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

HOTanner.png

용서 –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 (마태 18:21-35)

그리스도교를 ‘사랑과 용서의 종교’라 하면 신앙인은 자못 뿌듯합니다. 그러나 믿는다는 사람들이 험악하게 내뱉는 ‘응징과 심판’이라는 단어가 앞말을 삼켜버리기도 합니다. 두 별칭 앞에 ‘하느님’을 붙이곤 해서 혼란은 더 깊어집니다. 이때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라”는 말씀과 무자비한 종의 비유는 혼란스러운 신앙을 바로 세우며, 자비로운 하느님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신앙은 억울한 마음과 앙갚음의 악순환을 끊고,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에 자신을 옮겨 사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인간 삶에 흐르는 보복의 악순환을 끊으십니다. 유명한 “일곱 번씩 일흔 번 용서” 명령은 근거와 의도가 분명합니다. 성서에 나오는 최초의 살인자 카인의 후예 라멕이 자신을 해치면 “일흔일곱 갑절로 보복하리라”는 협박을 염두에 두신 말씀입니다(창세 4:24). 자기 중심주의에서 나온 질투와 악행, 두려움과 보복의 악순환은 사회 안의 갈등뿐만 아니라, 무책임한 대결과 전쟁놀음으로 우리를 몰아갑니다. 어디에서든 이를 멈추도록 끊어서 궤도를 돌리는 일이 인간 구원의 시작입니다.

예수님은 새로운 용서와 구원의 선순환입니다. 베드로가 말하는 ‘일곱 번 용서’는 인간이 행동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거기에 ‘일흔 번’을 곱하여 인간의 셈법을 훌쩍 넘습니다. 하느님의 셈법이라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셈법은 아무리 너그러워도 제한과 조건에 걸려 사람의 인내심을 시험하며 흔듭니다. 불행하게도 그 셈법은 그에 따른 판단을 불러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셈법은 자비의 셈법입니다. 신앙인의 구원은 응징과 심판이 아니라, 모두 함께 누리며 축하할 하느님의 자비입니다. 그 길이 억울하고 힘들다고 느낀다면, 오히려 우리가 이미 구원의 선순환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용서는 종교 감정의 영역과 개별적인 인간관계에 머물지 않습니다. 비유 이야기는 경제 문제를 다룹니다. 일만 달란트의 탕감과 백 데나리온의 빚 독촉의 비교는 천문학적 부를 누리는 이들이 하루 생활비에 아둥바둥하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현실의 고발입니다. 일만 달란트 탕감을 받은 자는 하느님께서 시작하신 자비의 선순환을 막아서고 있습니다. 더 많이 지닌 이들은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하고, 더 많은 은총을 경험한 이들은 더 깊은 신앙의 모본을 보여야 합니다. 신앙의 은총과 사회 안의 책임을 분리하려는 태도는 예수님의 길에서 벗어난 행동입니다.

신앙인은 오늘 읽은 구약의 요셉 이야기처럼, 눈물의 참회와 고통스러운 용서로 악행과 보복의 악순환을 끊으며 살아갑니다. 형들이 흘린 참회의 눈물은 우리가 받은 세례의 물입니다. 오늘 성당 입구에서 십자성호를 몸에 그으며 적신 물입니다. 우리는 이 눈물로 묵은 감정과 세상의 셈법이 만든 악순환을 끝내기로 다짐합니다. 용서는 고통스럽지만, 그 고통의 눈물이 참회의 눈물과 만날 때 새롭고 거룩한 일이 펼쳐집니다. 그 눈물은 생명의 물로 변화하여 우리를 씻기고 먹이며 우리를 하느님 자비의 삶에 참여하도록 이끕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