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와 정치, 고문과 국가, 그리고 현실주의

Monday, April 20th, 2009

미국 언론은 지난 부시 정권 하에서 테러 용의자를 대상으로 고문을 법적으로 정당화하려던 법률 자문 메모 공개를 비중있게 보도하고 있다. 이웃에 있는 버클리 대학(UC Berkeley)의 법과대 교수로 있는 한국계 미국인 John Yoo 는 그 메모의 첫 집필자로 진작에 드러났고, 이에 그의 교수직 해임을 요구하는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더 파헤쳐서 부시를 반인륜 범죄 재판정에 세워야 할 참이다.

“고문”이라길래 당장 떠오른 책과 글이 있어서 다시 들춰 보고선, 기왕 번역까지 해본다. [고문과 성찬례](Torture and Eucharist)라는 책으로, 칠레 피노체트 정권 아래서 자행된 폭압과 고문, 그리고 이에 대한 칠레 가톨릭 교회의 대응과 저항을 신-정치학(theopolitics)과 전례 신학적인 관점에서 살폈던 가톨릭 평신도 신학자 윌리암 카버너(William Cavanaugh)의 인터뷰이다. 인터뷰 제목은 [정치적 행동인 전례](Liturgy as Politics)라고 했지만, 전례와 정치적 참여의 문제부터 시작해서, 교회와 국가의 관계, 국가의 폭력 문제, 대학의 정체성 문제, 그리고 현실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신학적 비전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제들에 대한 짧지만 매우 탁월한 목소리를 담고 있다.

정치적 행동인 전례: 윌리암 카버너 인터뷰

당신은 그리스도인들이라면 전례적 행동에 참여할 때, 정치 활동에 참여하는 것처럼 해야 한다고 한 적이 있는데, 무슨 뜻인가?

얼마 전에 “성찬례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때 내 첫마디는 이랬다. “한가지 약속할 것이 있습니다. 성찬례의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 말해 준다면, 여러분은 절대로 미사를 빼먹어서는 안됩니다.” 다시 말해, 전례는 의미로 축소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럴 거라면, 그 의미를 알았는데 굳이 교회에 나갈 이유가 무엇인가? 의미만을 상기시켜주는 것이라면 반복할 필요가 있겠는가? 아주 둔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주일마다 교회가 갈 필요가 있겠는가?

이게 대체로 우리가 갖고 있는 전례와 사회 생활에 대한 접근 방식이다. 그저 전례의 상징과 의미들을 “읽으려고” 한다. 그런 다음 그 의미를 뽑아내서 “현실 세계”에 적용시키려 한다. 봉헌은 우리의 재산을 바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둥, 평화의 인사는 국제 관계 속에서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걸 의미한다는 둥, 이런 식이다.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접근 방식은 전례가 어떤 몸, 즉 그리스도의 몸을 만들어내는 행동이라는 점을 말하지는 않는다.

앙리 드 뤼박(Herny de Lubac)은 말한다. “성찬례가 교회를 만든다”고. 교회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무슨 별장 같은 게 아니다. 교회는 그 원래 의미에서, 예수의 정치학을 행동하는 사회적 공간이다. 교회가 어떤 정치 정당이 되어야 한다거나, 정당의 정치적 행동을 전례 안에 끼워 맞추라는 말이 아니다. 이 말은 교회가 – 비그리스도인과 협력해서라도 – 평화와 자비의 공간, 정의로운 경제 교환의 공간을 창조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광야의 목소리”(Voices in the Wilderness)포콜라레 운동(Focolare movement)의 경제 공동체 등은 예수 정치학의 좋은 사례들이라 생각한다. 세계로부터 회피하려는 종교 분파나 정적주의와는 달리, 이러한 운동들은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효과적이다. 어떤 점에서 평화와 정의를 국가에 요청하는 운동들보다도 낫다.

근대 세속 정치학의 가정 가운데 하나는 국가는 세속적이며 종교는 사적(private)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16세기 유럽을 망쳐놓은 종교 전쟁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이다. 이 가정에 어떤 문제가 있는가?

