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장하는 일 – 요셉 성인 생각
한 달 전에 결정했던 일을 정리하는 막바지다. 작년 여름부터 힘썼던 “경계를 걷는 그리스도인”이라는 신앙 공동체 설립에서 나 자신이 퇴장하기로 했다. 고된 식별과 기도를 통한 결정이었다. 사람 일에 아쉬움이 없다고 말한다면, 그건 분명 거짓말이다. 여전히 이미 난 결정을 멈칫하며 돌아보게 하는 일이 많다. 그것을 지긋이 덮고 묵묵히 가야 한다.
이 공동체와 더불어 우리말로 드리는 마지막 미사에서 나눈 이야기를 옮긴다. 너무 적게 와서 처음에는 스스로 민망했다. 내 그릇이라 생각하니 이내 편해졌다. 오히려 요셉 성인의 이야기에 더 적절한 상황이었다고 생각했다. 성인은 몇 사람과 관계하고 홀연히 사라졌다.
강론을 겸한 작별 인사의 변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말처럼 낯선 이를 품어주고 친구가 되어 준 분들께 고마울 뿐이다. 그 기억은 오래갈 것이다.
~~~
대림절 넷째 주일 – 복음: 마태 1:18~25
사적으로는 다시 기회가 있겠지만, 이 시간이 이 아름다운 성당에서 여러분과 우리말로 드리는 마지막 미사입니다. ‘마지막’이라는 말에는 일말의 비애감이 서려 있기 일쑤입니다. 인생에서 ‘마지막’이라는 말이 갖는 의미는 여럿입니다. 아주 사소한 일을 끝맺는 일부터, 삶의 마지막, 곧 죽음까지 그 범위도 넓습니다.
지난 4월에 오클랜드 공동체에서 마지막 미사를 드렸고, 10년을 함께했던 중국인 교회와도 마지막 인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이제 여러분과 드리는 이 ‘마지막’ 미사의 의미는 무엇일까 생각합니다.
저 자신의 ‘교회 이름’인 요셉이 등장하는 오늘 복음 이야기를 듣고 여러 감회에 잠겼습니다. 이 이야기가 바로 제가 성공회에 들어와서 교회 이름, 즉 신명을 선택할 때 깊이 생각했던 장면이었기 때문입니다. 요셉이라는 성인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제 삶의 의미와 방향을 생각하게 했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성서에 따르면 요셉은 다윗의 후손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역사적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족보를 논하는 사람은 대체로 부족한 정당성을 억지로 확보하려고 안쓰럽게 몸부림치기기도 합니다. 마태오 기자도 예수를 구원사의 연속선 상에 놓으려고 다윗의 족보에 요셉을 슬그머니 넣었습니다.
요셉은 마리아라는 여인과 약혼을 했습니다. 중매였겠지요. 마리아는 아마도 14살에서 16살 정도인 아가씨였을 것입니다. 당시에는 그 나이가 혼인 적령기였습니다.
마리아가 처녀인 채로 임신했다는 표현이 성서에 나옵니다. 물론 역사적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과학적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호사가들은 이를 두고 “예수는 사생아”라고 단정합니다. 과학적으로 말이 안 된다는 말과 마찬가지로 별 의미 없는 선언입니다. 우리는 그저 모를 뿐입니다.
요셉은 ‘법대로 사는 사람’이었기에, 혼전 임신, 특히 혼외 임신일 가능성이 높은 마리아의 임신 사실을 알고, 조용히 파혼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꿈에 천사가 나타나서 그러지 말라고 말립니다. 고민스럽습니다. 자기 자식도 아닌 아기를 자기 자식처럼 키워야 합니다. 평생, 아내인 마리아를 의심하면서 살아야 할는지도 모릅니다. 형벌과 같습니다. 게다가 이는 율법을 어기는 일입니다. 그런데 법대로 파혼하면 마리아는 돌에 맞아 죽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셉은 이 난처한 상황이 두려웠습니다. 그때 천사가 찾아왔습니다. “두려워하지 마라. 마리아를 그대로 받아들여라. 그 아기는 성령으로 잉태한 것이다. 받아들여라. 두려워하지 아라.”
요셉은 모험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여전히 두려웠지요. 그러나 “있는 그대로” “그 사람 그대로”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이 말은 자신 안에 작으나마 어떤 환대의 공간을 마련했다는 뜻입니다. 의심과 불확실성을 참고 견디기로 했다는 말입니다. 어떻게 내쳐질지 모르는 마리아와 그 태중의 아기를 자신의 틈에, 의심과 불확실성의 공간을 마련하여 품었다는 말입니다.
이것이 신앙입니다. 신앙은 확실성에 대한 믿음이 아닙니다. 의심과 회의와 불확실성에 자기 자신을 내맡기는 것이 신앙입니다.
이것이 신앙입니다. 내쳐질지 모르는 한 여인을 향한 깊은 연민에 자신의 시선을 돌리는 결단과 행동입니다. 연약한 누군가를 자기 안에 받아들여 돕고 먹이는 일입니다. 여러분과 거듭 나누었거니와, 신앙은 연민의 시선을 자신에게서 돌려 밖을 향하는 일입니다.
