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력 연재] 주의 봉헌 축일 – 역사가 빛으로 만날 때
주의 봉헌 축일 – 역사가 빛으로 만날 때 ((성공회신문 2017년 2월 11일치 5면))
주낙현 요셉 신부 (서울주교좌성당 – 전례학 ・ 성공회 신학)
주님의 성탄에 담긴 ‘빛의 오심’과 공현에 깃든 ‘빛의 널리 퍼짐’의 뜻은 주의 봉헌 축일에 절정을 맞는다. 1년 동안 교회 전례와 가정 기도에 쓸 양초를 축복하고, 새 촛불로 제대를 밝히고 순행하면서, 이 세상과 역사 안에서 우리 신앙인이 빛의 순례자로 살아가겠다고 다짐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희미해진 이 축일은 역사 안에서 복잡하게 발전했다. 대체로 공현 축일(1월 6일) 40일 후인 2월 14일에 지키던 관습이, 성탄 후 40일인 2월 2일로 바뀌어 자리 잡았다. 지금은 성탄 장식을 공현일 전야에 치우는 관습에 익숙하지만, 장식을 이날까지 남겨두며 성탄의 기쁨을 연장하는 전통도 많았다. 오랫동안 전례 색깔은 장엄과 절제의 흑색이나 자색이었지만, 몇 세기 전부터 기쁨과 환희의 백색으로 바뀌었다.
신학의 강조점도 결을 달리하며 겹쳤다. 아기의 봉헌이 초점인가 하면, 성모 정결례라는 별명처럼 산후 축복과 감사 예식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 촛불 예식 자체로 빛이신 그리스도를 기리는가 하면, 나이든 세대의 간절함이 젊은 세대의 희망으로 이어지는 만남이기도 했다. 한편, 이 봉헌의 기쁨 안에 서린 슬픔과 아픔이 아련하게 남는다. 하느님의 은총 안에 있는 신앙인도 삶 속에서 우리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사의 아픔을 통과하면서 거짓 안에 “숨은 생각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 아픈 사명을 새기며 신앙인은 사순절의 순례를 준비한다.
이러한 전례와 신앙의 역사가 신앙인의 봉헌 생활을 새롭게 비춘다. 요셉과 마리아는 빈궁한 살림에서도 작은 정성을 마련하여 바친다. 삶과 생명을 주신 하느님의 은총에 응답하는 마땅한 행동이다. 마침내 그들은 아기 예수를 봉헌한다. 봉헌된 아기 위에 우리 자신의 삶이 포개진다. 그리스도교의 봉헌은 제물을 드리는 제사 행위가 아니라, 우리 삶을 바치는 헌신의 행동이다. 신앙은 역사 안에서 생명을 살리고 진리를 밝히는 일에 헌신하는 일이다.
이 봉헌의 현장은 새로운 만남의 공간이다. 인생의 황혼이 되도록 세상의 구원을 겸손하게 기다리던 시므온, 온갖 차별을 이기며 여성 예언자로 홀로 활동하며 늙은 안나를 만난다. 이들 신앙의 어른은 겸손한 기도로 새로운 세대를 격려하고 지지한다. 자기 시대에 갇히지 않고 미래를 향해 열려있는 신앙이 황혼의 원숙한 신앙이라고 몸소 증언한다.
시므온의 찬가는 주님 봉헌 사건의 절정이다. 젊고 새로운 이들을 환대하고 격려하여 신앙을 물려주는 일이 구원과 연결된다. 선택된 소수만을 위한 옛 종교가 아니라, 만민에게 베푸시는 구원의 신앙이 새롭게 펼쳐진다. 이방인들과 낯선 사람들도 누리고 기뻐하는 구원이 열린다. 이것이 신앙의 대를 잇는 방법이며 선교이다. 이처럼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걷는 사람들과 갓 태어난 이들이 신앙 안에서 만날 때 새로운 역사가 열린다.
그리스도는 빛이다. 역사 안에서 그 빛을 들고 따르는 사람이 그리스도인이다. 남녀노소 저마다 작은 빛들이 모여서 한 무리 큰 빛이 된다. 이렇게 그리스도의 몸을 이룬다.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는 역사 안에서 어두운 세상을 밝히고 변화를 가져다주는 빛의 순례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