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for the '사목' Category

역사와 신학 사이 – 성 십자가 축일

Sunday, September 14th, 2014

역사와 신학 사이 – 성 십자가 축일 (9월 14일)1

십자가는 그리스도교 신앙 가장 중심에 우뚝 선 역사의 현실과 신학이며, 오늘 우리 삶의 이정표입니다. 십자가 축일은 예수님께서 비참하게 죽임을 당한 사건을 십자가를 통해 기억하는 날입니다. 십자가라는 죽임의 도구가 어떻게 용서와 화해를 마련하는 구원의 도구로 변했는지를 되새기는 날입니다. 십자가의 역사와 신학을 잊을 때 그리스도교 신앙도 변질한다는 사실을 경고하는 날입니다.

로마 제국의 십자가는 강대한 권력을 상징합니다. 그 권력은 자국민이 아닌 식민지의 ‘타인’을 압제하고 처형하는 힘입니다. 로마는 자국민에게는 고통이 덜한 참수형을 적용하고, 식민지 지역 사람들에게는 훨씬 고통스러운 십자가 처형을 적용했습니다. 로마 권력이 예수님께 들씌운 죄목은 십자가 위에 분명히 적혀 있습니다. I.N.R.I. “유대인의 왕 나자렛 예수.” 예수님의 언행이 어떤 권력에는 불온하고 위험한 정치적 행동이라는 말입니다.

cross_in_rome.jpg

예수님의 십자가는 폭력과 죽임의 상징을 용서와 화해, 생명의 상징으로 바꿉니다. 역사의 현실에서 거듭되던 폭력과 죽임의 악순환이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멈춥니다. 이 지점에서 죽은 십자나무가 생명을 품은 십자나무가 되어서 세상의 생명을 위한 열매를 맺습니다. “보라, 십자나무, 여기 세상 구원이 걸려 있네.” 여기서 새로운 삶의 길을 발견한 사람들이 예수님의 부활 생명 행렬에 참여하여 기꺼이 세상의 질서에 거슬러 삽니다. 이것이 그리스도인이 십자가를 지고 살아간다는 말의 참뜻입니다. 이것이 십자가 신앙입니다.

역사는 역설의 반복입니다. 십자가 축일도 이 역설에서 예외가 아닙니다. 4세기에 이르러 로마 제국은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삼았습니다. 그리스도교 신자가 된 황제 플라비우스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헬레나는 예수님께서 죽임을 당한 십자가를 찾아 나섭니다. 콘스탄티누스와 헬레나는 예루살렘에서 ‘진짜 십자가’를 발굴했다는 소식을 듣고 십자가가 섰던 자리와 예수님께서 묻히셨던 자리에 ‘예수의 거룩한 무덤 성당’을 지어 봉헌합니다. 326년 9월 14일의 일입니다. 이후에 십자가 경배를 성 금요일에 거행하는 관습도 생겨났습니다.

제국의 국교가 된 그리스도교에서 십자가는 그 참혹한 역사를 잊고, 종교적 의미만 남긴 십자가 신학으로 변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성육신하여 역사를 사셨던 예수님을 잊거나 그분의 고통과 죽음이 폭력의 악순환을 끊는 일이라는 사실을 잊고서는 신앙과 신학은 제대로 서지 않습니다. 십자가가 한 개인의 내면적 종교심과 신심을 위한 방편으로 전락하면 중세 교회의 폐해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성당과 예배당 안팎, 장신구나 기도 묵주의 십자가에서 여전히 ‘타인’의 아픔과 눈물과 피를 발견하지 못하면 그리스도교 신앙은 멈춥니다. 그러니 십자가 축일에 우리는 다시 사도 바울로 성인의 고백을 되뇌며 다짐해야 합니다.

“우리에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밖에는 아무것도 자랑할 것이 없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못박히심으로써 세상은 나에 대해서 죽었고, 나는 세상에 대해서 죽었습니다”(갈라 6:14).

Crux-SanClemente.jpg

  1. 주낙현 신부, 서울 주교좌 성당 주보 9월 14일 치 []

도통한 영성주의

Friday, August 22nd, 2014

소위 “영성주의”의 폐해가 심각하다. 그리스도교 내, 아니 우리 교회 안 이곳저곳에서 영적 멘토니 지도자니 하는 ‘도통한’ 자들의 성서 이해와 영성 이해는 순진무구한 수준을 넘어 가히 자기기만의 수준이라 하겠다. 역사의 맥락에서 해석해야 할 성서 텍스트가, 유사 심리학과 뉴에이지의 풍의 근거 없이 야릇한 틀을 뒷받침하는 비유나 증거 구절(prooftext)로 전락하는 일이 숱하다.

NewYorker_Cartoon_Guru.jpg

대체로 ‘가슴’을 울리는 듯한 화법과 언어적 농간을 유심히 들춰보면 여느 종교에서 흔히 보이는 수준 낮은 미끼와 비슷하다. 이를 깨달음이자 경지 높은 영성 체험에서 비롯되었다고 짐짓 거드름을 피우는 행태가 가관이다. 놀라운 사실은 이들의 현실 인식이나 문제 해결 방식은 매우 얕거나 훨씬 타협적이라는 것. 깊게 살펴보는 척하면서 엄청나게 에두르는 화법은 궤변으로 판명 나고, 겸손한 듯 도통한 듯한 태도와 해법 제시는 현상 유지(status quo)이거나, 자기기만적인 타협이다. 자기기만에만 머물면 좋으련만 남들을 무시하는 거만함도 보인다. 자신의 눈과 귀가 막혔는지도 모른다.