교회가 정치적 권력을 다시 획득해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어떤 강제적인 권력을 의미한다면 말이다. 그러나 세속 국가를 평화 유지자로 보는 신화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이른바 종교 전쟁이라는 것은 서로 다른 종교 간의 싸움, 그러니까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싸움이 아니었다.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그 전쟁은 서로 다른 신적 정치 질서들(theopolitical orders) 간의 전쟁이었다. 이렇게 봐야 왜 가톨릭 신자가 가톨릭 신자를 죽였는지 설명할 수 있다. 30년 전쟁의 후반부는 합스부르그와 부르봉 간의 싸움이었다. 두 가톨릭 왕조끼리 싸운 것이다.

교회는 이런 피투성이 전쟁에 책임이 없지 않다. 교회는 폭압적인 권력에 얽혀 있었다. 그러나 근대 국가 역시 죄없는 방관자가 아니었다. 국가의 전체 기구들은 군주들이 전쟁을 좀더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찰스 틸리(Charles Tilly)가 적은 대로, “전쟁은 국가를 만들었고, 국가는 전쟁을 만들었다.” 근대 민족-국가는 폭력에 기반하여 세워졌다. 교회가 폭력에 저항한다면, 교회는 그 사적인 개인주의에서 벗어나서 정치적인 목소리를 지녀야 한다. 그것은 국가 권력을 다시 획득하려는 것이 아니라, 권력에 대해서 참된 말을 발설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과거에 교회가 연루되었던 폭력의 죄과를 현재 국가가 저지르는 폭력을 거절함으로써 속죄받을 수 있다.

교회가 국가에 관여하는 것을 염려하는 사람들은 종종 탈리반 형태의 정권을 예를 들며 위험하다고들 하는데, 합당한 염려인가?

분명컨데, 난 탈리반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을 괴롭히는 정권은 감시해야 한다. 하지만 나는 종교적 폭력에 관한 신화가 특정한 형태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방식을 염려한다. 바로 이런 방식이다. “저기 있는 놈들은 종교적 광신자들이다. 그들의 폭력은 비합리적이며, 절대주의적이고 분열적이다. 우리는 민주적인 세속 국가 사회에서 살아간다. 우리의 폭력은 합리적이며, 온화하고, 화합을 도모한다. 그들은 우리가 배운 교훈을 얻지 못한 놈들이다. 종교는 공적인 영역에서 없어져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놈들을 폭격해서 사람들이 한층 높은 수준의 합리성을 얻도록 도와야 한다.” 내가 보기에, 이런 사고 방식이 이라크 전쟁과 테러리즘에 대한 공적인 담론의 근간이이다.  공화당이든 민주당이든 이런 식으로 생각한다.

이 신화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지구 상에서 가장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 생각하고, 동시에 우리 군사비가 다른 모든 나라가 합친 것보다 많은 것을 합리화하도록 한다. 우리가 휘두르는 폭력은 폭력으로 치지 않는다. 우리는 지금 민주주의와 합리성과 평화를 확산시키는데 애쓰는 것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미군과 그 대리자들에 진행된는 전쟁의 결과는 5만명이 넘는 이라크 시민의 죽음이며, 2백만명의 베트남 사람의 죽음, 그리고 2십만 명의 과테말라 농민들의 죽임이었다. 우리가 “종교적 폭력”을 악귀로 바라보는 한, 이러한 전쟁들은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는 종교적이든 세속적이든, 어떤 종류의 폭력도 거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당신은 칠레의 폭압적인 피노체트 정권에 대한 교회의 대응을 연구했다. 칠레의 가톨릭 주교들이 했던 것처럼, 교회는 정치 권력 혹은 그러한 현상 이면에 있는 것들에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는 하나의 가정이다. 칠레에 관한 내 책에서, 나는 실제로 일어난 일을 사례로 삼으려고 했다. 주교들이 한 일과 풀뿌리 교회들이 한 일은 국가가 사람들의 상상력을 봉쇄하고 있을 때 이를 부수는 것이었다. 교회에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빨리 깨닫게 되었다. 국가더러 스스로 정의로울 걸 요구하는 게 쓸모 없는 짓이라는 걸 말이다. 교회는 국가가가 정의를 구현하리라 기대할 수 없다. 교회는 스스로를 심각하게 어떤 공적인 몸, 즉 그리스도의 몸으로 생각한다. 바로 이 몸이 세상 안에서 정의와 평화의 공간을 창조한다. 이는 종종 국가에 대한 저항을 수반한다. 칠레에서 몇몇 주교들은 고문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파문했다. 그리고 풀뿌리 교회들은 정권의 희생자들을 돕고 시민 불복종 운동을 전개했다. 변화는 조용하게 오지 않았다. 대체로 그런 일은 없다.

