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사랑 – 실패와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서로 사랑 – 실패와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요한 13:31~35)1
“사랑 –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어 자나 깨나 그 사람 생각이 떠나지 않고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게 되며 몸부림치고 싶어지는 마음의 상태. 이루어지게 되면 하늘에라도 오를 듯한 기분이 된다.”
몇 년 전 우리나라 극장에도 개봉했던 영화 “행복한 사전”에 나오는 사랑의 정의입니다. 사랑에 관한 수많은 책과 자료를 골몰히 살펴서 단순 명쾌한 설명을 담아 사전을 펴내려는 수고 끝에, 그 단어를 삶으로 체험하면서야 그 낱말풀이가 생명을 얻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사랑은 마음을 들뜨게 하여 “하늘에 오르는 기분”을 마련합니다. 그러니 오늘 여러 독서에 나오는 대로, 새로운 생명을 얻어 새 땅의 기쁨을 누리고, 새 하늘로 오르는 희망의 환시는 모두 예수님께서 명령하신 ‘서로 사랑’에서 비롯한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이 설레고 들뜬 사랑 뒤에는 실패와 상처의 어둠도 있습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수난 직전에 제자들과 나눈 마지막 만찬에 이어 나옵니다. 예수님은 제자 가리옷 유다가 당신을 배반하고 “나간 뒤에” 오늘의 말씀을 전하십니다. 제자들은 서로 사랑과 상호 신뢰를 확인하고 다짐하며 스승의 몸과 피를 나누었지만, 그중 한 명은 곧바로 배신의 길을 걷습니다. 뒤이어 다른 제자들도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가거나 부인할 것입니다.
자신의 복락을 바라며 우리가 다짐하는 신앙은 흔들리기 쉽습니다. 자신의 감정에 휩싸여 맹세하는 사랑은 연약합니다. 굳은 신앙으로 성찬례에 함께한 경험도 서로 배신하는 실패를 막지 못하고, 거친 풍파가 넘실대는 삶 속에서 우리가 약속하는 사랑의 감정은 흔들리고 상처 입기 마련입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걷는 실패와 상처를 아십니다. 이 처지를 아신다는 사실이 오히려 우리의 위로입니다. 이러한 이해와 위로 안에서 예수님은 우리에게 ‘서로 사랑’이라는 ‘새’ 계명을 주십니다. 자신을 향하고, 자기만 바라봐 달라는 사랑은 ‘옛 것’입니다. ‘새 것’은 자기사랑이 가져온 실패와 상처를 딛고 일어서서, 타인에 눈을 돌릴 때, 타인과 더불어 ‘서로 사랑’을 마련할 때 일어납니다. 이때라야 새로운 생명과 삶이 하늘과 땅에 펼쳐지는 약속이 이뤄집니다.
이 약속을 견디어 사랑을 이뤄내는 조건을 눈여겨 보십시오. 유다는 배신했습니다. 배신은 거대한 결단이 아닙니다. 손쉬운 해결책을 찾으러 ‘밖’으로 나가버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자신의 연약한 실패를 받아들이며 함께했던 기억 ‘안’에 머물렀습니다. 자신의 부끄러움과 통회를 안고 용서를 구했습니다. 그 모든 기억과 경험을 괴롭도록 벼리고 담금질하였습니다. 결국 그는 하느님의 사랑을 확인하고 새로워졌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삶을 자기 몸으로 재현하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 우리 삶의 실패와 절망 속에서 우리는 미안함과 죄스러움을 지니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새로운 사랑으로 우리는 ‘자나 깨나 여전히 그리워하고 몸부림치며’ 서로에게 머물며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이 위로와 격려의 사랑을 더 넓은 세계에 펼치는 일이 ‘서로 사랑’의 선교 명령입니다. 헤아리시고 품어주시는 하느님의 사랑 안에 타인을 초대하며, 자신을 용서하고, 서로 용서하는 용기를 북돋는 일이 신앙입니다. 이 안에서 우리 삶에 약속하신 “새 하늘과 새 땅”이 펼쳐집니다.
-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6년 4월 24일 부활 5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