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일상' Category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Sunday, October 15th, 2017

Swanson_Celebration.jpg

하느님의 잔치와 신앙의 예법 (마태 22:1-14)

성찬례는 하느님 나라의 풍성한 잔치를 미리 맛보는 일입니다. 하느님이 마련하신 잔치의 목적은 뚜렷합니다. 하느님의 창조 세계와 그 생명을 함께 축하하고 즐기라는 초대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치와 경제는 이 초대를 자주 위태롭게 합니다. 울타리를 치고 몇몇이 독식하거나 갖가지 인맥과 이권이 만든 차별의 벽을 높이 쌓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에 맞서 하느님의 잔치를 이어가십니다.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는 흥을 이어가시려 좋은 포도주를 제공하시고, 배고픈 이들의 처지를 측은히 여겨 배부르게 먹고 남도록 풍성히 차려 주십니다. 세상 기준으로 손가락질받는 이들을 초대하여 먹고 마시는 일로 기꺼이 그들의 동료가 되십니다. 그 잔칫상은 자신의 몸을 제자와 친구에게 내어주는 일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마침내, 새로운 생명을 축하하는 부활 잔치의 성찬례로 완성됩니다. 난해한 오늘 복음의 혼인 잔치 비유는 이 맥락에서 바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잔치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초대하려는 의지마저 돋보입니다. 그러나 함께 참여하여 누릴 잔치의 흥을 깨는 일이 벌어집니다. 자신의 사적인 성취와 손익 계산에 따라 참여를 거부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초대가 사적인 이익의 기회를 빼앗는다고 판단하여 폭력으로 자기 이익을 보호하려 합니다. 하느님 나라의 신앙은 손익계산을 넘어설 때 다가오는데도 말입니다. 최근 세계의 정치경제, 그리고 우리 주변 상황과도 무척 닮았습니다. 이런 일이 계속되면 세상은 파국으로 치닫습니다.

새로운 초대에 응답하여 자신의 태도를 바꿀 때 희망이 열립니다. ‘나쁜 사람 좋은 사람’할 것 없이, 모두 생명 잔치의 혜택을 누려야 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든 하느님의 단비가 차별 없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잔치에 참여했다면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맞는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세상을 벗어나 신앙의 길에 초대받는 은총을 누렸다면, 자신에게 친숙한 세상의 관습을 버리고 신앙과 은총의 예법을 따라야 합니다. 하느님의 잔칫상에 둘러 모인 사람은 나이와 성별, 학력과 재력, 오래된 이와 새로운 이의 구분을 넘습니다. 사람따라 존대하거나 친근하다는 빌미를 대며 반말로 하대하지 않습니다. 초대받은 손님으로서 서로 존중하고 존경하며, 서로 좋은 것을 권하고 보살피는 예법을 따릅니다.

신앙 공동체는 성찬례로 하느님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나눕니다. 세상의 삶이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더라도, 교회 공동체의 공간과 시간에서만은 새로운 행동과 예법으로 살며 훈련합니다. 우리 모두 하느님의 손님인 사람이기에 어떤 사람도 함부로 대할 수 없습니다. 신앙의 예법을 무시하는 교회는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히는 사람은 적다”(14절)는 한탄 앞에 서게 됩니다. 우리는 오로지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하여 생명의 기쁨을 서로 축하하고 서로 드높이며 살아갑니다. 교회는 이 생명 존중의 기쁨을 널리 퍼뜨리는 공동체입니다.

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Sunday, October 8th, 2017

wicked_servants.jpg

함께 들어갈 하느님 나라 (마태 21:33-46)

“나는 분명히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고 있다”(마태 21:32).

지난 주일 복음 말씀 끝에서 들었던 충격적인 선언입니다. 혼란스럽습니다. 우리 인생의 걸음걸이가 어떻든 교회로 모인 우리는 하느님 나라를 향해 걷는 순례의 백성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당황스럽습니다. 사회의 윤리적 잣대에서 비난을 받던 세리들과 개인의 도덕적 잣대에서 손가락질을 받던 창녀들이 하느님 나라에 먼저 들어간다니 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고정관념이 만든 혼란과 당황을 넘어서서 새로운 신앙의 결단과 행동으로 초대합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는 포도원 주인에게 도조를 바치지 않고 버티면서 주인의 아들까지 죽인 사악한 소작인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포도원은 하느님께서 만드신 에덴동산입니다. 모든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창조의 질서요,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정치와 경제의 질서입니다. 포도원의 목적은 분명합니다. 맛있는 포도 열매를 맺어서 우리에게 달콤한 영양을 주는 일입니다. 쌓아놓으면 썩어버릴 포도를 술틀에 이겨서 포도주를 만들어 삶에 기쁨과 즐거움을 선사하는 일니다. 생명이 누리는 기쁨이야말로 이 포도원의 목적입니다. 하느님의 창조질서와 우리가 사는 세상과 사회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포도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그곳은 탐욕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소출을 나누지 않고 쌓아놓고 다른 사람들의 접근을 막습니다. 누가 그에 항의할라치면 내쫓거나 두들겨 패는 폭력의 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심지어 이 모든 것을 다 가로채겠다는 생각에 사람을 죽이는 살인의 현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생명의 기쁨을 나누고 누리려던 세계가 탐욕과 폭력과 전쟁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오늘 복음은 우리 현실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탐욕과 폭력과 전쟁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혹시 우리도 의식 무의식으로든 이 현실에 가담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봐야 합니다. 세상의 생명에 영양을 공급하는 일을 막고 있지 않은지, 다른 사람과 나눌 기쁨을 울타리 쳐서 독차지하지 않는지 살펴야 합니다. 이 반성에서 신앙이 출발하고 영성이 뿌리를 내리며 바른 식별이 자라납니다. 이 신앙과 영적인 식별에서 우리 자신과 우리 교회, 사회와 세계를 성찰해야 합니다.

