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회의 한 전통 – 그리샴 커크비 신부

Monday, October 11th, 2010

성공회는 서방 교회 내에서 어쩌면 가장 복잡한 역사의 경험과 내력, 그에 따라 가장 넓은 신학적 실험과 실천의 폭을 가진 그리스도교 전통일 것이다. 눈에 보이는 대로만 따라가면, 특히 한국이라는 맥락에서 어느 몇몇 특정 교단 전통이 보수든 진보든 헤게모니를 잡고 있는 처지에서, 이런 느슨하면서도 넓은 폭에 깃든 경험의 결들을 섬세하게 살펴서 우리 맥락의 신학과 실천에 잇대는 일이 쉽지 않다. 결국, 자신의 풍요로운 전통의 우물에서 길어올려서 나눠야 할 일은 놔두고, 남의 우물이나 기웃거리다가 자기 우물 메말라 결국 메워버리는 우를 범하기 일쑤다.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 이야기에서 적었듯이, 그리스도교 사회주의는 영국 성공회, 이후 세계 성공회 신앙 전통에서 큰 지하수를 이뤄서, 곳곳에 우물을 공급했다. 게다가 그것이 성육신 신학에 뿌리를 둔 성사적 세계관을 고민하던 성사주의자들과 만나서는, 매우 독특한 우물 맛으로 사람을 모으고, 그들을 하느님의 나라와 세계에 대한 투신으로 이끌었다.

이들의 ‘그리스도교 사회주의’ 혹은 ‘그리스도교 성사적 사회주의’는, 이른바 ‘사회과학적’ 사회주의와는 거리가 있었다. 여러 면에서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와 그 맥을 나누는 점이 많을 것이다. 실제로, 성공회의 이 성사적 사회주의는 여러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들을 배출했다. 이들은 대체로 기구 운동이나 조직 운동보다는, 자기가 터 잡은 공간과 지역의 삶에 깊이 투신하는 일을 우선시했다. 다른 조직이나 기구 운동은 그런 사고와 실천의 확대와 협력을 위해 벌인 이차적인 것이었다.

모든 생명있는 것들이 명멸하듯, 이들도 명멸한다. 적어도 지난 20세기의 성사적 사회주의자들은 이제 몇 남지 않았다. 그리샴 커크비 신부는 아마 그 마지막 성사적 사회주의자였는지 모른다. 아니, 그의 부고를 적고 있는 케네스 리치 신부가 아직 남아 있기는 하다. 이제 이 전통의 경험과 신학, 그 실천과 한계를 21세기에 어떻게 되살려 볼 것인가? 면면히 흘렀으나 이제 잊혀 물줄기를 찾기 어렵게 된 지하수에 잇대어 다시 퍼 올릴 우물물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 그 고민을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에 이어 그리샴 커크비 신부의 부고를 통해서 다시 시작해 본다.

그리샴 커크비 신부 (Father Gresham Kirkby)1
성공회 사제, 전례 개혁의 선구자, 아나키스트
(1916년 8월 11일 ~ 2006년 8월 10일)

Fr_Gresham_Kirkby.jpg그리샴 커크비 신부는 자신의 90번째 생일을 몇 시간을 앞두고 별세했다. 최근까지 런던 동부 한 교회의 주임 사제로 가장 오랫동안 섬겼던 분이었다.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였던 그는 초창기 핵무기 철폐 운동가요, 반전 운동 조직인 백인위원회(the Committee of 100)의 일원이었으며, 영국 성공회 내의 전례 개혁 선구자이자, 현장 교회의 사제였다. 콘월에서 태어난 그는 감리교 찬송의 신학(그의 어머니와 이모는 감리교 신자였다)에 큰 영향을 받으며 자랐으나, 일찍이 세인트 힐러리 교회의 사제였던 사회주의자 버나드 워크 신부의 영향으로 성공회-가톨릭주의로 신앙의 거처를 옮겼다. 그는 음악적인 재능이 뛰어났으며, 다른 사제가 제대에서 전례를 집전하는 동안에는 자신이 손수 오르간을 연주했다.