이 태도는 비성서적이며 몰역사적이다. 그것이 어떤 신흥종교 풍의 영성인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그리스도교의 영성은 아니다. 그리스도교 영성은 성육신의 영성이요, 그래서 육체와 역사의 고난과 죽음과 부활의 영성이다. 여기서 한치라도 벗어날라치면 대체로 현대판 영지주의로 전락하거나, 그 안에서 도통한 체하며 스스로 만족하며 산다. 그들의 행복 선택을 나무랄 일은 아니다. 그러나 교회가 세상에 도전하고 변화를 가져오기는커녕 스스로 곤두박질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영성은 바로 이를 식별하는 힘이다.

복음의 기쁨을 향한 기대 – 교황의 한국 방문

Thursday, August 14th, 2014

비 내리는 남도 땅. 비에 갇혀 빗소리를 듣고 밖을 내다보며 상념에 잠긴다. 휴가 차 이십 여 년 만에 다시 들른 남도 기행 일정을 다듬으며, 천주교 교황 한국 방문 생중계를 본다. 여러 생각이 겹친다.

IMG_00118.JPG

프란치스코 교황은 참 훌륭한 분이다.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어떻게 사용할 줄 안다. 게다가 그의 시선이 가난한 사람들, 힘없는 사람들을 향할 때, 그의 입이 권세 부리는 자를 향해 비판을 토로할 때, 그것이 복음의 정신에 따른 언행일 때, 그는 참된 권위를 얻는다. 참된 권위에 따른 권력은 ‘함께하며 보호하는 권력’이다.

한편, 그의 한국 방문(사목적 방문)에 관한 사람의 기대는 참 크다. 한국 사회의 상황 때문이다. 그가 보여준 언행에 따라, 세계 최대 종교 지도자, 그것도 중앙집권적 조직의 지도자가 던지는 발언은 여러모로 정치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하는 탓이다.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 가족, 그리고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깊은 관심을 가진 분들이 교황의 관심과 발언에 기대하는 바도 이해하지 못할 일이 아니다. 그는 선한 영향력을 펼칠 수 있다.

그런데도 이 정치적 ‘힘’에 대한 기대의 방향은 대체로 동상이몽이다. 정부는 교황을 국빈 이상의 예우를 갖춰 환대한다. 교황은 바티칸 시국의 원수이니 국빈 자격을 받을 만하다. 이번 방문이 ‘사목적 방문’이라 하더라도 국빈 자격을 잃지 않는다. 정부는 오히려 국빈이 다른 목적으로 온다고 해서, 통상적인 국빈 예우 이상으로 대접할 여유까지 얻은 듯하다. 대통령 박씨가 서울공항까지 영접을 나간 것이 그 예이다. 공교롭게도, 80년 이후에 한국을 방문한 교황을 방문하러 공항까지 나간 대통령은 전두환, 노태우, 박근혜이다. (이들의 집권 시절에만 교황이 한국에 방문했다.) 이 영접에는 독재의 피가 흐르는가?

평범한 사람들은 어쩌면 참으로 인간적인 희망과 기대를 품는다. 교황이 지난 1년 반 동안 보여준 행보에서 나온 기대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이들은 세월호의 비극과 관련하여 ‘교황이 정부에 압력을 행사했으면 한다’고 기대한다. 이 기대는 이해할 만하고 정말 그래 주시길 바란다. 그러나 그 기대가 그의 대중적 인기와 그가 지닌 권력에 기대는 것이 아니었으면 한다. 그가 그런 기대에 따라 어떤 발언을 하더라도 현 정부에 대한 정치적 영향력은 별로 없을 것이다. 다만, 교황이 세월호 가족이 단식하는 곳에 그저 찾기만 하면 된다. 그것이 오히려 더 큰 상징적인 영향력이 될 것이다.

이미 교황의 한국 방문 일정에 관하여 여러 염려가 천주교 내부에서도 나왔다. 장애인 방문을 위한 단체에 관한 뒷이야기가 있고, ‘태아 동산’ 방문이라는 천주교 교리의 상징적 시위도 마련됐다. 그가 검소하게 작은 한국산 차를 탄다지만, 나머지 일정은 대체로 헬리콥터로 이동한다고 한다. (추고: 이 계획을 뒤로 미루고 실제로는 KTX로 이동했다.) 이런 사소한 일에 시비를 걸 일은 아니다.

정작 기대와 희망과 염려가 겹치는 부분은, 교황 방문으로 한국 천주교와 천주교인들이 실제로 어떤 도전과 변화를 가질까 하는 점이다. 지난 30년 동안 한국 천주교의 성장은 놀랍다. 그러나 천주교 예수회 박문수 신부님의 지적대로, 천주교가 성장하면서 천주교 내에서도 빈익빈 부익부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점, 천주교가 하나의 ‘중산층 이상 계층을 위한 문화적 상징 권력’으로 작동하려 한다는 점을 우려한다. 그 와중에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의 처지와 활동은 이래저래 위축되는 현실이다. ‘부와 권력을 지닌 어떤 천주교 신자들’은 그들을 사제로도 바라보지 않는다고 듣는다.

여전히 교황 방한의 초점은 어떤 권력이 아니라, “가난한 자를 향한 하느님의 우선적 선택”을 확인하는 사건이어야 한다. 불편부당한 하느님이 아니라, 약한 자를 편드는 ’하느님의 당파성’을 확인하고 이에 기반을 두어서라야 참다운 화해와 평화가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 이 점에서 형제교회의 보잘것없는 사제로서, 그리스도교 신앙 안의 한 작은 형제로서, 그리고 불의와 불신과 분열이 가득한 가련한 한국 사회의 한 시민으로서, 교황의 한국 방문을 열렬히 환영하고 축하한다. 그가 보여줄 복음적인 도전을 기대한다. 거기서 우리 모두 나누는 “복음의 기쁨”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