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례의 인간 Homo Eucharisticus

일전에 나눔의 집에서 일하시는 박순진 신부님께서 요즘 한국 사회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탄해 하며, 도대체 “우리의 전례(liturgy)가 이런 세상에서 무엇이야 하는지”를 물어오셨다. 당신의 사목 활동이 이미 그 뜻을 몸소 살고 있는 참이니, 똑바로 공부하여 나누라는 일갈로 여겼다.

하릴없이 나는 원칙만 되새기며 함께 가자고 할 뿐, 그리고 오히려 신부님의 나눔의 집 선교 활동을 통해서 몸으로 배워야 하겠노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이 상황에서 전례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매우 아프게 다가옵니다… 우선은 이런 편만한 욕심과 욕망의 분출 현상은 최소한 성찬례라는 전례가 갖는 비전과는 전혀 반대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이 비전을 우리 전례 안에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성공회의 위대한 전례학자인 돔 그레고리 딕스(Dom Gregory Dix)는 언젠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전례를 통해서 “경제적인 인간”(Homo Economicus) 혹은 “소비적인 인간”(Homo Consumericus)이기를 포기하고, “성찬례의 인간” 혹은 “나눔의 인간”(Homo Eucharisticus)으로 변화된다. 이게 성변화(transubstantiation)의 진정한 의미겠지요.

스리랑카의 예수회 신부인 티사 발라수리야(Tissa Balasuriya) 역시 성찬례가 갖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 G. Lohfink)의 전망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연결하여 천명한 바 있다. 성공회의 성사적 사회주의 전통과도 맥을 같이한다.

현존하는 세상의 질서 혹은 무질서는 성찬례의 가치와 분명히 대조적이다. 성찬례가 사랑과 나눔의 성사라면, 세상은 탐욕적인 착취의 체제이다. 성찬례가 공동체를 건설한다면, 세상의 관계는 인격과 인간을 파괴한다. 성찬례가 보편 지향적이라면, 세상은 인종차별적이다. 성찬례의 힘은 평등 사회를 향하지만, 세상의 권력은 헤게모니를 잡고자 한다. 성찬례가 겸허한 섬김을 추동한다면, 세상의 국제 관계 속에서는 오만한 지배가 판을 친다. 성찬례의 빵이 모든 이들을 위한 공동의 식사라면, 세상의 빵은 거래를 위한 상품이다. 성찬례의 이상 안에서 땅은 공동 이용을 위한 것이지만, 현재의 국가 체제 안에서 땅은 성공한 정복자를 위한 것이다. 성찬례는 인격을 우선시하지만, 국제 관계 안에서는 권력과 이익이 지배한다.

Tissa Balasuriya, The Eucharist and Human Liberation. Orbis Books, 1979.

다시 ‘이런 세상에서 전례는 무엇이야 하는가?’ 전례가 다만 세계관이나 전망에 그치지 않으려면, 그것은 대조 사회를 위한 몸의 수련이고, 그런 삶의 방식에 대한 훈련이며, 전례적 질서(ordo)를 통해 새로운 질서(order)를 미리 맛보며, 그 대조 사회의 시-공간을 넓혀 나가는 것이어야겠다. 그런데 이를 막아서는 일들이 교회와 전례 안에서 마저 팽배하다면, 교회와 전례는 또 다른 세상 권력의 표현일 뿐이다.

나쁜 전례는 나쁜 신학을 만들고 / 나쁜 신학은 나쁜 전례를 만들고,
나쁜 전례와 신학은 교회와 세상을 망친다.

전례 쇄신은 이래서도 중요하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