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을 듣는 법 – 한 사제의 동행

며칠 전 흐느끼는 목소리에 밤을 깨운 나는, 몇 년 전 잇따라 자살한 연예인 오누이와 그 어머니 이야기를 다룬 TV 녹화분을 아내가 보고 있던 걸 알았다. 눈물을 훔치는 아내와 건성으로 이야기를 나눴던 것 같다. 모처럼 청한 이른 잠이 날아간 터라 무심했던 모양이다.

그러다가 오늘 마주한 글을 읽고는 며칠 전 일과 더불어 마음이 먹먹해졌다. 풀어낼 많은 이야기를 뒤로하고 그저 지구 반대편 어디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이 글의 주인공을 잠시 생각했다. 곧 생각을 방해하며 여러 잡념이 끼어들었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자살의 소식들. 가족사의 그늘 어딘가에 꼭꼭 숨겨놓은 무참한 자살의 기억. 세상을 등진 이들과 남겨져 슬퍼하는 이들의 이야기들이 가족사와 이웃의 여러 경험과 더불어 마구 섞였다.

그러고 보니 이 블로그에도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여러 번 적었다. 또, 몇 주 전 병원에서 한 생명을 기름 부어 하느님께 보내드리고, 그와 가족을 위한 장례 미사의 긴 일정을 보내는 동안에, 죽음은 사적으로 가깝고 친밀한 것이면서도, 금세 아무렇지 않게 타자로서도 존재한다는 것을 생각했다. 그 사적인 친밀감과 타자적인 거리감 사이는 멀지 않고, 경계 역시 모호하다. 죽음이라는 사실은 객관적이지만,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이들의 마음과 시선은 그렇지 않다.

오랫동안 종교는 죽음에 대한 전문가를 자처했지만, 실은 누구도 그에 대한 답을 알지 못하고 전해주지 못한다. 그 답을 알고 있다고 자처할 때, 어떤 율법주의와 억압적 윤리로 사람을 괴롭힐 공산이 크다. 종교는 오히려 세상에 남아 죽음을 받아들여야 하는 이들의 마음을 응시하고 듣는 행위에 집중할 때라야 그들에게 슬픔을 극복하는 힘의 시공간을 열어준다. 그 힘은 종교가 신의 이름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신의 힘을 말하겠다면, 오히려 신의 신비에 우리 자신을 맡겨둘 일이니, 종교는 우리 주위에 친구로 머물거나 동행하며, 스러진 삶의 기억을 우리 안에 새롭게 그리도록 이끄는 초대이다.

번역한 글을 소개하고, 서툰 번역에 대한 발뺌이나 적으려 했다가 허튼소리를 늘어놨다. 글쓴이는 영국 성공회의 은퇴한 사제이다. 이 동행기의 마지막에 나온 아름다운 문장을 우리말로 옮기기에 힘이 달렸다. 그 맛대로 느끼도록, 그리고 누구의 좋은 번역 대안이라도 듣고 싶어서, 원문 마지막 문장을 괄호에 넣었다. 제목은 내 멋대로 붙였다.

슬픔을 듣는 법 – 한 사제의 동행

데이빗 브라이언트

나는 브리스톨 템플 미드 역에 있었다. 다섯 시간 열차를 탈 참이었다. 젊은이들이 승차했고, 한 아가씨가 내 목에 두른 성직 칼라를 보더니 내게 다가왔다. “신부님, 이야기 좀 할 수 있나요?” 이런 일은 언제나 ‘신부님과 잡담’이라는 우스갯소리 같은 일의 시작이다. 피곤한 일이다. 그러나 그날은 그렇지 않았다. 세 시간 전, 자신의 남자 친구가 자살했다. 오랫동안 우울증을 앓았고 치사량의 약을 일부러 먹었다. 함께 살던 아파트에서 죽은 남자 친구를 발견했다. 남자 친구는 자기 존재에서 오는 고통을 더는 대면할 필요가 없었고, 이제 그녀는 마음을 위로하려고 자기 부모님께 내려가는 중이었다.