1940년대 초 리즈 대학교 졸업 후, 커크비 신부는 요크셔 머필드에 있는 부활 대학(부활 공동체 수도회가 설립한 신학대학: 역자주)에서 공부했다. (나중에 대주교가 된) 트레버 허들스턴 신부가 수도회 지원자로 있던 때였다. 당시 커크비는 허들스턴을 오히려 보수적이라 여길 정도였다. 1942년에 부제로, 1943년에 사제로 서품된 커크비 신부는 맨체스터 고튼의 성모와 성 토마스 교회의 보좌 사제로 첫 사목 활동을 시작했으며, 1951년 런던 보우 커먼의 세인트 폴 교회의 주임 사제가 되어 1994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일했다.

그 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미 파괴된 상태였다. 커크비 신부가 이룬 업적 가운데 하나는 새로운 교회 건축이었다. 1960년에 축성된 이 성당을 당시 영국의 ‘건축 비평'(Architectural Reviews)지는 20세기에 지어진 가장 중요한 교회 건물이라고 평했다. 커크비 신부는 건축가로 로버트 매과이어(Robert Maguire)와 키스 머레이(Keith Murray)를 선택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과 씨름했다. “2000년이 되는 때에 그리스도교 예배는 어떤 것인가? 그리고 그것을 반영한 교회는 어떻게 지을 것인가?”

Bow_Common_Church.png

보우 커먼 교회의 전례는 로마 전례를 따랐으나, 천주교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개혁을 이미 10년 앞서서 실행한 것이었다. 이미 오랫동안 성무일도를 그레고리안 챈트에 맞추어 드렸다. 커크비 신부는 “마침내 로마 교회가 우리를 이제야 따라온 것”이라고 말했다.

아나키스트 사회주의자로서, 커크비 신부는 1956년까지는 자신을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로 부르곤 했다. 그는 러시아 아나키스트 표트르 크로포트킨과 미국 가톨릭 노동자 운동의 창시자인 도로시 데이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커크비 신부가 별세하기 이틀 전 그를 방문한 런던 주교는 신부의 말을 이렇게 전했다. “커크비 신부님은 아나키즘에 대한 불멸의 믿음을 갖고 있노라고 선포하시더라.” 커크비 신부는 핵무기 해체 운동을 벌이며 당시 핵무기 기지인 알더마스턴 행진을 완주한 최초의 사제였으며, 핵무기 반대 운동으로 1961년에는 투옥을 당하기도 했다. 그는 투옥 동안에 브릭스턴 감옥의 채플에서 재소자들과 함께 활기 넘치는 예배를 드렸다.

커크비 신부는 ‘하느님 나라 연대'(the League of the Kingdom of God: 1922년 창립)라는 조직의 마지막 생존 조직원이었으며, 1960년 해체되기까지 ‘그리스도교 사회주의자 연대’의 의장을 지냈다. 그는 개량적 사회주의, 특히 블레어 노동당 정권의 정책에는 그 어떤 동정심도 보이질 않았다.

커크비 신부의 하느님 나라에 대한 전망은 이 세상을 변혁시키는 것에 대한 희망이었다. 그의 글, “다가오는 하느님 나라: 보편 교회의 신앙과 천 년의 희망”(Kingdom Come: the Catholic Faith and Millennial Hopes, in Essays Catholic and Radical, edited by Rowan Williams and Ken Leech, 1983)은 그의 사고를 정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는 수많은 사람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런던 동부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신부였다. 그러나 그는 꿈을 포기하지 않는 사상가로 남았으며, 자신의 생각에 만족하는 법이 없었다. 쉬지 않고 자신과 싸우며 멈추지 않는 사유자였다.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그는 세상의 문제점들과 영국 성공회의 상태에 대한 관심, 그리고 변화를 위해서 사람들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늘 표현하곤 했다. 그는 뼛속 깊이 풀뿌리 지역에 기반을 둔 현장 교회의 사제였다. 커다란 사랑을 베풀고, 헤아릴 수 없는 영감과 영향을 준 신부였다.

— 케네스 리치 신부 Fr. Kenneth Leech, 2006년 8월 22일 영 가디언지

  1. http://www.guardian.co.uk/news/2006/aug/22/guardianobituaries.religion/print []

교회와 구원: 성사적 원칙과 성공회 전통

Thursday, May 8th, 2008

그동안 몇몇 신부님과 대화하는 참에 사목적 경험에서 나온 신학적 관심들은 결국 구원론과 교회론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겠느냐는 생각을 나눴다. 그렇다. 전통적인 신학적 논쟁뿐만 아니라, 교회 분열까지 야기하는 최근의 신학적 논란들도 실은 이 문제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대한 변주인 경우가 많다.

