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

Sunday, December 6th, 2015

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 (루가 3:1~6)1

예수님은 역사의 현장에 오십니다. 오늘 복음이 낯선 이름과 지명을 굳이 상세하게 기록하여 들려주는 이유입니다. 티베리오와 빌라도, 헤로데와 필립보, 리사니아라는 정치 권력자들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안나스와 가야파 같은 종교 권력자들의 이름도 빠지지 않습니다. 이들은 특정한 지역과 사회를 지배하던 이들이었습니다. 갈릴래아는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고, 예루살렘은 유대교 성전의 핵심부였습니다. 이 현장에서 정치와 종교의 권력자들은 자기 이익에 따라 서로 얽혀 야합하거나 견제합니다. 이 현장에서 권력자들이 의기투합하면 힘없는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수고와 땀을 고스란히 빼앗기는 처지가 되고 맙니다. 차별과 격차가 깊어지고, 억압과 희생이 꼬리를 뭅니다. 이 현장에 예수님께서 오십니다.

역사의 현장에 먼저 나타난 사람이 있습니다. 중심의 권좌에 틀어 앉은 힘센 사람들 앞에 우뚝 선 세례자 요한입니다. 권력자들은 요르단 강 변방에 기이한 모습으로 나타나 회개를 외치고 세례를 베푸는 요한을 우습게 봅니다. 그러나 세례자 요한은 그 하찮고 연약해 보이는 일에 자신의 혼신을 담아 두려움 없이 외칩니다. ‘회개하라 – 지금 살아가는 방식을 멈추고 방향을 돌려라. 세례를 받아라 – 과거를 벗어버리고 새로운 삶을 선택하라. 용서를 받아라 – 자신을 옥죄는 과거와 일에서 몸과 마음을 놓아 자유를 얻어라.’ 권력이든 재산이든, 지위든 명예든, 가진 것이 많으면 자유롭기 어렵습니다. 사회에 널리 퍼진 차별과 격차를 묵인하기 쉽습니다. 자신의 행동을 변명하는 일이 더 많습니다. 이를 그치고, 돌이켜, 놓아버릴 때, 우리 삶에 새로운 길이 열립니다.

변화를 향한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이 신앙입니다. 이 행동의 신앙이 새로운 길을 마련합니다. 대림의 준비는 소극적으로 ‘기다리는’ 일이나 ‘앉아서 받는 일’과 거리가 멉니다. 세례자 요한 성인이 밖으로 나가 외치듯이, 예수님께서 역사를 뚫고 우리 삶에 들어오시듯이, 신앙인의 준비는 ‘우뚝 일어서, 나아가 길을 닦는’ 적극적인 응답입니다. 세례자 요한은 자신의 삶을 닦아 예수님의 길을 내고, 더 많은 사람을 구원의 길을 닦는 일꾼으로 초대합니다. 우리 삶 자체가 예수님께서 걷는 길이 되라는 호소입니다. 신앙인은 우리 삶과 사회 곳곳에 놓인 골짜기 같은 차별과 격차, 험하게 뒤틀린 억압과 상처의 방식을 “참된 지식과 분별력”(필립 1:9)으로 살핍니다. 신앙의 식별력으로 사람살이, 살림살이를 힘들게 하는 일에 맞섭니다.

다시, 대림은 우리 삶과 역사의 현장에 오시는 예수님을 모시는 시간입니다. 우리 삶이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에게 펼치시는 구원의 길이 되도록 우리 자신을 수련하는 때입니다. 자신이 일군 성공과 성취의 성곽이든, 자신이 숨어든 실패와 절망의 울타리든, 모두 자기 안에 웅크려 갇힌 감옥이 되기 십상입니다. 자신의 감옥은 안전하고 편안한 곳이 되기는커녕 불안과 우울이 자라나는 음지입니다. 신앙인의 눈은 자신에게서 돌이켜 세상과 이웃을 바라봅니다. 자신을 열어 빛으로 오시는 주님을 모시고, 자신과 사회의 골짜기에 그리스도의 빛을 반사하는 거울입니다. 권력의 어두운 진실을 드러내며, 그늘 아래 힘없는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일이 구원의 길을 닦는 신앙입니다.