탐욕스럽게 자신의 재산을 늘리고, 협잡하여 자신의 이익을 지키려고 폭력과 살인을 저지르는 세상입니다. 이런 세상은 지옥입니다. 하느님 나라는 서로 받아들여 함께 수고하고 서로 격려하여 다 같이 넉넉하게 덤을 주어 보내는 일로 열립니다. 우리 땀과 눈물로 맺은 탱탱한 포도의 달콤한 맛을 함께 나누고, 인생의 기쁨과 슬픔을 술틀에 밟아 함께 나누어 마실 때 하느님 나라의 잔치가 펼쳐집니다. 이것이 하느님 나라를 향한 순례의 백성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그때야 비로소 우리는 하느님 나라에 함께 들어갑니다.

용서 –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

Sunday, September 17th, 2017

HOTanner.png

용서 –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 (마태 18:21-35)

그리스도교를 ‘사랑과 용서의 종교’라 하면 신앙인은 자못 뿌듯합니다. 그러나 믿는다는 사람들이 험악하게 내뱉는 ‘응징과 심판’이라는 단어가 앞말을 삼켜버리기도 합니다. 두 별칭 앞에 ‘하느님’을 붙이곤 해서 혼란은 더 깊어집니다. 이때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하라”는 말씀과 무자비한 종의 비유는 혼란스러운 신앙을 바로 세우며, 자비로운 하느님의 세계로 우리를 초대합니다. 신앙은 억울한 마음과 앙갚음의 악순환을 끊고, 하느님 자비의 선순환에 자신을 옮겨 사는 일입니다.

예수님은 인간 삶에 흐르는 보복의 악순환을 끊으십니다. 유명한 “일곱 번씩 일흔 번 용서” 명령은 근거와 의도가 분명합니다. 성서에 나오는 최초의 살인자 카인의 후예 라멕이 자신을 해치면 “일흔일곱 갑절로 보복하리라”는 협박을 염두에 두신 말씀입니다(창세 4:24). 자기 중심주의에서 나온 질투와 악행, 두려움과 보복의 악순환은 사회 안의 갈등뿐만 아니라, 무책임한 대결과 전쟁놀음으로 우리를 몰아갑니다. 어디에서든 이를 멈추도록 끊어서 궤도를 돌리는 일이 인간 구원의 시작입니다.

예수님은 새로운 용서와 구원의 선순환입니다. 베드로가 말하는 ‘일곱 번 용서’는 인간이 행동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거기에 ‘일흔 번’을 곱하여 인간의 셈법을 훌쩍 넘습니다. 하느님의 셈법이라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셈법은 아무리 너그러워도 제한과 조건에 걸려 사람의 인내심을 시험하며 흔듭니다. 불행하게도 그 셈법은 그에 따른 판단을 불러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셈법은 자비의 셈법입니다. 신앙인의 구원은 응징과 심판이 아니라, 모두 함께 누리며 축하할 하느님의 자비입니다. 그 길이 억울하고 힘들다고 느낀다면, 오히려 우리가 이미 구원의 선순환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용서는 종교 감정의 영역과 개별적인 인간관계에 머물지 않습니다. 비유 이야기는 경제 문제를 다룹니다. 일만 달란트의 탕감과 백 데나리온의 빚 독촉의 비교는 천문학적 부를 누리는 이들이 하루 생활비에 아둥바둥하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현실의 고발입니다. 일만 달란트 탕감을 받은 자는 하느님께서 시작하신 자비의 선순환을 막아서고 있습니다. 더 많이 지닌 이들은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하고, 더 많은 은총을 경험한 이들은 더 깊은 신앙의 모본을 보여야 합니다. 신앙의 은총과 사회 안의 책임을 분리하려는 태도는 예수님의 길에서 벗어난 행동입니다.

신앙인은 오늘 읽은 구약의 요셉 이야기처럼, 눈물의 참회와 고통스러운 용서로 악행과 보복의 악순환을 끊으며 살아갑니다. 형들이 흘린 참회의 눈물은 우리가 받은 세례의 물입니다. 오늘 성당 입구에서 십자성호를 몸에 그으며 적신 물입니다. 우리는 이 눈물로 묵은 감정과 세상의 셈법이 만든 악순환을 끝내기로 다짐합니다. 용서는 고통스럽지만, 그 고통의 눈물이 참회의 눈물과 만날 때 새롭고 거룩한 일이 펼쳐집니다. 그 눈물은 생명의 물로 변화하여 우리를 씻기고 먹이며 우리를 하느님 자비의 삶에 참여하도록 이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