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Christ_Rievaulx.jpg

부서진 몸 – 왕이신 그리스도 (루가 23:33-40)

잉글랜드 북부 노스워크셔 지역에는 폐허가 된 리보 수도원 성당(Rievaulx Abbey)이 있습니다. 1538년, 당시 왕이었던 헨리 8세가 수도원을 철폐하면서 방치되고 결국 폐허가 되었습니다. 폐허에서 나온 ‘전능한 지배자 그리스도’ 상(그림)은 오늘 읽은 복음서의 예수님 십자가 처형 장면과 묘하게 겹쳐, 보는 이의 마음을 애잔하게 합니다.

교회력의 막바지를 ‘그리스도 왕’ 주일로 지킵니다. 그리스도의 삶과 가치가 이 세상과 우리 삶을 이끌고 다스리는 원칙이어야 한다는 희망입니다. 그러나 ‘왕의 통치’라는 말에서 떠올리는 승리감과는 달리, 우리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무기력하게 처형당하는 장면을 읽습니다. 무참하게 짓밟힌 이들이 서로 위로하려고 내놓는 무력한 ‘낙원’의 기대만 엿보일 뿐입니다.

시대가 흘러, 그리스도는 중세 시대에 권력과 부를 자랑하던 ‘지배자’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지배하려는 힘은 경쟁하여 서로 공격하고 파괴합니다. 이 싸움에서 한때 지배자였던 상징은 다시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이 파괴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남아 있습니다.

성서와 역사는 그리스도가 무참한 실패와 상처 안에 있다고 되새겨줍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고통과 고뇌가 없는 세상을 약속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아무리 깊은 신앙인이라 하더라도 우리 생명이 맞이할 병고와 죽음을 피하지 못합니다. 삶에서 겪는 아픔과 슬픔, 불행을 완전히 피해갈 수 없습니다.

신앙은 모든 것이 무너지는 상태와 부서지는 상황에서도 상처 입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와 동행하신다는 확신입니다. 신앙은 그 확신을 나누는 여럿이 서로 기대어, 세상 여러 곳에서 스러진 이들의 손을 맞잡고 일어서는 행동입니다. 하느님의 다스림은 이렇게 세상에 펼쳐집니다.

우리의 희망은 죽음과 패배의 십자가에서 피어오릅니다. 이것이 십자가와 부활에 담긴 역설의 신비입니다. 교회는 이 신비를 붙잡고 살아가는 이들의 공동체입니다. 우리 역사와 사회에서 경험하듯이, 세상을 권력과 돈으로 지배하고, 협잡과 인맥으로 속이는 이들은 마침내 종말을 맞이합니다. 그러니 종말은 무차별한 파국이 아니라, 휘두르는 지배 권력의 끝이고, 연약한 이들이 함께 이루는 낙원의 시작입니다.

신앙인은 세상의 욕심과 질시가 망가뜨린 그리스도의 머리를 우리 삶의 가치로 되찾아내는 사람입니다. 고난과 상처, 희생과 위로로 함께하시는 그리스도를 자기 삶과 사회의 그늘에서 발견하는 사람입니다. 그 안에 깃든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가치를 지탱하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이때 자신뿐만 아니라, 교회와 사회, 나라와 세계가 바로 섭니다. 여기서 십자가 위에서 무참하게 부서진 그리스도의 몸이 온전하게 우리 삶을 다스립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