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에 닿아 함께 일어서는 공동체
슬픔에 닿아 함께 일어서는 공동체 (루가 7:11~17)
자녀를 잃은 슬픔은 그 누구도 헤아리기 어렵습니다. 곁에 있는 사람은 위로의 말을 찾기 어렵고, 자기 몸이 끊어져 나간 듯한 아픔을 겪은 당사자도 그 슬픔의 깊이를 가늠하지 못합니다. 그저 어둠의 구멍 속으로 끝을 모르고 계속 추락하는 느낌일 뿐이라는 증언과 함께 어떻게도 몸과 마음을 가눌 수 없는 상태를 눈물로만 확인할 뿐입니다. 오늘 성서 이야기는 극한의 슬픔에 덮인 어머니를 소개합니다. 어머니의 추락을 멈추려 그 슬픔의 밑바닥에 닿으려 온 몸을 내미는 엘리야 예언자와 예수님을 발견합니다. 이 만남 속에서 구원은 어떻게 펼쳐질까요?
엘리야와 과부는 이미 인연이 깊습니다. 박해를 피해 숨어다니며 배고픔에 지쳤던 낯선 손님 엘리야에게 자신과 아들의 마지막 식사를 포기하고 바쳤던 환대의 여인입니다. 그 환대에 내린 축복으로 여인과 아들은 배고픔을 면했지만, 아들은 이내 병에 걸려 죽고 말았습니다. 여인에게 아들은 함께 죽을지언정 먼저 보낼 수 없는 사랑이었습니다. 이 죽음에 책임을 지겠다는 엘리야의 태도가 결연합니다. 어머니의 슬픔을 자신의 온몸에 담아 싸늘한 아들의 몸에 겹칩니다. 자신을 죽음의 현실에 내어놓은 행동입니다. 어머니의 눈물에 담긴 뜨거운 생명을 아들의 몸에 전하려는 몸부림입니다. 슬픔이 서로 닿아 이어졌을 때 생명은 다시 일어납니다.
예수님이 만난 장례 행렬은 두 겹으로 겹쳐진 슬픔을 또렷하게 합니다. 사랑하는 배우자를 잃은 사람이 남은 자식마저 보내는 무참한 현실입니다. 두 겹의 상실은 한 여인의 존재 자체를 지워버리려 합니다. 상여를 따르는 그의 발걸음은 자기 존재의 무덤을 향할 뿐입니다. 예수님은 이 죽음의 행진을 멈추게 하셨습니다. 어쩔 수 없는 절망의 행진을 멈출 힘은 오직 연민입니다. 측은지심입니다. 예수님은 연민의 손을 뻗어 감히 오염과 부정과 죽음의 현실에 ‘손을 댑니다.’ 죽음을 멈추고 생명을 살리는 일에 당신 손을 더럽히시겠다는 의지입니다. 그러나 슬픔과 절망에 닿은 손은 더럽혀지지 않고, 오히려 “젊은이”를 일으켜 세우며 여인의 존재도 지켜냅니다.
우리 사회에 상실의 슬픔과 죽음의 절망이 편만합니다. 우리는 이런 사건의 목격자이면서도 종종 방관자로 머물기도 합니다. 비난과 책임을 면하려는 변명에 분노하면서도, 어쩌면 이런 사회와 공동체를 만들어낸 우리 자신의 책임은 돌아보지 않거나 손을 멀리하려 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위로는 어머니에게 숙명을 인정하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잃은 사람의 불행을 탓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슬픔의 깊이에 손을 내밀고 몸을 겹쳐서 어머니의 눈물과 온기를 다른 모든 생명을 품어 전하려 합니다. 죽음의 행렬을 가로막는 이 용기야말로 세상의 젊은 생명을 더 잃지 않고 세우는 신앙의 몸부림입니다. 타인의 슬픔이 우리 몸에 닿아 우리가 그 슬픔을 부축할 때 구원의 틈이 열립니다. 이것이 예수님의 연민이 낳는 구원이요, 우리 교회가 세상을 향해 펼치는 구원의 손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