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 인간-몸, 물질: 윌리암스 & 슈메만

“창조 이야기, 성육신 이야기, 그리고 그리스도의 몸과 누리는 친교에 우리가 참여한다는 이야기 전체가 전하는 바는 이것이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원하신다. 마치 우리가 하느님이기를, 마치 하느님께서 삼위일체의 삶 속에서 만드신 하느님의 선물에 우리가 조건 없이 응답하기를. 우리는 창조되었기에 이 관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느님께서 하느님을 사랑하듯이 우리를 사랑하심을 배우며 하느님의 깊은 사랑 안으로 들어가 성장한다. 그리스도교 공동체 생활은 이것을 가르쳐서 그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이 누군가의 열망 속에 있으며, 기쁨의 존재인 것을 스스로 발견하도록 돕는 일이다.” – Rowan Williams, “Body’s Grace” (1989)

“우주에서 인간의 독특한 위치는 인간만이 하느님에게서 받은 음식과 생명에 대해서 하느님을 찬미한다는 데 있다. 인간만이 자신의 찬미(blessing)로 하느님의 축복(blessing)에 응답한다. 에덴동산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인간이 사물의 이름을 짓는다는 것이다… 성서에서 이름은 사물 자체의 지극한 본질을 드러낸다. 그것은 하느님의 선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그 이름 때문에, 그 이름으로, 하느님을 찬미한다는 말이다. 그리고 성서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는 일은 ‘종교적’이거나 ‘제의적’인 것이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바로 삶의 길이다. 하느님께서 세상을 축복하셨다. 인간을 축복하셨다. 제7일째(시간)를 축복하셨다. 이는 하느님께서 그분의 사랑과 선함으로 모든 것을 채우셨고, ‘참 좋은 것’으로 만드셨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이 축복되고 거룩한 세상을 주신 하느님께 드릴 인간의 오직 자연스러운(초자연적이 아닌) 응답은 하느님께 축복과 찬미를 돌려 드리는 일이다. 감사하는 일이다. 하느님께서 세상을 보는 방법으로 우리 역시 세상을 보는 일이다. 이러한 감사와 예배의 행동 속에서 우리는 세상을 알고, 세상에 이름을 주고, 세상을 소유한다… 인간은 그 무엇보다도 ‘호모 아도란스'(예배하는 인간)이다. 인간은 세상의 중심에 서서 하느님을 찬미하는 행동, 즉 하느님에게서 받고 다시 하느님께 봉헌하는 행동 속에서 세상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성찬례를 통하여 세상을 채움으로써 인간은 자신의 삶과 생명을 변화시킨다. 세계에서 받은 생명과 삶을 하느님 안에서 친교를 누리는 생명과 삶으로 변화시킨다. 창조된 세상은 ‘물질’이다. 이것이 하나이고 모든 것을 아우르는 성찬례의 재료이다.” – Alexander Schmemann, For the Life of the World. (1963)

6 Responses to “창조, 인간-몸, 물질: 윌리암스 & 슈메만”

  1. 아거 Says:

    요즘은 예배에 대해 정말 진지해졌지만, 예배중에 가끔 트위터 타임라인도 보고 그랬던 적이 있습니다. 갑자기 부끄러워지네요.
    찬미와 축복이 모두 blessing 인데는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요?

    [Reply]

    fr. joo Reply:

    아거 / 예배 중에 트위터 사용했노라고 고백하셨으니 제가 사죄 선언을 하면 되나요? 😉 뭐, 요즘은 트위터로 (개신교) 예배를 중계하는 분도 있으니, 그렇게 이해하겠습니다. 😉

    고대의 성서 언어는 부족한 단어 수 때문이었는지, 한 단어에도 맥락에 따라 이중, 삼중의 의미를 지니는 일이 많았습니다. “Blessing”의 경우, ‘찬양하다, 복되게 하다, 거룩하게 하다, 좋게 하다’는 뜻이 섞여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다른 말로 번역되면서 뜻이 확장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했습니다. 히브리어(baraka)에서 그리스어(eulogia)로, 다시 라틴어(benedictiones), 그리고 기타 서구 언어(blessing)로 번역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통용되는 뜻과는 달리 그리스도교에서는 지금도 같은 단어를 상황과 그 주체와 대상에 따라 여러 뜻으로 쓰입니다. 그러면서도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라는 것이지요. 복잡하죠.

    우리말 번역은 이를 다 구분해서 씁니다. 예를 들어,

    수동형으로 쓰일 때(blessed is), 그 대상이 하느님이면 하느님께 찬양을 돌리는 행위이고, 사람이면 사람에게 복되다는 뜻입니다(진복선언).

    하느님이 주체이고 인간과 사물이 대상이면, 하느님께서 복을 내리는 일(강복)이라는 풀이하고,

    인간이 주체이고 하느님이나 다른 사람이 되면, 찬미(찬양, 존경)와 축복(복을 빌다)으로 풀이합니다. (그래서 제가 번역해서 올린 내용에서는 ‘축복’보다는 ‘강복’이라고 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는 어감이 이상하죠.)

    각설하고, blessing은 여러 뜻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구분하더라도, 원뜻은 격려하고 칭찬하고 복을 빌어 주고 복을 내려주고, 거룩하게 하고, 모든 일이 참 좋아졌으면 한다는 여러 의미가 겹쳐있다는 것입니다.

    아거님의 생활에 늘 복락이 넘치기를 빕니다. 🙂 성서의 축복문을 딴 성가(성공회 작곡가 존 러터)으로 아거님을 축복합니다.
    http://youtu.be/PO17DIeI7Ec

    [Reply]

  2. 아거 Says: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링크해주신 성가를 들으며 트위터 타임라인에서 보고 읽은 어수선한 소식들로 헝클어진 머리속이 갑자기 정화되는 느낌입니다.

    [Reply]

  3. Mark J Cha Says:

    Via media의 new article 메일들은 늘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오늘은 감사한 마음이 많았습니다. 정성스럽게 정리된 내용들을
    받아 읽는 일들을 당연한 것 처럼 느꼈던 마음이 부끄럽습니다.
    다시 한 번 더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주 신부님의 사역에 주님의 인도하심이 가득하기를 기도합니다.

    [Reply]

    fr. joo Reply:

    Mark Cha / 차마가 교우님, 이게 도대체 얼마만이신가요? 그동안 어찌 지내셨는지요? 한번 뵙지 못했어도 늘 격려해 주셔서 가까이 계신 분으로 느꼈습니다. 그동안 안부가 궁금했습니다.

    주신 격려의 말씀 감사합니다.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지만 그러한 격려와 응원과 기도 덕분에 견뎌가고 있습니다.

    차마가 교우님과 가정에도 하느님께서 주시는 크신 복락과 은총이 넘쳐나길 빕니다.

    [Reply]

  4. via media 주낙현 신부의 성공회 이야기 » Blog Archive » “윌리암스 캔터베리 대주교와 세계 성공회 10년” 블로깅 목록 Says:

    […] cf. 창조, 인간-몸, 물질: 윌리암스 & 슈메만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