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A Pair of Trees, Dearborn, Michigan, USA. 1995  

하느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여라 (마태 5:38-48)

종교와 신앙은 이 세상에서 필요한 것을 구하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이루려는 마음에서 생겨났습니다. 연약한 자신보다 더 큰 능력자를 신으로 만들어 그 도움을 빌자는 마음이 생겨납니다. 불행을 피하고 복을 구하는 마음이야 인지상정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연약함을 틈타 종교를 악용하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을 종교의 숭배 대상으로 삼고 사람들을 얽어매기 시작했습니다. 하느님께서 이때 등장하셨습니다. 인간이 만든 종교의 신과 결탁하여 사람을 짓누르는 정치권력에 대항하시는 하느님입니다. 이집트에서 노예의 탈출을 이끄신 하느님이십니다.

이 해방과 자유의 경험 속에서 하느님은 인간을 평등하게 창조하셨다는 기억의 신앙을 마련하셨습니다. 가장 높으신 하느님이 보시기에 인간의 우열다툼은 우습기만 합니다. 그분의 햇빛과 비를 혼자서 독점할 수 없습니다. 인간은 창조의 하느님 앞에서 모두 같습니다. 다만, 인간은 하느님보다 낮은 미물이 아니라, 하느님의 사랑으로 태어난 보물입니다. 이 하느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사람들 저마다 그 사랑을 품고 있다는 확신이 그리스도교 신앙입니다. 이 관계를 기억하며 서로 존중하고 예의를 지키려는 약속이 율법입니다. 그런데 다시 존중과 예의의 율법이 남을 억누르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면요? 개혁과 회복이 필요합니다.

예수님은 율법의 뜻을 회복하십니다. 자기 자신의 주장과 성취를 향하면 율법의 길은 부패합니다. 율법은 하느님과 이웃이라는 ‘남’을 향할 때, 그 의미가 되살아납니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명령은 너무 유명하지만, 문자 그대로 따르기 어렵습니다. 다시 생각하면, 우리 잣대로 ‘원수’를 지정하지는 않았나요? 타인의 잣대, 하느님의 잣대를 적용한다면 그가 꼭 원수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사랑이 더 가까워집니다. 오늘 복음의 다른 명령들도 모두 ‘타자’와 ‘낯선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묻습니다.

하느님의 거룩함은 새롭고 낯선 생명을 창조하시고 기뻐하신 데 있습니다. 인간의 거룩함은 창조의 하느님께 감사하고 낯선 이들 안에 있는 하느님의 흔적을 기뻐하며 함께 축하하는 데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거룩하시니, 우리도 거룩합니다. 이 일을 잊을 때, 하느님께서 다시 새로운 창조와 변화의 사건을 일으키십니다. 낯선 타인들을 위해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 자신을 바치실 때 역사가 바뀝니다. 자신의 몸과 피를 내놓아 우리에게 음식으로 나누어주실 때 거룩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거룩하고 완전한 부활의 새로운 생명이 피어납니다.

새 창조와 부활의 축제인 성찬례는 하느님의 창조와 사랑을 기억하는 행동입니다. 함께 모인 모든 사람이 하느님 안에서 형제자매로 태어난 것을 확인하고, 서로 최대의 예를 갖추어 존중하고 그들의 자유와 희망을 서로 격려하는 자리입니다. 우리 자신이 멋대로 세운 정의의 기준이 아니라, 주님의 은총으로 우리 자신의 빛과 어둠을 함께 비추는 곳입니다. 빛과 어둠이 불안하게 교차하는 우리 삶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살려고 발버둥 치다가 서로 깨져버린 관계를 조심스럽게 하나로 붙이는 일치의 자리입니다. 서로 같은 점을 찾아 동행을 시작하는 곳입니다. 하느님이 거룩하시니 우리가 서로 거룩하다는 확신을 체험하는 자리입니다. 이 거룩함이 하느님의 꿈, 우리의 신앙입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