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의 공동체 – 평등한 세례로 나누는 슬픔의 잔

영광의 공동체 – 평등한 세례로 나누는 슬픔의 잔 (마르 10:35~45)1

“소원이 있습니다. 꼭 들어주십시오”(마르 10:35). 신앙인 뿐만 아니라 세상 사람 누구나 드리는 부탁이며 기도입니다. 저마다 어려운 처지에서 바치는 절박한 간구는 듣는 이의 마음을 뭉클하게 합니다. 도울 방법을 함께 찾는 일이 사람 마음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서 이야기는 같은 부탁이라도 사정이 다릅니다. 제자 형제 둘이 예수님께 ‘영광스러운’ 자리를 청탁하는 장면을 읽자니 입이 씁니다. 예수님께서 곧 수난을 당하시라는 비장한 말씀을 꺼낸 직후에 나온 행동이라, 사람의 뻔뻔함이 안타깝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십가가의 길을 들어서신 예수님의 고뇌는 정작 제자를 자처하는 이들의 이익과 입장에 가려져 버립니다.

청탁하는 제자 형제들의 혈연관계는 우리 사회 곳곳에 드러나는 지연, 학연, 인맥과 같은 ‘이익의 끈’ 문제입니다. 본래는 가까운 신뢰와 배려에서 나왔을지라도 종내에는 다른 사람을 배척하는 태도와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이 추구하는 영광의 경쟁은 어떤 결과를 낳을까요? 의도하지 않더라도, 이익의 끈에 들지 않은 사람은 쉽사리 배척합니다. 자기 울타리 밖에 있는 사람을 향한 관심은 줄어들 뿐만 아니라, 배제당한 사람의 질투와 ‘화’를 돋굽니다. 불필요한 시기와 경쟁이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꼬리를 무는 원인입니다.

반면, 예수님의 기도는 “큰소리와 눈물”의 청원이었습니다(히브 5:7). 삶의 고난과 슬픔을 있는 그대로 나누는 기도였습니다. 이익과 신분상승의 욕망에 사로잡힌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고난의 세례를 받아서 쓰디쓴 잔을 나누겠느냐?’”고 물으십니다. 그리스도교 신앙과 성사 생활의 핵심인 세례와 성찬례의 뜻이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세례는 인간사의 고통과 슬픔에서 도피하지 않고, 그 가장 깊은 밑에까지 들어가서 자기애(自己愛)가 익사(溺死)하는 경험입니다. 삶의 물밑에 닿는 절망을 통해서 우리는 평등해지고, 바닥을 치고 올라오는 세례 안에서 우리는 새로운 형제자매의 관계로 태어납니다. 교회는 이처럼 평등하게 세례받은 이들이 이루는 신앙공동체입니다. 성찬례는 세례로 맺은 형제자매가 함께 밥상에 둘러 모여 삶의 기쁨과 슬픔의 눈물을 ‘한 잔’에 담아 나누며 성장하는 일입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영광이요, 하느님 백성이 누릴 영광입니다.

신앙인은 고난과 절망의 세례를 통과하여 기쁨과 슬픔의 잔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나눕니다. 신앙인은 이제 새로운 삶을 다짐합니다. 그것은 이사야 예언자가 선포하는 ‘고난받은 종’의 삶입니다. 다른 사람, 낯선 사람을 위하여 어려움을 “대신” 지는 일을 예수님께만 맡길 수 없습니다. 우리 신앙인은 서로 함께 삶의 짐을 ‘대신’ 짊어져서, ‘굴욕 당하며 외로움에 방치되고, 인간사회에서 끊기고 매장당하여 잊혀진 이들을 일으킵니다’(이사야). 그때 우리를 일으켜 세우시는 하느님의 영광을 또다시 경험합니다. 그때 우리가 겪던 “극심한 고통이 말끔히 가시고 떠오르는 영광의 빛을 보게 될 것입니다”(이사 53:11).

Nolde-last-supper-1909.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0월 18일 연중29주일 주보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