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유혹과 성찰 – 아담과 예수 사이 (마태 4:1-11)
유혹은 서툰 생각의 틈새를 비틀어 벌려 놓으면서 시작합니다. 이 말이나 저 말이나 비슷하다고 쉽게 넘어가려는 게으름을 파고듭니다. 다만, 오늘 창세기 본문(2:15-17, 3-17)을 유혹에 넘어간 ‘여성 하와’로 읽지는 맙시다. 그렇게 읽으면 성차별적인 해석으로 흐를 위험이 있다고 성서학계는 경고합니다. 하와는 아담과 ‘같은 뼈, 같은 살’을 나눈 동체이며, 유혹으로 미끄러지는 인간의 한 모습을 드러내는 이야기의 한 고리일 뿐입니다. 오늘 성서 독서의 배열은 창세기에서 유혹에 넘어간 인간(하와와 아담)과 복음에서 유혹을 물리친 예수님을 비교합니다. 또한,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비교합니다.
유혹은 그럴듯하게 명백하고 매끄럽게 흐릅니다. 하느님께서는 “생명 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9절)를 세우셨습니다(이 두 나무가 같은 나무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입니다). ‘따먹지 말라’는 금지 명령은 하느님이 만드신 생명을 무엇이라도 쉽사리 빼앗거나 억압하지 말라는 뜻이며, 선과 악을 손쉽게 판단하려 들지 말라는 경고입니다. 이때, 뱀이 나타나 원래 의도를 비틀고 내용을 과장하여 사람의 분노를 부추깁니다. 자신이 믿고 싶은 것을 ‘사실’로 단정하게 만듭니다. 그런 뒤 ‘눈이 밝아지리라’는 거짓 약속을 합니다. 이러한 유혹이 인간 마음으로 파고들 때, 하느님과 경쟁하려는 의식이 생겨납니다. 이 경쟁의식은 ‘권력’에 대한 환상으로 이어집니다. 이 환상 안에서 하느님과 인간은 동료가 아닙니다. 함께 동산을 거닐던 하느님과도 멀어지고, 사람도 서로 멀리하여 숨기기 시작합니다. 인간은 자신을 괴롭히는 내면의 어둠을 만들어 스스로 빨려들어갑니다.
반면, 복음은 창세기의 이야기를 뒤집습니다. 예수님의 세례 사건 뒤로 광야의 유혹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세례는 하느님과 경쟁하고 다른 사람의 부끄러움을 쉽게 판단하면서 뒤틀린 관계를 새롭게 회복하는 사건입니다. 세례 때 들려오는 하늘의 목소리는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사랑과 친밀함을 다시 선포합니다. 유혹에 넘어가 자기 의심을 증폭하는 아담과는 달리, 예수님은 성령에 자신을 내어주고 악마의 유혹에 용기 있게 맞섭니다. 생명을 살리는 선한 ‘빵’마저 유혹에 악용되는 세상의 질서를 간파하십니다. 하느님에게서 받은 능력을 자기 과시의 ‘마술 행위’ 정도로 끌어내리는 행동을 거부하십니다. 하느님 나라의 꿈과 윤리를 이 세상의 도덕 수준으로 낮추려는 태도를 훌쩍 넘으십니다.
인간 내면의 약한 어둠 때문에, 정의와 공평의 주장마저도 유혹의 미끄럼틀을 타기 쉽습니다. 진실을 감추려는 뻔뻔한 억지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성급하고 성난 주장은 모두 세상을 장악하려는 경쟁의식로 빨려들어 ‘모든 사람의 심판’과 파멸로 이끕니다. 그러나 하느님 나라를 함께 지키고 세우려는 헌신은 길고 지루하며 조심스러운 용기입니다. 이를 통과할 때 우리는 ‘풍성한 은총의 생명’으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에 다가섭니다.
성실한 자기 성찰과 면밀한 배움의 대화가 없이는 세상의 질서와 하느님 나라의 질서를 구분하는 식별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자신을 성령에 맡겨 거친 ‘광야’에서 힘들게 훈련하는 과정이 자기성찰과 신앙의 길입니다. 사순절은 그 훈련의 초대입니다.
October 28th, 2017 at 7:57 pm
아직도 저는 아담입니다. 그래도 그나마 다행인것은 감히 선악과는 따먹을 꿈도 안꾼다는거지요 ^^;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