John_Baptsist_Preaching.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2월 6일 대림 2주일 주보 []

종말 – 자기 중심성을 끝내는 신앙

Sunday, November 15th, 2015

종말 – 자기 중심성을 끝내는 신앙 (마르 13:1~8)1

“저것 봐요. 얼마나 거룩하고 아름다운가요?” 오랜 세월 주교좌 성당을 가로막았던 추레한 건물이 무너지고 단아한 아름다움과 품격을 지닌 성당이 세상에 환히 드러나자 사람들은 감탄했습니다. 우리 성당에 찾아온 방문객이 지난 달에만 이천오백 명을 넘었습니다. 즐거워하는 우리에게 어디선가 “저 성당이 제자리에 그대로 얹혀 있지 못하고 다 무너지고 말 것”이라는 말이 들려온다면, 우리의 느낌과 반응은 어떨까요?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를 바라보며 안타깝게 하신 말씀을 어찌 감히 우리 성당에 빗대느냐고 매우 성낼 모습이 선연합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었던 당시 유대인들도 그러했습니다. 그러나 예루살렘의 성전은 유대와 로마의 전쟁으로 서기 70년에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사람이 감탄하고 소원하는 일들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사람 처지에 따라, 시대 상황에 따라 운명이 뒤바뀌고 불안은 반복됩니다. 사람 마음과 세상 현실은 다르게 돌아갑니다. 사람은 마음의 안녕과 세상의 태평성대를 원하지만, 세상은 즐거움과 기쁨, 고통과 슬픔이 마구 뒤섞여 있습니다. 사람이 품은 소원은 거의 비슷한데도, 세상이 그렇지 않은 이유는 분명합니다. 사람이 품은 소원과 기대가 서로 다르고, 그 기대가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펼쳐지길 바라면, 저마다 품은 소원은 서로 충돌하여 갈등합니다. 아름다운 세상을 세우기도 어렵고, 어렵고 만들고 유지한 웅장하고 멋진 사회도 금세 무너지는 위기가 닥칩니다.

성서가 전하는 종말에 관한 이야기는 자신만의 편리와 복락을 위해 세운 삶은 매우 위태롭다는 경고입니다. 지금 이뤄놓은 일이 아무리 굳건하고 아름답다 하더라도, 그 뒤편에서 애쓰는 수고와 땀을 되새겨 기억하고 서로 감사하지 않으면 사회와 세상의 기초는 흔들립니다. 웅장한 성취를 떠받치고 있는 사람들이 연약해지고 힘들어지는 상황을 나 몰라라 하면서 건강하게 지탱 가능한 사회는 없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앙이 가르치는 종말은 자기 이익으로만 세운 세상의 질서가 모든 사람을 배려하고 보살피는 질서로 바뀌어야 한다는 경고와 희망입니다. 자기 이익을 내려놓고 서로 양보하여 보살피려는 변화는 받아들이기가 고통스럽습니다. 이 고통을 함께 감내하여 파국을 피하고 함께 사는 질서를 마련하는 용기가 신앙입니다.

반복되던 옛 희생제사는 예수님의 ‘단 한 번’ 희생으로 종말을 맞았습니다. 더는 누구에게도 ‘자기 대신’ 희생을 강요하거나 덮어씌우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복음입니다. 사람을 옥죄고 통제하는 데 쓰이던 율법도 원래 모습을 되찾았습니다. 율법은 복음을 따르는 사람들 마음에 새겨진 행동 양식과 예법이 되었습니다. 우리 삶 곳곳에서 지위나 재산과 권력으로 희생이 여전히 일어난다면, 이를 멈추어 끝내게 하는 일이 ‘종말’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사명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람을 가르고 분리했던 휘장을 몸소 찢어 자유롭게 하느님을 예배하게 하셨듯이, 신앙인은 우리 사회에 여전한 차별의 벽을 무너뜨리는 사람입니다. 눈과 귀를 막고 가르고 차별하는 벽을 뚫고 나온 우리 성당입니다. 서성이는 이들을 환대하며 친교하고, 힘들어하는 이들을 격려하며 고통받는 사람을 넉넉히 껴안을 때, 우리 성당은 세상에 새로운 질서와 꿈을 주는 아름답고 웅장한 성당으로 영원히 빛납니다.

