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진 틈으로 스미는 구원의 눈물, 은총의 향기

Tears_Washing_Jesus.png

부서진 틈으로 스미는 구원의 눈물, 은총의 향기 (루가 7:36~8:3)

여성은 ‘세상의 절반’이라는 말은 도대체 우리 사회에서 무슨 뜻일까요? 최근 우리 사회에서 여성에게 벌어지는 일들을 듣노라니 당혹과 충격을 감출 수 없습니다. 무고한 여성이 끔찍한 폭력의 희생자가 되어 목숨을 잃고, 젊은 여성 교사가 학부형 남성들이 저지른 비인간적 폭행의 무참한 기억을 뇌리에 남겨야 하고, 가난한 여학생들은 자신의 몸을 청결하게 돌볼 수 없는 처지에 몰리기도 합니다. 이것이 21세기 한국의 민낯이라면, 우리는 문명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야만의 시대를 향하는지 모릅니다. 희생자가 된 여성의 사적인 처신을 먼저 들춰내려는 변명마저 스멀스멀 오르는 지경이라면, 온전한 세상을 이루는 ‘절반’을 우악스러운 힘으로 짓눌러 하느님의 창조 질서마저 거부하는 반(反)신앙의 행태입니다.

이미 2천 년 전 일입니다. 여성을 향한 폭력과 차별과 왜곡을 역사의 유물로 만드신 오늘 복음의 사건 말입니다. 예수님은 바리사이파 사람의 집에 초대받아 식사를 나누십니다. 주님은 빈자이든 부자이든, 소위 ‘의인’이든 ‘죄인’이든, 그 누구의 초대도 거절하지 않으십니다. 그런데 이 차별 없는 용인을 배반이라도 하듯이 스스로 ‘의인’이라 여기는 바리사이파 사람 ‘시몬’은 ‘행실 나쁜 한 여자’가 벌인 일을 두고, 오히려 예수님을 의심합니다. 흥미롭게도 남성 바리사이파 사람은 이름 있는 ‘시몬’이고, 여기가 어디라고 판을 깨며 밀고 들어온 사람은 ‘근본도 이름도 없는 여성’입니다. 돋보이는 이 대비 속에서 오히려 신앙의 이해가 완전히 뒤집힙니다.

바리사이파는 ‘구별된 거룩한 남성’으로서 율법을 수호하는 사람입니다. 내려온 관습과 율법을 지킨다면서 죄의 경계를 제멋대로 정해서 다른 사람을 쉽게 심판합니다. 사람마다 지닌 복잡하고 난처한 처지를 너그럽게 헤아리지 않습니다. 사람과 어울리되 이익에 따라 관계의 거리를 조정합니다. 세상이 인정하는 완벽한 사람일지도 모릅니다.

반면, 문제의 주인공은 우쭐대는 유명인사들의 파티장을 침범하는 ‘행실 나쁜 여성’입니다. 세상 풍파에 부서진 사람입니다. 그는 값비싼 향유를 전혀 아까워하지 않으며, 낯선 사람의 발에 입 맞추며, 자신의 머리카락을 풀어 닦아드립니다. 지극한 친밀함으로 경계를 뚫고, 차별의 벽을 성큼 넘습니다. 그의 눈물은 무디고 굳어버린 종교를 적시고, 그의 향유는 계산으로 이뤄진 장소에 손에 잡을 수 없는 풍요로운 향기를 선사합니다. 거짓된 웃음의 인사치레에 뜨거운 살의 접촉을 마련하여 머리카락이 휘감는 사랑의 관계를 회복합니다. 이 용기가 여인의 신앙이요, 예수님을 향한 사랑입니다. 이것이 오늘 예수님이 펼치는 은총이요, 용서와 구원입니다.

복음은 예수님이 펼치는 구원 선교의 여인들을 소개합니다. 마리아, 요안나, 수산나, 그리고 다 셀 수 없는 여인들, 세상의 절반인 여성을 하느님의 구원 역사 속에서 회복하시려는 결연한 의지입니다. 힘없는 사람, 연약한 사람, 부서지고 깨진 사람, 여전히 차별받는 사람이 지닌 상처를 그 자체로 죄의 결과로 말할 수 없다는 단호한 선언입니다. 오히려 그 상처의 눈물과 아픔은 구원의 사건이 일어나는 통로입니다. 그 깨진 틈으로 은총의 향기가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그 터진 눈물로 우리의 잘못을 씻고 새로운 은총을 맛보기 시작합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