역사적 경험과 신학적 자료를 통해서 좀더 너른 성공회 신학의 토대를 구축하는 작업을 해 온 폴 에이비스(Paul Avis)는 Anglicanism and Christian Church 개정 증보판(2002)을 거의 새로 집필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교회와 구원”이라는 장을 새로 섰다.

에이비스에 따르면, 근대 성공회 신학자들의 생각에서 어떤 통일된 이념을 잡아내기는 어렵겠지만, 거칠게 나마 교회와 구원이라는 주제에 대한 생각의 흐름을 잡아서 이렇게 요약할 수 있다 한다.

  • 근대 성공회 신학자들이 구원과 교회에 대해서 말할 때 드러나는 근본적인 원칙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에게 새로운 삶이 주어졌다는 원칙이다.
  • 이 새로운 삶은 하느님에 의해 제정된 사회, 즉 교회 안에 자리한다.
  • 교회의 삶 속에서 성사적 원칙(the sacramental principle)이 중심이 된다.
  • 교회 안에 자리한,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새로운 삶은 세상 전체를 위한, 특별히 사회적 문제들을 변화시켜 나가기 위한 의미들을 담고 있다.
  • 교회 안에 자리한,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진 새로운 삶은 몸의 부활에 대한 종말론적인 희망을 이끌어 낸다.
  • 몸의 부활이라는 교리는 우주(cosmos)의 구원을 향한 희망을 동반한다.
  • 이 그리스도교적인 희망은 하느님의 전망에 담겨진 인간 존재의 궁극적인 완성을 가리킨다.

상세한 개념풀이가 필요해서 이를 당대의 신학자들과 대화하며 설명하는 것이 그 새로운 장의 내용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어떻게 생각을 진척시켜 나가 볼까? 이 특징들은 서구적 근대 신학과 성공회 전통이라는 울타리를 넘어서 현대 에큐메니칼 신학 안에서 두루 확인되는 것들인데다, 또 현대 신학의 몇몇 흐름에 대해 매우 고전적인 도전을 담고 있으니 깊이 살펴보기에 적절한 것들이다.

위의 특징들은 에큐메니칼 신학 대화 안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있는 교회와 세상 안에서 성사 혹은 전례의 위치(cf. Karl Rahner)에 대한 확장시킬 수도 있겠다. 이 점은 곧장 세상 속에서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를 교회와 전례가 어떻게 살아갈 것이며, 하느님의 선교가 지향하는 “하느님의 통치”(the Reign of God)에 대한 종말론적인 선체험(foretaste)이라 할 전례와도 연결된다.

도전의 측면에서만 보자면, 우선 소위 몇몇 포스트(post)주의의 변종 신학에 대한 것일 수도 있겠다. “또 다른 세상”에 대한 희망이 희미해지거나, 그것이 혹은 전통주의나 근대주의로 도매금 처리되면서 “이 세상”을 쉽게 인정해버리는 경향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 대한 긍정과 바라 볼 저 세상 사이의 긴장감이 약화되는 것이다. 문제는 이런 긴장감 상실이 이른바 근대 성공회 신학 자체 안에도 여러모로 깊게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전례와 교회의 관계에 관해서라면, 성공회는 우선 성사론적 이해(cf. Avery Dulles, Models of the Church)에 기운 특성이 강하므로, 여기서 비롯한 “세례적 교회론”(Baptismal Ecclesiology)과 “성찬례적 교회론”(Eucharistic Ecclesiology)은 그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적절하겠다. 이런 근거와 실천에서라야 교회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를 비추고 몸소 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폴 에이비스가 최근 이 점에서 다시금 “선교”1 문제를 부각시키는 것은 적절하고 마땅한 방향이다(Ministry Shaped by Mission, 2005).

그러나 여전히 그에게서는 전례와 선교를 이어가는 점들이 뚜렷하지 않아 아쉽다. 아니 그건 전례학자들의 몫이겠다. 이를 위해서라면 근대 전례 운동의 지향점들과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특별히 성공회 전통 안에서 실험되었던 이런 성사주의 운동의 경험을 다시 돌아볼 필요가 있겠다. 그 성공과 실패를 통해서 배워야 한다.