고문은 피노체트 정권 아래 정부에 의해 자행됐다. 미국 정부는 고문을 눈감아 주고 있다. 미국 교회들은 고문을 이용했던 칠레로부터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부시(Bush)는 존 매케인 의원이 미국 요원들에 의한 고문 방지를 목적으로 한 수정안을 대상으로 부결권 행사로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가 칠레에서 배울 수 있는 것 가운데 하나는 이 점에 그리 놀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칠레는 예외적이라고들 생각했다. 칠레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긴 민주주의 전통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모두들 군사 정권은 단기간으로 끝날 것이며, 그리 폭압적이지도 않으리라 생각했다. 미국 역시 예외적이라고 생각한다. 세상의 자유를 위한 하나의 신호라고 여긴다.

예외주의(exceptionalism)는 두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미국을 예외적이라 여기기 때문에, 미국은 법 위에 있고 예외적인 잣대를 적용할 수 있다고들 생각하게 된다. 어떤 국가가 그 자체로 목적이 되면 – 메들린 올브라이트가 말한 대로 미국은 “없어서는 안될 국가”이다 – 국가는 그 생존을 위한 이익에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 그리고 이것이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라고 여긴다.

칠레에서 배울 수 있는 또다른 하나 – 교회는 국가가 스스로 정의를 행하리라 기대하는 것 이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는 분명해야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정치적 억류자들에 대한 불의한 처우에 참여하지 말아야 한다. 더 나아가, 교회는 ‘정당한 전쟁’에 대한 결정을 대통령에게 미뤄둬서는 안된다. 교회가 어떤 전쟁이 정의롭지 못한 것이라고 결정한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그 전쟁에서 싸우는 것을 거절해야 한다. 이것이 현재 미국 교회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라 생각한다. 정당한 전쟁 이론이 한치라도 의미있는 것이라면, 그 때문에라도 교회는 정당한 전쟁에 대한 결정을 국가에 미룰 수 없는 것이다.

당신은 연예 산업, 특히 디즈니 기업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관여에 대해서도 글을 썼다. 대체로 그리스도인들은 이 분야에 관해서 두 가지 선택이 있는 것 같다. 대중 연예 사업 속에서 복음의 신호를 찾든지, 아니면 그 부도덕성때문에 이를 피하는 것 말이다. 당신 생각은?

전체 대중 연예 사업를 받아들이거나 회피하는 것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안에서 무엇이 좋고 나쁜 지를 식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디즈니를 비판하는 것은 그 영화나 다른 미디어에 관한 것이 아니다. 물론 그 내용도 분명 비판의 대상이다. 디즈니에 관하여 내가 관심하는 것은 그들이 가진 권력이다. 자유 시장이라고는 하나, 디즈니는 소수의 거대한 사업체가 소비 패턴에 영향을 주고 문화를 획일화하는 권력을 갖게 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수백만의 부모들은 디즈니가 뱉어내는 것을 구입하느라 안달이다. 다른 아이들이 모두 라이온 킹이나 다른 상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자유 시장에서 어떻게 사람들이 강박감을 갖게 되는가? 이론적으로, 자유 시장에서는 모든 개인은 자신이 좋다고 여기는 것을 선택할 자유가 있다. 그러나 무엇이 객관적으로 좋다는 감각이 없는 문화 속에서, 남는 것은 힘이다. 의지는 좋은 것(선한 것)으로 이끌리지 않고, 마케팅의 권력이 의지를 움직인다. 거대 초국가 산업은 그 자라나는 권력으로 자유의 절단된 단편 만을 양산하고 있다.

