강연에서 성공회의 여성 성직에 대한 신학적 입장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2010년 교황의 영국 방문과 존 헨리 뉴먼 추기경의 시복식과 더불어, 탈퇴한 성공회 성직자들에 대한 조치는 더욱 탄력을 받았고, 지난 11월에는 영국 성공회의 몇몇 주교들(은퇴 주교 포함)이 천주교로 건너갔다. 그리고 그들 가운데 셋이 천주교에서 부제와 사제로 동시에 재서품을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영 가디언지는 이례적으로 사설에 이 문제를 다루면서, 천주교의 조치와 이 사건을 강력하게 비판한다. “여성 혐오”가 교회 권력 사이에서 힘을 얻는 동안에 정작 신자들을 절망감을 느끼고 있다고 경고한다.
사설을 아래에 옮긴다.
“여성 혐오의 승리에 길을 잃은 신앙인들”
지난 9월 교황 베네딕트의 영국 방문 끝에 그가 다른 그리스도교 공동체들 앞에 펼친 기세와 호의는 영국 천주교에 도전을 가져다 주었다. 거리낌 없는 (여성 성직) 반대자들이었던 전직 성공회 주교들을 부제서품과 사제서품을 단번에 연결해서 재빨리 천주교 사제로 서품한 일은 대부분 사람들이 원하는 우선 과제는 아니었다.
영국 천주교를 이끄는 빈센트 니콜스 대주교는 개인적으로 불편하게 생각하던 일을 어제 행사에서 최선을 다해 잘 처리했다. 모양을 냈을 지언정, 이는 천주교가 성공회에 대해 사람 빼내기에 집중했다는 사건이다. 이로써 종교개혁 이후에 잃은 점수를 천주교는 만회했는지 모른다.
여성 성직에 반대하면서 성공회를 탈퇴한 사람들을 위한 천주교의 특별 자치 교구는 천주교 내부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양 교회의 긴장을 야기할 뿐이다. 그리하여 다시한번 그 관심은 그리스도교의 다른 교단들 사이의 논쟁에 쏠리게 될 것이며, 종교를 실제 세상과는 관계 없는 것으로 보이게 할 것이다.
가난의 문제, 기후 변화, 자연 재해 등 우리 지구가 직면한 모든 도전들을 염려하는 판국에, 종교 기간들이 여성이 사제가 될 수 있느냐 없느냐로 언쟁하면서 소진하는 모습은 빈정거림의 대상이다
이제 종교 만이 여전히 여성을 이등 시민으로 다룬다. 천주교가 자신과 더불어 제도적인 여성 혐오를 나누면서 성공회를 탈퇴한 한 줌의 변절자들을 모집하는 일이 계속 잘 될 것이라 믿는다면, 이는 오산이다.
이 와중에, 교회가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되는 일들, 즉 사회 정의를 위한 일,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하는 일들은 다시한번 무대 밖으로 밀려난다. 이런 교회 권력의 정치 게임에 끼어들고 싶지 않은 대부분의 영국 천주교 신자들은 절망감을 느낄 것이다. 다른 종교의 신앙인들이나 무종교인들, 그리고 좀 더 깨어있으며 관대한 이들은 분노를 가지고 점차 그들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
번역: 주낙현 신부
원문: 영 가디언, 2011년 1월 16일치 http://goo.gl/yb9tA
January 19th, 2011 at 11:32 pm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Reply]
March 20th, 2012 at 1:46 pm
[…] cf. 여성 혐오의 승리에 길을 잃은 신앙인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