이때라야 비로소 임마누엘 사건이 드러납니다. 임마누엘은 “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는 뜻입니다. 우리 안에 하느님의 처소를 마련하지 못하면, 우리는 하느님을 믿을 수도 없고, 하느님을 뵐 수도 없고, 하느님과 거닐 수도 없습니다. 하느님께 부탁하거나 기도할 수도 없습니다. 그 연약한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받아들이는 일에서 임마누엘 사건이 시작됩니다.
안타깝게도 요셉에 관한 이야기는 이즈음에 그칩니다. 물론 루가 복음서에는 예수가 소년으로 자라났을 때, 예루살렘 성전에 부모와 함께 올라갔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러나 요셉이 이름을 걸고 등장하지는 않습니다.
요셉은 성서의 무대에서 조용히 사라진 인물이었습니다. 예수의 탄생, 임마누엘 사건, 하느님이 인간이 되셔서 우리와 함께하는 놀라운 사건이 일어나는 순간에, 그 사건을 받아들이고, 마리아와 갓난아기를 품었습니다. 권력을 지키기에 급급했던 폭압적이고 잔인한 헤로데 왕이 명령한 아기 학살을 피해서, 다시 한 번 연약한 마리아와 갓난아기를 데리고 이집트로 피난한 일을 끝으로, 요셉은 성서의 무대에서 퇴장합니다.
어리고 젊었던 저에게 이 퇴장은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요셉이라는 인물에, 시쳇말로, 꽂혔습니다.
이 퇴장이 용기있는 신앙입니다. 제때에 퇴장하지 않아서 생기는 나쁜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친일의 망령이 아직 퇴장하지 않고, 한국전쟁의 모진 경험과 미운 오해가 아직 퇴장하지 않고, 독재시대의 폭압적 권력 행태가 퇴장하지 않고 웅크리고 있다가 부끄러운 줄 모르고 활개를 칩니다. “왕년에 내가 중요한 일을 했노라”고 우기며, 자신의 입지를 지키고, 자신이 잡은 권력을 휘두르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또 우리 사회가 그런 망령을 되살리는 몰골을 보노라니 더욱 요셉 성인이 생각납니다.
교회 전통에서는 이렇게 사라진 요셉을 전체 교회의 수호자 성인이라고 모셨습니다. 교회는 연약한 마리아와 갓난아기 같은 이들을 품고 보호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요셉은 노동자의 성인입니다. 그 자신이 막일하며 살던 가난한 노동자였습니다. 그러나 미래가 그리 환하지 않은 평범한 이들의 노동으로 세상의 생명이 유지됩니다. 교회 전통은 그 진리를 알았고, 노동자들의 권리를 지키고 노동에 깃든 생명의 가치를 표상하는 수호자로 요셉 성인을 되새겼습니다.
우리는 언젠가 퇴장해야 합니다. 제 일이 끝났으면 요셉처럼 말없이 퇴장해야 합니다. 또 할 일이 남아있으리라 우기거나 억지로 움켜잡지 말아야 합니다. 이 또한 신앙의 용기입니다.
퇴장하여 생긴 빈 공간에서 다시 새로운 역사가 피어납니다. 그리고 그 공간을 새로운 이야기와 새로운 체험과 새로운 사람들로 채우며 기뻐하는 일을 남은 이들이 이끌어야 합니다. 요셉은 잊혀야 합니다. 요셉은 그 일을 다 했으니, 퇴장해야 합니다.
저는 이런 요셉이 좋았습니다. 이런 요셉의 용기와 영성을 본받고 살고 싶었습니다. 역사의 한순간에 짧게 등장했다가 홀연히 사라진 그의 매력에 끌렸습니다. 잠깐 등장해서 어느 때에 슬쩍슬쩍 오래 기억된 그가 매우 좋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 복음 이야기를 들으면서 다시 그의 신앙을 되새겼습니다.
여러분에게 고마운 인사를 드립니다. 부족한 사람을 품어주시고 친구가 되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불확실하고 모호한 성공회라는 교단과 성공회 신부라는 사람을 받아주시고 어울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미 여러분은 요셉의 영성을 몸소 실천하는 분들입니다. 그 요셉의 영성으로 만든 공간을 더욱 넓혀 주십시오. 그래서 하느님이 지금 여기에, 우리 안에 함께할 수 있는 임마누엘의 공간을 더욱 깊게 해 주십시오. 저도 다시 완고하고 딱딱한 곳으로 돌아가 갈라지고 부서진 이들과 더불어 틈을 넓히고, 그 사이로 빛의 공간을 품는 요셉의 영성을 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February 18th, 2014 at 4:52 pm
“이것이 신앙입니다. 신앙은 확실성에 대한 믿음이 아닙니다. 의심과 회의와 불확실성에 자기 자신을 내맡기는 것이 신앙입니다.” 감사합니다. 신부님..^^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