다시 이런 말들을 정리하자면… 교회와 구원이라는 근본적인 사목적 신학적 주제는 교회를 기점으로 하여 펼쳐지는 교회의 전례와 선교를 통해서 실천하고 몸으로 드러나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몸의 실천은 물질적인 것 속에서 만나는 신성한 것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종말론적 희망을 부분적으로 먼저 맛보는 일이어야 한다. 종말론적 희망이라는 전망은 교회와 신학과 그 실천(전례와 선교)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과 성찰의 기준점이다.

  1. 여기서 말하는 “선교”는 내내 “하느님의 선교”에서 바라본 것이니, 19세기 제국주의 선교의 역사를 흉내낸 “전도 여행” “단기 선교 여행” 혹은 “교회 성장 전략” 등과는 아무런 혈친적 관계가 없다. 노파심이다. []

성찬례의 인간 Homo Eucharisticus

Sunday, May 4th, 2008

일전에 나눔의 집에서 일하시는 박순진 신부님께서 요즘 한국 사회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통탄해 하며, 도대체 “우리의 전례(liturgy)가 이런 세상에서 무엇이야 하는지”를 물어오셨다. 당신의 사목 활동이 이미 그 뜻을 몸소 살고 있는 참이니, 똑바로 공부하여 나누라는 일갈로 여겼다.

하릴없이 나는 원칙만 되새기며 함께 가자고 할 뿐, 그리고 오히려 신부님의 나눔의 집 선교 활동을 통해서 몸으로 배워야 하겠노라며 이렇게 덧붙였다.

이 상황에서 전례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매우 아프게 다가옵니다… 우선은 이런 편만한 욕심과 욕망의 분출 현상은 최소한 성찬례라는 전례가 갖는 비전과는 전혀 반대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이 비전을 우리 전례 안에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성공회의 위대한 전례학자인 돔 그레고리 딕스(Dom Gregory Dix)는 언젠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전례를 통해서 “경제적인 인간”(Homo Economicus) 혹은 “소비적인 인간”(Homo Consumericus)이기를 포기하고, “성찬례의 인간” 혹은 “나눔의 인간”(Homo Eucharisticus)으로 변화된다. 이게 성변화(transubstantiation)의 진정한 의미겠지요.

스리랑카의 예수회 신부인 티사 발라수리야(Tissa Balasuriya) 역시 성찬례가 갖는 대조 사회(contrast society: G. Lohfink)의 전망을 세상에 대한 비판과 연결하여 천명한 바 있다. 성공회의 성사적 사회주의 전통과도 맥을 같이한다.

현존하는 세상의 질서 혹은 무질서는 성찬례의 가치와 분명히 대조적이다. 성찬례가 사랑과 나눔의 성사라면, 세상은 탐욕적인 착취의 체제이다. 성찬례가 공동체를 건설한다면, 세상의 관계는 인격과 인간을 파괴한다. 성찬례가 보편 지향적이라면, 세상은 인종차별적이다. 성찬례의 힘은 평등 사회를 향하지만, 세상의 권력은 헤게모니를 잡고자 한다. 성찬례가 겸허한 섬김을 추동한다면, 세상의 국제 관계 속에서는 오만한 지배가 판을 친다. 성찬례의 빵이 모든 이들을 위한 공동의 식사라면, 세상의 빵은 거래를 위한 상품이다. 성찬례의 이상 안에서 땅은 공동 이용을 위한 것이지만, 현재의 국가 체제 안에서 땅은 성공한 정복자를 위한 것이다. 성찬례는 인격을 우선시하지만, 국제 관계 안에서는 권력과 이익이 지배한다.

Tissa Balasuriya, The Eucharist and Human Liberation. Orbis Books, 1979.

다시 ‘이런 세상에서 전례는 무엇이야 하는가?’ 전례가 다만 세계관이나 전망에 그치지 않으려면, 그것은 대조 사회를 위한 몸의 수련이고, 그런 삶의 방식에 대한 훈련이며, 전례적 질서(ordo)를 통해 새로운 질서(order)를 미리 맛보며, 그 대조 사회의 시-공간을 넓혀 나가는 것이어야겠다. 그런데 이를 막아서는 일들이 교회와 전례 안에서 마저 팽배하다면, 교회와 전례는 또 다른 세상 권력의 표현일 뿐이다.

나쁜 전례는 나쁜 신학을 만들고 / 나쁜 신학은 나쁜 전례를 만들고,
나쁜 전례와 신학은 교회와 세상을 망친다.

전례 쇄신은 이래서도 중요하다.