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와 신앙의 책임

Sunday, September 10th, 2017

monet_cathedral.png

공동체와 신앙의 책임 (마태 18:15-20)

신앙생활은 공동체 생활입니다. 여느 종교는 신(神)과 자신의 관계를 개선하여 영혼의 구원을 얻거나, 홀로 진리를 깨우쳐 해탈을 바랄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느님과 자신의 관계를 이웃과 맺는 자신의 관계와 분리할 수 없다고 가르칩니다.

신앙인은 나 홀로 사적인 인간이기를 멈추고, 하느님을 예배하는 공동체에 참여하여 살기로 다짐한 사람입니다. 인간 사이에서 다툼과 갈등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신앙 공동체에도 불화와 갈등, 불신과 상처가 끊이지 않습니다. 다만, 신앙인은 이 문제를 하느님의 시선에 비추어 함께 공동체를 쇄신하고 자신의 변화를 찾으며 훈련합니다.

공동체의 갈등 원인은 다양하지만, 선의로 시작한 일이 부주의하게 미끄러진 탓이기 쉽습니다. 교회를 아끼려는 주인의식이 지나쳐 소유의식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신앙 체험의 기쁨을 나누려는 열정이 지나쳐 자신만 옳다는 주장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불편한 일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지나쳐 강요와 심판이 되기 때문입니다. 선의를 올곧게 지켜나가려면 스스로 성찰하고 자신을 삼가는 일이 먼저 필요합니다.

공동체의 갈등과 불화가 선한 궤도를 이탈하는 일도 있습니다. 작은 실수와 갈등에 관하여 정확하지 않은 정보와 소문에 귀를 빌려줄 때, 공동체는 죄와 불신에 빠집니다. 진실은 사라지고 억측이 난무합니다. 화해보다는 심판의 목소리가 우악스럽습니다. 상처는 돌이킬 수 없이 깊어집니다. 스스로 삼가는 성찰의 궤도를 벗어나면 진실한 변화와 쇄신의 목소리마저 들리지 않습니다. 더 깊은 고민과 노력이 오히려 오해를 받습니다. 공동체는 불신의 만성질환에 빠지며 생명의 위기를 맞습니다.

신앙인은 진실을 찾는 사람입니다. 공동체 안에서 진실을 식별하는 능력을 훈련하지 않으면 하느님의 진리를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진실과 진리로만 서로 타이르고 바로 잡습니다. 조심스럽게 둘 사이에, 여럿이 불편부당하게 충고하고 설득합니다. 바른 지적과 조언을 공격이 아니라 자신의 거울로 삼습니다. 자신의 내면을 비추지 않는 사람은 신앙인이라 부르기 어렵다고 복음은 말합니다. 그러나 ‘이방인과 세리처럼 여겨라’(17절)하는 말 속에도 희망은 있습니다. 이방인과 세리에게도 회개와 용서의 은총은 열려 있기 때문입니다.

신앙인은 하느님의 진리와 공동체의 진실로 책임을 다하는 사람입니다. 진리과 사랑은 함께하지만, 사랑을 들어 진리의 책임을 회피할 수 없습니다. “죄인에게 그 버릇을 고치라고 타일러주지 않았다면, 그 죄인은 자기 죗값으로 죽겠지만, 그 사람이 죽은 책임은 나는 너에게 지우리라”(에제 33:8). 신앙의 책임은 자신과 공동체가 함께 하느님의 진리과 사랑 안에서 구원을 받도록 애쓰는 일입니다. 진리에 이르려는 기도와 대화가 우리 공동체에 간절합니다. 진리 안에서 자신과 공동체를 쇄신하려는 깊은 배움과 모진 훈련이 우리 교회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줍니다.

십자가 – 반석과 걸림돌 사이에서

Sunday, September 3rd, 2017

carrying_cross.png

십자가 – 반석과 걸림돌 사이에서 (마태 16:21-28)

주일 복음의 이야기가 왔다 갔다 하니 혼란스럽습니다. 지난 주일에는 베드로를 두고 ‘믿음의 반석이요, 하늘나라의 열쇠를 쥔 사람’으로 칭찬하시던 예수님이었습니다. 그런데 오늘은 정색하시며 ‘사탄아, 물러가라’ 하시며 꾸짖으시니 어느 장단에 발을 맞춰야 할까요? 그러나 세상에 혼란을 더하는 변덕스러움은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자기중심의 시선과 기득권을 지키려는 옹졸함이 변덕을 일으키니, 주님의 칭찬과 꾸짖음이 번갈아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바른 신앙과 행동은 교회의 반석이지만, 자기 중심성은 인생과 신앙의 걸림돌입니다. 이를 식별하는 기준이 바로 십자가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뜻에 충실한 사람이 닥칠 도전을 예견하십니다. 그 길은 “원로들과 대사제들과 율법학자들”이 미워하고 박해하는 길입니다. 모함에 따른 고난에 굽히지 않는다면 주님의 삶과 가르침은 ‘다시 살아날 것’입니다. 흥미롭게도, 여기서 주님과 신앙인을 모함하는 세력은 세상의 정치 권력자들이 아닙니다. 같은 신앙의 전통을 나누고 있다고 믿는 공동체의 일원들입니다. 오히려 신앙의 내력과 경험을 들먹이며 기득권을 누리고 텃세를 부리는 이들입니다. 출신과 나이, 학력과 재산, 경험과 지위를 자기 안위의 기준으로 삼은 사람은 신앙을 가졌다 하더라도 예수님의 길을 막아서고 맙니다.