New_Jerusalem.pn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11월 15일 연중33주일 주보 []

선교 – 몸과 피로 생명을 나누는 일

Sunday, August 16th, 2015

선교 – 몸과 피로 생명을 나누는 일 (요한 6:51~58)1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여러 오해를 받으며 박해를 받았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는 그리스도인들이 몰래 모여서 사람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는 기괴한 ‘식인’ 의식을 벌인다는 의혹이었습니다. 예수님께서 빵과 잔을 들고 “이것은 내 살이요, 내 피이다” 하신 말씀을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이 성찬례를 거행했는데, 그 내용이나 뜻은 살피지 않고 말만 엿듣고는 속단한 탓입니다. 상황과 뜻을 헤아리지 않고 그저 말만 엿듣거나 문자 그대로 믿어서는 오해가 일어나기 일쑤입니다. 성서 해석도 그렇고, 우리 신앙과 삶도 그렇습니다.

살과 피는 성서에서 ‘생명’을 뜻합니다. 성서뿐만 아니라 의학 상식으로도 살과 피는 생명의 필수 요소입니다. 이런 뜻에서 신앙인의 생명은 예수님의 살과 피를 몸에 담고 사는 일입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의 생명과 삶을 우리의 생명과 삶의 내용으로 삼지 않으면, 우리는 그리스도와 관련이 없습니다. 성찬례는 이 관련성을 끊임없이 되새기며 우리 삶이 예수님의 삶을 닮아갈 때라야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과 구원이 있다는 진실을 가르치고 훈련하는 시간입니다. 성찬례를 무시하면 그리스도교는 종종 세상의 여느 종교와 다를 바 없는 종교 활동이 되고 맙니다.

예수님은 당신 자신을 다른 사람의 생명을 위한 양식으로 내어놓으셨습니다. 세상은 생명을 내어주면 죽는다고 생각했지만, 예수님은 생명을 다른 생명 안에 주면 예수님의 생명이 옮아가서 두 생명이 모두 살아가게 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내어주고 나누는 일은 양쪽을 다 살리는 결단이고 행동입니다. 예수님의 선교 활동은 늘 내어주어서 다른 생명을 먹이고 치유하고 힘을 불어넣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면 그 사람들 안에 예수님이 늘 살아서 움직이며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는 사람들의 모임이 커졌습니다. 우리 교회가 진실로 성장하는 방법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수님을 따라 ‘나’ 자신을 덜어내어 나누어서, 영적 갈망에 배고파하는 사람을 환대하여 먹이고, 마음과 몸이 아픈 사람들을 보듬어 치유하고, 실의에 빠진 이들에게 힘을 불어넣는 일입니다.

우리 교회는 세상 사람을 먹이면서 그 안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하느님에게서 받은 힘과 능력과 재력을 세상에 나누어야 세상이 하느님의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몸과 피, 자신이 지닌 소중한 것을 내어놓고 나누지 않으면, 새로운 생명이 살아가며 성장할 방법이 없습니다. 고집하거나 움켜쥐는 것들은 끝내 소멸하고 맙니다. 그러나 열어서 나누고 손길을 펼치면 “영원한 생명”이 세상 속에서 펼쳐집니다. 성찬례의 영성체를 통해서 주님의 몸과 피를 마셨습니다. 영성체하고 파송 선언을 들을 때, 우리는 세상의 생명을 살리는 몸과 피가 되라는 선교 명령을 받습니다. 성찬례를 통하여, 우리는 ‘식인’ 의식이 아니라, 자신의 몸과 피을 내놓아 남을 살리며 함께 살아가겠다고 결단합니다.

nolde-ultima-cena.jpg

  1.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15년 8월 16일 연중20주일 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