그녀의 고뇌가 쏟아져 나왔다. 자살을 둘러싼 이런 절망적인 생각들은 익숙한 것들이었다. 성직자로 생활하면서 평생 이런 이야기를 들은 탓이다. 처음에는 하느님을 향한 분노가 나왔다. 한 청년이 자신을 파괴하는 순간에도 멍청하게 서 있는 하느님에 대한 분노였다. 아니 그보다 더 심했다. 하느님은 헤아릴 수 없는 어떤 심원한 이유를 들어서 그의 죽음을 획책한 것은 아니냐는 것이었다. 이런 무참한 일이 자신에게 일어나야 할 이유가 뭐란 말인가?

이것은 형벌인가? 아니면 시험인가? 열차가 달려가는 동안 하느님을 향한 분노는 점차 자신의 내면을 향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인정사정없이 자기 자신을 공격했다. 정상을 참작할 만한 어떤 이유도 자신에게 허락하지 않았다. “내가 좀 더 마음을 썼어야 했어요.” “내가 그를 망친 거에요.” “다 내 탓인 것 같아요.”

예상했던 대로, 원망의 시선은 마지막 방향을 틀었다. 죽은 애인을 향한 원망. 그 약병을 다 삼켜버리기 전에 자기 여자 친구가 느낄 무참한 마음을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본 것일까? 그건 겁쟁이 같은 도피일 뿐이야. 그저 수치를 남기고, 애통해 하는 이들 뒤에서 수군거리는 소리, 자살이라는 낙인을 남길 뿐이었다. 나는 듣기만 하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 상처는 완전히 배출돼야 하기 때문이었다. 분노는 소진돼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런 뒤라야 치유가 시작된다.

내 침묵에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그녀가 지닌 하느님 상에는 문제가 많다고 지적할 시점이 아니었다. 그녀가 생각하는 신은 벌과 상을 주고, 죽음과 생명과 비극을 독재자처럼 멋대로 관장하는 신이었다. 이런 신 관념은 어서 빨리 고쳐주어야 했더라도 말이다.

더욱이 이런 일을 무거운 윤리로 성급하게 다루는 것도 적절하지 않았다. 생명은 하느님의 선물인데, 그런 점에서 보면 남자 친구의 행동은 나쁘고 배은망덕한 일이라 말한다 해도 위로가 되지는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애인의 죽음은 자유로운 선택이었고, 누구나 그런 권리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면, 오히려 그녀에게 배신감만 불 지필 뿐이었다.

그녀를 지배하고 있는 죄책감을 두고, 성직자랍시고 입바른 몇 마디를 던진다고 해서 그 감정이 누그러지지도 않는다. 사제가 재빨리 용서의 선언을 한다고 해서 도움될 리 없다. 다만, 자기 수용만이 도움이 된다.

그래서 나는 남자 친구와 함께했던 생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라고 했다. 그녀는 우울증이 드리운 어둠과 그들이 함께 싸우며 보냈던 고통스러운 밤들을 말해줬다. 그리스에서 함께 보냈던 휴가에 대한 추억, 새로 세를 내서 들어간 아파트 열쇠를 받아쥐며 기뻐했던 순간. 그 순간들 사이에 사랑의 기쁨이 한 올 한 올 짜여 있었다. 그 애인이 수채화를 그리는 붓놀림이 뛰어났다는 사실과 그가 그녀에게 얼마나 상냥하게 대했는지도 알게 되었다. 그녀가 말하다 울다를 거듭하며 이야기를 누비는 동안 우리 열차는 목적지에 다다랐다.

우리는 달링턴 역에서 내렸다. 내가 집에까지 태워다 주겠다고 했다. 그녀는 괜찮다면서 내게 악수를 했다. 그냥 가라는 뜻이었다. 나는 그 마음을 알았다. 슬픔이 깊은 만큼, 정적의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짐을 벗고 나서는 더더욱.

“도움을 주셔서 고마워요.”