당신은 또 교회와 관련된 대학들의 정체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기관들이 그 신학적인 근거를 굳건히 지키면서, 고등 교육 시장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미국 고등 교육의 큰 아이러니는 다양성을 추구한다면서, 대학들과 대학교들이 대동소이해진다는 것이다. 나는 대학들 안에서 인종적, 성적, 계급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일에 절대 찬성한다. 그러나 어떤 사명의 다양성을 추구하면서 학교는 특별한 어떤 것에 대해 믿지 않게 된다. 진정한 다양성은 대학 내부의 다양성 뿐만 아니라, 대학들 간의 다양성이다. 어떤 대학이 침례교이든, 천주교이든, 감리교이든, 대학은 거기에 모인 사람들로 정체성을 찾아서는 안된다. 우리는 그곳이 독특하게 침례교적이고, 천주교적이고, 감리교적인 것에 따라서 모두 풍요롭게 되는 것이다. 교회 관련 학교들은 그들이 독특한 선교 이념을 가질 때라야 성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별한 정체성이 싫다면 그런 학교를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될 일이다.

그렇다고 해서, 교회에 기반한 학교들인 어떤 정통 교리에 입각한 엄격한 기준을 모든 학생들에게 강요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학교의 실무자들, 교수진, 학생들 사이에 충분한 합의가 있어야 일관된 대화가 지속될 수 있다. 많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교육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까닭은 우리가 바로 이런 아이러니 속에서 가르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로 다른 지적인 방법들과 입장들, 그리고 세계관들을 뒤섞은 샐러드를 제공하고, 아무거나 원하는 것을 선택하라고 하고 있다. 이건 정말로 중요하지 않다. 많은 현대 대학들은 지성적으로 일관되지 못해서, 지성적인 활력이 아니라 냉소주의만 낳고 있다.

어떤 점에서 일관성이 없다는 것인가?

교수진 임용이 가장 관건이다. 많은 교회 관련 학교들은 현재 많은 수의 교수진과 실무자들을 갖게 되었는데, 이들은 대체로 그 학교를 설립한 교단에 대해서 무관심하거나 의혹을 갖고 있다. 물론 모든 학교는 아웃사이더가 필요하다. 만일 내가 1950년대의 가톨릭 대학에서 가르친다면, 소수의 좋은 맑스주의자가 교수진에 있어서 여러 문제들을 헤집어 놓기를 바랄 것이다. 그러나 시계추는 다른 방향으로 흔들렸다. 각각 학부 안에 가톨릭 관점으로 심리학이나, 경제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몇 명 씩은 있었으면 좋겠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큰 문제이다. 학생들은 본능적으로 자기가 받는 교육이 학제를 넘어서서 통합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학생들은 생물학 시간에 창세기에 관한 질문을 던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교수는 이런 학생들을 수업을 방해하는 이들처럼 취급한다. 교회 관련 학교들이 창조론자 만을 임용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학교는 그리스도인들이 과학에서 배운 것들을 하느님에 대한 신앙과 연결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해 동감하거나 이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우리와 같은 다원적 문화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요한 14장 6절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를 거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 갈 수 없다” 는 구절을 두고 고민하게 되었다. 당신은 이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이 구절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은 많다. 맨 먼저 생각나는 것은 시에나의 성 카타리나(St. Catherine of Siena)의 말이다. “하늘로 가는 모든 문이 하늘이다. 주님께서 나는 길이라고 하셨기 때문이다.” 카타리나 성인은 그리스도를 하늘과 땅 사이의, 신성과 인성 사이의 다리라 생각한다. 하늘과 땅 사이의 그 다리는 이미 하늘이다. 그것이 그리스도이기 때문이다.

이 설명을 좋아하는 건, 이 말이 수단과 목적이라는 이분법을 깨뜨리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늘로 가는 수단이 아니다. 전쟁은 평화를 위한 수단이 아니다. 자유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전제 조건이 아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늘을 지금 이 땅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설령 그 실천 속에서 죽임을 당하더라도. 어떤 멀리 있는 종말의 시점에 그리스도에게 가는 길을 만드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리스도는 길이다.

이번 주일에 설교를 하게 된다면, 어떤 본문을 선택해서, 어떻게 살펴볼 것인가?

대림절이 가까오고 있으니, 아마 절기 독서에 있는 대로 이사야에 있는 위대한 본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것 같다. 전체 전례력을 통틀어서 좋아하는 독서 본문들이다. 새롭게 변화된 현실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아름답게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이사야 11:1-9 를 선택할 것 같다.

