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마르 5:21~43)1

예수님께서 펼치신 ‘치유’ 이야기는 모두 ‘구원’ 이야기입니다. 성서 원어에서도 ‘치유’와 ‘구원’은 같은 뜻입니다. 예수님께서 병들고 아픈 이들을 고치신 사건에는 우리 삶의 구원에 관한 가르침과 당부가 담겨 있습니다. 복음을 비롯한 오늘 독서에 담긴 구원의 선포는 분명합니다. “고통과 죽음의 두려움에서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여성이 오늘 사건의 핵심입니다. 이 두 여성을 이해할 때, 오늘 복음의 뜻이 풀립니다. 2천 년 유대 사회에서 여성은 차별의 고통 아래 살았습니다. 한 여인이 12년 동안 하혈병을 앓았습니다. 당시 종교의 정결법은 피를 흘리는 여성은 ‘더러우니 피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사람들은 ‘오염된 여인’의 병을 치료하기보다는, 아픔을 돈벌이로 이용했습니다. 회당장의 딸은 어린 나이에 죽을병에 걸렸고, 결국 죽고 말았습니다.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을 제대로 꽃피우지 못한 상황에 관한 고발입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여성은 나이를 불문하고 착취에 희생당하거나, 주어진 능력과 뜻을 펼치지 못하고 짓눌리기 일쑤입니다.

하혈병 앓던 여인은 몰래 예수님 몸에 손을 대었습니다. 세상은 ‘두려운 남성의 체제’였기에 치유의 힘마저도 숨어서 얻어야 했습니다. 여느 ‘남성’과 달리, 작은 이들에게 세심하고 예민헀던 예수님은 그 여인을 “찾아 나오게” 했습니다. ‘나오라’는 말씀은 그의 존재 전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한다는 뜻입니다. 자신의 고통, 숨기고 싶은 자신의 연약함을 당당히 선언하며 ‘커밍아웃’(coming-out)하여 살라는 초대입니다. 이때 새로운 정체성이 선물로 다가옵니다. 예수님은 두려움에 떠는 여인을 이제 “딸”(디가테르)이라 부르며, 온전한 “평화”(샬롬)의 삶을 분부하십니다.

또 다른 ‘사랑하는 작은 딸’(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향한 애틋한 마음이 예수님의 발걸음을 재촉했습니다. 이미 죽었으니 ‘폐를 끼칠 일 없이’ 그만두셔도 좋다는 조언을 마다하셨습니다. 생명을 살리는 일, 희망을 만드는 일에는 그 어떤 일도 ‘폐’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불편을 무릅쓰고서라도 손을 펼쳐야 합니다. 무너진 자리에서 희망을 세우고 생명을 살리는 일은 두렵고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일어서라”는 말씀에는 죽음과 죽음의 세력을 뚫고 일어나신 예수님의 부활이 미리 드러납니다. 억눌린 ‘작은’ 이들의 생명은 일어서야 하고,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 우리는 어려움에 직면하여 ‘두려움을 지닌 이들과 더불어, 하느님을 신뢰하며 걷는’ 그리스도인입니다.

치유는 아프고 혼란스러워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린 감수성에서 시작합니다. 자신에게만 예민하지 말고, 밖에서 다가드는 요청에 민감해야 합니다. 자신의 약함을 드러내고 한계와 정체성을 인정할 때, 구원이 펼쳐집니다.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을 멈추고 밖으로 나가 이웃과 사귀며 하느님과 신뢰를 마련할 때, 신앙이 힘을 얻습니다. 이 신앙의 힘으로 그리스도인은 세상에서 눌린 생명을 살리고 꽃피우는 하느님의 구원에 참여합니다. “나오라, 일어나라, 가서 살려라.”

Healing_Woman.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6월 28일 연중13주일 주보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