그녀가 걸어가는 뒷모습을 바라보았다. 그런데 정말로 뭔가 아니라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그녀를 도와준 것은 전혀 없었다. 그녀는 사랑했던 남자의 모습을 한 획 한 획 자신의 붓질로 스스로 그려냈던 것이다(She had done that herself by painting a picture of the man she loved, brush stroke by brush stroke). 그 누구도 그 그림을 그녀에게서 앗아가지 못했다.

원문: 데이빗 브라이언트 David Bryant, http://goo.gl/Fn2H2
번역: 주낙현 신부
후원: 김현주 & 민김종훈 부제 (서울교구 강동교회)

5 Responses to “슬픔을 듣는 법 – 한 사제의 동행”

  1. 자캐오 Says:

    “도움을 주셔서 고마워요.”

    말할 수 없는 슬픔 앞에 놓인 사람들과 ‘함께’ 있어 준다는 것만으로도 될 것을.. 우린 너무 많은 말과 설명을 하려 할 때가 많습니다.

    또한, 성공회 사목자가 되어 간다는 것. 하느님에 대해 너무 많이 얘기하고 과잉 포장과 해석으로 오히려 하느님의 사랑을 묻어 버리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 다시 한 번 살펴 봅니다. 좋은 글, 늘 감사드립니다.

    [Reply]

    fr. joo Reply:

    자캐오 / “성공회 사목자”는 어떤 점에서 ‘동행’에 가장 적합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봅니다. 여러 환경 속에서 경청하는 동행하는 일이 늘 쉽지만은 않습니다. 외쳐야 할 순간에는 외치고, 침묵해야 할 시간에는 침묵하는 식별이 늘 수련의 과제입니다. 어쨌든 부제님과 사목자로서 동행하는 것도 축복입니다. 😉

    [Reply]

  2. Paul J. Lee Says:

    오랜만에 들렀습니다, 신부님. 저도 올 4월, 부활을 코앞에 두고 절친한 친구의 자살 소식을 듣고서 매우 괴로웠더랬습니다. “She had done that by herself by painting a picture of the man she loved, brush stroke by brush stroke.” 이 문장이 정말 절절히 와닿습니다. 결국은 스스로 이겨나가는 것이지요. 그래야만, 그 여정 내내 하느님께서 함께 하셨다는 사실을 알고 받아들이고 감사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소중한 글, 함께 나눌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맛비에 건강 조심하셔요.

    [Reply]

    fr. joo Reply:

    Pau J. Lee / 오랜만입니다. 친구 소식은 너무나 안 됐습니다. 하느님께 희망을 걸며 다른 이들을 위로하는 삶을 함께 살아갑시다. 평화를 빕니다.

    [Reply]

  3. 문 은영 Says:

    내 멋대로 붙인 제목 (슬픔을 듣는 법-한 사제의 동행)인데 그 제목이 지닌 마력에 이끌려 이 글을 씁니다.

    여인이 자살한 남친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우연히 한 기차를 탄 신부님의 노련한(?)동행의 모습을 영화감독도 아닌 주제에 상상으로 영화의 한 컷으로 만들어 놓습니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상상속의 영화장면을 스톱시키고, ‘스스로의 못남’을 들여다 봅니다. 남들은 바로 곁에서 일어난 죽음에 괴로워하는데 기껏 난 영화장면으로 만들면 좋겠다 상상하는 이 꼬라지… ‘영화의 분위기는 너무 질퍽거리지 않으면서도 죽음을 받아들이는 심리적 과정을 디테일하게 만들면 좋을꺼야’

    아, 다른 사람에게 실망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에게 실망합니다.
    자신이 살아갈 날도 지나 온 날보다 많이 남아 있지 않으면서…
    부모도 친구들도 세상을 떠난 판에…
    막막한 세상에 자식들을 두고 곧 가야 할 차례인데….
    다른 사람의 아픔을 상품화하려는 괴씸한 심보…
    찡한테 그러면서 이렇게 떠오르는 상상력…
    이제껏 요모양 요꼴 밖에 안 되었는지.

    [Reply]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