우디 앨런은 이렇게 말한다. “사자가 어린 양과 함께 어울릴는지 몰라도, 어린 양은 쉽게 잠들지 못할 걸?” 이사야에서 말하는 어린 양과 늑대가 함께 어울린다는 본문을 선택하면서도, 우디 알렌의 지적은 이른바 현실주의(realism)의 사례라 생각한다. 이 현실주의는 말한다. “순진하면 안된다. 현실 세계 속에서 어린 양은 늑대와 함께 하지 못한다. 하느님께서 역사를 바꾸실 때라야, 우리는 마음을 놓을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큰 막대기를 들고 다녀야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적인 이사야서 해석으로는, 하느님께서 이미 역사의 구원을 위해 행동하셨다. 이새의 그루터기에서 이미 햇순이 돋아났다. 대림(Advent)은 성탄에서 완성된다. 사람들은 대체로 하느님 나라의 “아직 아님”(not yet)을 하느님의 행동 지연으로 본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어떤 것도 지연시키지 않으셨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길”인 아들을 주셨다. “아직 아닌” 것은 우리가 지연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우리가 그리 살아가고 있다. 이사야의 전망을 하느님께서 이뤄주시겠지 하고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복음은 하느님께서 이미 행동하셨다는 것이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를 주셨다. 그 분 안에서 이사야가 바라보던 새롭게 변화된 현실은 완성되었다.

The Christian Century. Dec. 13, 2005:28-32. Copyright 2005 CHRISTIAN CENTURY. Translated and reproduced by Nak-Hyon Joo in Korean with permission.

성찬례의 인간 Homo Eucharisticus

Sunday, May 4th, 2008

일전에 나눔의 집에서 일하시는 박순진 신부님께서 요즘 한국 사회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탄해 하며, 도대체 “우리의 전례(liturgy)가 이런 세상에서 무엇이야 하는지”를 물어오셨다. 당신의 사목 활동이 이미 그 뜻을 몸소 살고 있는 참이니, 똑바로 공부하여 나누라는 일갈로 여겼다.

하릴없이 나는 원칙만 되새기며 함께 가자고 할 뿐, 그리고 오히려 신부님의 나눔의 집 선교 활동을 통해서 몸으로 배워야 하겠노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이 상황에서 전례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매우 아프게 다가옵니다… 우선은 이런 편만한 욕심과 욕망의 분출 현상은 최소한 성찬례라는 전례가 갖는 비전과는 전혀 반대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이 비전을 우리 전례 안에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성공회의 위대한 전례학자인 돔 그레고리 딕스(Dom Gregory Dix)는 언젠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전례를 통해서 “경제적인 인간”(Homo Economicus) 혹은 “소비적인 인간”(Homo Consumericus)이기를 포기하고, “성찬례의 인간” 혹은 “나눔의 인간”(Homo Eucharisticus)으로 변화된다. 이게 성변화(transubstantiation)의 진정한 의미겠지요.

스리랑카의 예수회 신부인 티사 발라수리야(Tissa Balasuriya) 역시 성찬례가 갖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 G. Lohfink)의 전망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연결하여 천명한 바 있다. 성공회의 성사적 사회주의 전통과도 맥을 같이한다.

현존하는 세상의 질서 혹은 무질서는 성찬례의 가치와 분명히 대조적이다. 성찬례가 사랑과 나눔의 성사라면, 세상은 탐욕적인 착취의 체제이다. 성찬례가 공동체를 건설한다면, 세상의 관계는 인격과 인간을 파괴한다. 성찬례가 보편 지향적이라면, 세상은 인종차별적이다. 성찬례의 힘은 평등 사회를 향하지만, 세상의 권력은 헤게모니를 잡고자 한다. 성찬례가 겸허한 섬김을 추동한다면, 세상의 국제 관계 속에서는 오만한 지배가 판을 친다. 성찬례의 빵이 모든 이들을 위한 공동의 식사라면, 세상의 빵은 거래를 위한 상품이다. 성찬례의 이상 안에서 땅은 공동 이용을 위한 것이지만, 현재의 국가 체제 안에서 땅은 성공한 정복자를 위한 것이다. 성찬례는 인격을 우선시하지만, 국제 관계 안에서는 권력과 이익이 지배한다.