이때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사탄’의 정체가 드러납니다. 사탄을 객관적 형태를 가진 악귀 정도로 오해하면 곤란합니다. 이러면 베드로를 ‘사탄’이라 꾸짖는 주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사탄은 세상의 권력 질서가 유혹하는 편안함에 머물며 자신의 행복감을 식별의 기준으로 삼는 사람을 말합니다. 어느 철학자는 이런 사람을 ‘일차원적 인간’으로 불렀습니다. 종교인이든 아니든 자기 만족감에 매달려서 자신의 의로움과 정의만을 끊임없이 확인하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이 태도가 ‘하느님의 일을 생각하지 않고, 사람의 일만을 생각하게’ 하는 사탄입니다(23절).

신앙인은 믿음의 반석과 사탄의 걸림돌을 식별합니다. 같은 돌이라도 용도가 전혀 다릅니다. 같은 돌이라도 언제든 건물을 튼실히 떠받치는 주춧돌이 될 수 있고, 애먼 사람을 가로막고 넘어뜨리는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한때 주춧돌이었어도 공동체를 신앙으로 받들지 않고 삐져나와 기득권을 내세우면 금세 다른 사람의 발을 걸고 앞길을 막는 장애물이 되고 맙니다. 남에게 버림받고 혼자 굴러다니던 돌이더라도 예수님의 삶을 기준으로 삼아 걸으면 언제든 주춧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역전의 상황을 뼈아프게 깨닫고 스스로 살피는 이가 신앙인입니다.

십자가는 나약한 인간의 변덕을 깊이 돌아보는 잣대입니다. 자신의 성과는 무시당하는 것 같고 새롭고 낯선 변화가 자신을 밀어낸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더욱 베드로처럼 자신을 내세워 예수님을 꾸짖고 싶은지도 모릅니다. 이때 십자가는 자기를 내려놓고 아프고 고통스러운 자기 성찰을 하라는 촉구입니다. 이 길만이 우리 자신과 공동체의 생명을 살립니다. 우리는 과연 십자가의 길 위에 있나요?

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Sunday, August 13th, 2017

Henry_Ossawa_Tanner_The_Disciples_See_Christ_Walking_on_the_Water.jpg

믿음 – 슬픔의 눈물 위를 걸으며 (마태 14:22-33)

희망은 고난으로 단단해집니다. 신앙은 풍파로 흔들리는 삶의 진실 안에서 자라납니다. 믿음은 여리고 아픈 자신의 한계를 인정할 때 성큼 다가옵니다. 삶의 상처는 쓰라려서 우리를 주저하게 하지만, 잠시 멈추어 세상의 아픔까지 헤아리게 합니다. 새로운 용기와 신앙의 은총은 여린 상처 안에서 조용히 솟아오르려 꿈틀거립니다. 풍랑을 잔잔하게 하시고 물 위를 걸으셨다는 오늘 복음 이야기가 세례자 요한의 죽음과 오천 명을 먹이신 사건에 이어 나오는 이유입니다.

예수님도 마음을 흔드는 상처와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참담한 죽음 탓입니다. 그는 예수님을 뱃속부터 서로 알아보고 뛰놀던 사이였습니다. 두 분은 세례로 연결되었고, 요한이 갇히자 예수님께서 세상 전면에 나서셨습니다. 가장 큰 예언자, 가장 큰 인간이 처절하게 살해당했습니다. 주님은 분노와 고통, 슬픔과 아픔 속에서 요한을 기억하며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하며 홀로 있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병자들과 배고픈 이들이 따라나섰을 때, 그들의 처지가 마음 아팠습니다. 친구를 잃은 슬픔 속에서 아픈 이들을 치유하시고 배고픈 사람들을 배불리 먹이셨습니다.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 슬픔의 눈길로 다른 사람들의 아픔을 바라보며 펼치신 성찬례였습니다.

다시 예수님은 슬픔을 안고 땅과 하늘이 만나는 거룩한 시공간으로 들어갑니다. 시간이 필요합니다. 경쟁으로 몸부림치며 성취를 향해 달음질치는 시간이 아니라, 자신의 슬픔을 들여다보려고 멈춰서는 시간입니다. 자신의 상처와 슬픔을 하느님께 내보이는 시간 속에서 우리는 삶의 희망과 신앙을 새롭게 발견하기 시작합니다. 엘리야가 절망 속에서 하느님을 찾다가 기대와 달리 ‘조용하고 가녀린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났듯이, 주님은 세례자 요한을 잃은 슬픔과 상실 안에서 눈물의 바다 위를 걸으셨습니다.

제자들과 우리를 넘실거리며 위협하는 파도는 절망과 상실의 눈물인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그것을 피하며 허둥댈수록 그것들은 우리를 더욱 위협하고 두렵게 합니다. 그러고 보면, 믿음은 그 절망과 상실과 슬픔의 눈물 속에 내 몸을 던지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그 눈물의 바다에 몸을 던져서 그 눈물 위를 걸으셨습니다.

베드로가 그것을 깨닫고 바다에 몸을 던졌을 때, 그는 물 위를 걸어 주님께로 다가갔습니다. 그러나 삶의 고난과 상실을 잊으려 하고 귀찮다고 생각할 때 오히려 삶의 무게가 파도가 되어 그를 두렵게 했습니다. 자신의 안전과 행복에 눈을 팔 자, 물속에 빠져 허우적거려야 했습니다.

여전히 우리는 세상의 배고프고 가녀리고 절망과 슬픔이 가득한 음성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야 합니다. 다른 이들이 겪는 깊은 슬픔과 눈물을 살피고, 함께 밥을 굶고, 함께 밤을 새우며 함께 깊이 기도할 때, 우리는 주님과 더불어 그 눈물의 바다 위를 걷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세상의 슬픔과 상처의 눈물 위를 예수님과 함께 걷는 신앙인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