Tissa Balasuriya, The Eucharist and Human Liberation. Orbis Books, 1979.

다시 ‘이런 세상에서 전례는 무엇이야 하는가?’ 전례가 다만 세계관이나 전망에 그치지 않으려면, 그것은 대조 사회를 위한 몸의 수련이고, 그런 삶의 방식에 대한 훈련이며, 전례적 질서(ordo)를 통해 새로운 질서(order)를 미리 맛보며, 그 대조 사회의 시-공간을 넓혀 나가는 것이어야겠다. 그런데 이를 막아서는 일들이 교회와 전례 안에서 마저 팽배하다면, 교회와 전례는 또 다른 세상 권력의 표현일 뿐이다.

나쁜 전례는 나쁜 신학을 만들고 / 나쁜 신학은 나쁜 전례를 만들고,
나쁜 전례와 신학은 교회와 세상을 망친다.

전례 쇄신은 이래서도 중요하다.

성 목요일: 켜켜이 쌓인 시간들

Thursday, March 20th, 2008

성삼일(Holy Triduum)은 교회력 혹은 전례력에서 경첩점(hinge point)이라 하겠다. 구속사의 모든 사건들이 성목요일과 성금요일, 그리고 부활 밤을 통해서 절정에 이르러 새로운 사건으로 도약하기 때문이다.

특별히 성 목요일은 이런 전환의 시작점이다. 사순절의 끝나는 지점에서 성삼일이 시작된다. 무엇보다 이 날은 예수와 함께 했던 세월들이 다다르는 수렴점이자, 그 수렴의 끝에서 새로이 드러나는 또다른 시간이다. 이 날은 그래서 켜켜이 쌓인 시간들, 혹은 시간의 중첩이다. 예수께서 공들인 삶은 오늘 있은 두 사건에 집적되어 있다. 세족과 마지막 만찬이 그것이다.

예수께서는 종의 일을 주인의 일로 전복시켰다.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예수는 그들도 그렇게 섬기며 살라고 당부하셨다(Do This!). 그게 없으면 예수와는 상관 없는 삶이다. “주의 종”이란 말이 오염되어 어처구니 없는 “교회 권력”의 표현이 된 이율배반은, 곧 이 신앙 전통에 대한 배신이다.

세상을 섬기로 온 자신을 드러낸 예수께서는 아예 자신의 몸을 주어 먹고 마시라고 한다. 여기서 머물지 않는다. “나를 기억하여 이 일을 행하라”는 분부가 있다. 그러나 교회 역사는 “이것은 내 몸 혹은 피” “이다”(is)에 집중하며 교리적인 논쟁을 벌여 왔다. 어떻게 떡 혹은 포도주가 예수의 살”이고”(is) 피”이냐”(is)를 두고 지금도 갈라져 싸운다. 자기 식대로 믿지 못하면, 자신의 성찬례에도 초대할 수 없다는 게 법이 되었다. “이 일을 행하라”(DO THIS)는 말씀은 안중에 없다. 이 역시 이 신앙 전통에 대한 배신이 아닌가?

인류학자 기어츠(Geertz)는 삶에 대한 해석과 기술은 “두터운 기술”(thick description)이어야 한다고 했다. 당연지사 그건 삶이 투텁기 때문이다. 이미 한껏 두터운 사건(thick event)인 성 목요일의 예수 사건들은 교회 역사 안에서 더욱 복잡해졌다. 오물로도 역사는 쌓여가듯 역설과 아이러니가 범벅이 되어 천연덕스럽게 오늘의 전례 행사를 이룬다. 이 역시 또다른 시간의 중첩을 만든다.

전통적으로 성 목요일에는 성유 축복 미사(Chrism Mass)를 드린다. 기름은 그 복잡한 용도에서 다양한 의미로 발전되었다. 기름을 부어 왕을 세우는데 쓰였고, 연고의 원료인 탓에 기름 자체가 치료제로 사용되었고, 요즘 식으로 향수로 쓰이기도 했다. 기름의 제의적 사용과 의미 부여가 이어졌다. 세례식에서는 작은 그리스도(기름부음 받은 사람)가 되는 상징으로, 병자들에게는 치유 성사의 상징으로, 그리고 성직 서품식에서는 어떤 특권의 전이를 상징하게 되었다. 이 기름을 성 목요일에 축성했던 것은 부활 밤에 있을 세례식과 견진에 쓰도록 하려는 편의에서 비롯했다. 더구나 주교가 축성하는 이 기름을 다 받으러 와야 하니 교회 일치의 상징으로도 보기 좋았겠고, 그런 모습을 확인하고 나서 지역 교회로 돌아가 성찬례 제정 기념 미사를 드리는 것도 의미가 컸겠다. 여러모로 성 목요일은 다양한 전례와 그 의미로 한층 두터워졌다.

최근에 등장한 새로운 발명은 이를 더 두텁게 한다. 성유 축복 미사와 함께 하는 “사제 서약 갱신”이라는 것이다. 성공회에서도 어느 틈엔가 일반화되다시피 한 이 순서는 사실 1970년대 로마 가톨릭 교황 바오로 6세가 강력히 권장하여 퍼진 것이었다. 교황은 이 날을 “사제들의 축일”로 보았다. 지역 교회에서 성유를 받으러 사제들이 모이는 날인데다, 성찬례 자체가 제정된 날이니, 이 날처럼 교회의 일치(혹은 주교와 사제의 일치)와 사제들의 분명한 권위를 세우기 좋은 날이 어디 있으랴. 이 무렵은 성공회와 천주교가 갈라진지 400여년 만에 대화와 협력을 강력하게 모색하는 시기였으니(교황 바오로 6세와 캔터베리 대주교 마이클 램지), 이게 성공회에 흘러드는데 별 무리가 없었을게다.

그러나 이게 성유 축복 미사를 원래대로 잘 드러내는가? 내 경험에서 보나, 교황의 확신에서 엿보이는 생각은 이 날은 “사제들의 축일”이지, 성유의 여러 용법들과 의미들,그리고 사목적인 교회의 일치가 다시 확인되는 것 같지는 않다. 풍요로운 축복과 치유의 상징은 성유의 빈약한 사용도에서 보듯 축소되고 위약해진다. 그 틈 사이로 한편에는 사제들의 자의식 확인이, 다른 한편으로 주교의 권위에 대한 복종을 확인하려는 위계 질서의 기대가 끼어든다. 그러나 이 역시 시간의 한 층일뿐, 나무란다고 어찌할 수 있는게 아니다. 성 목요일 자체의 두 사건에 대한 아이러니이되 시간은 이를 삼켜서 오늘을 남기니까.

다시 말해 시간은 이러한 배반과 아이러니 안에서 축적된다. 그리고 현재의 전례 행사와 우리의 삶을 일구어 나간다. 시간 안에서 드러내고 숨기는 일들이 반복된다. 그래서 성 목요일은 켜켜이 쌓인 시간들로 촘촘히 박혀서 우리의 삶과 우리 자신을 이룬다. 이 시간의 중첩은 한무더기로 우리에게 다가오지만, 가만히 들여다 보면 모순된 우리 삶의 자화상을 비춘다. 계몽을 위해 이 날 전례 행사의 어떤 통일된 의미를 찾아내려는 것은 이미 빗나간 욕망이며, 시간이든 역사이든 단번에 뛰어넘어 본질을 정화해내서 보여주겠다는 단언은 광신이다. 오히려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포장하려는 속셈이 빈번하다. 그러니 이 시간의 중첩 앞에서 다만 우리를 비추어 성찰할 일이다.

성 목요일 전례 행사의 마지막은 제대의 모든 장식을 벗기는 일이다. 제대보를 걷으면 제대는 화려함 뒤에 숨겨왔던 몸을 드러낸다. 예수의 몸이 벗겨진 상징이라고 단답형 답을 들이 밀기 전에, 우리 자신이 이 시간의 중첩 안에서 스스로를 발가 벗기는 일이 더 중요하리라. 그래야 비춰 볼 수 있을테니까. 그 비추인 나신이라야만 역사와 그에 깃든 상처 사이 사이에 박혀 관계하는 예수의 세족과 성찬례가 흐릿하게나마 다시 돋아나리라.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십시오.”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Technorati Tags: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